분류 전체보기(1735)
-
[앤서니 위너] 7선 의원자리를 날린 트윗 (Weiner ,2016)
대한민국의 또 다른 미래를 위한 2020총선이 끝났다. 정책과 이슈, 그리고 비전을 걸고 날카롭게 맞부딪친 선거를 통해 국민의 여망을 담은 새로운 의회상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많은 정치인이 나섰지만 좌절한 사람이 더 많다. 정파를 떠나, 한번 추문에 휩싸인 정치인은 재기하기가 어렵다. 여론, 유권자가 무섭다는 것이다. 여기 반면교사로 삼을만한 이야기가 있다. 미국의 정치가 앤소니 위니(Anthony Weiner) 이야기이다. 그는 1991년, 미국에서 역대 최연소인 27살에 뉴욕 시의회 의원으로 당선되며 정치인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이후 뉴욕 주 거물정치인 찰스 슈먼 의원의 보좌관을 거치며 전국구 정치인으로 부상한다. 찰스 슈머 자리를 이어받아 뉴욕에서만 7번이나 하원의원에 당선된다. 의원시절 지..
2020.04.15 -
[맨 오브 더 이어] 화이트하우스 스캔들 (베리 레빈슨 감독 Man Of The Year, 2006)
내일(2020.4.15)은 대한민국 국민의 민의를 대변하는 선량을 뽑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이다. 선거를 앞두고 OTT 서비스에 올라온 영화 중 [선거]로 검색했을 때 눈에 띄는 영화 한 편을 소개한다. 제임스 스튜어트가 ‘필리버스팅’ 열변을 토하는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는 없지만 대신 로빈 윌리엄스 주연의 (Man of the Year,2006)가 넷플릭스에 올라와 있다. 물론 ’맨 오브 더 이어‘는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이 해마다 연말이며 그해 지구촌의 운명을 가장 많이 좌우한 인물을 선정하는 스페셜 에디션 커버스토리의 주인공을 말한다. 그럼 로빈 윌리엄스가 어떤 인물로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을까. 감독은 의 명감독 베리 레빈슨이다. 톰 돕스(로빈 윌리엄스)는 TV코미디 프로그램 진행자이..
2020.04.14 -
[엽문4 더 파이널] 중화영웅 엽문, 미국에 맞짱 뜨다 (엽위신 감독 葉問4:完結篇)
라가 어려움에 처하면, 외세의 압박을 받게 되면 민족 영웅을 다룬 이야기가 득세하는 법. 군인이 될 수도 있고, 스포츠 스타가 될 수도 있고, 문학가일 수도 있다. 중국에는 특이하게도 무술영웅이 많다. 이소룡과 성룡, 주성치까지 연기한 적이 있는 의 진진, 이연걸이 연기한 곽원갑, 그리고 숱하게 만들어진 방세옥, 황비홍이 그러하다. 물론, 그 근원은 소림사의 무승들일 것이다. 여기에 언제부터인가 ‘엽문’(葉問)이라는 인물도 중화민족의 영웅대열에 합류했다. 비교적 덜 알려진 무인이지만 견자단 때문에, 시대 상황 때문에 더욱 주목받는 인물이 되었다. (1편)은 2008년 연말에 처음 개봉되었다. 홍콩의 재간둥이 영화제작자였던 황백명이 만든 이 엽문 시리즈는 만드는 족족 흥행에 성공한다. 라는 번외편이 나오더..
2020.04.07 -
[명검] 홍콩 누벨버그 걸작무협, 담가명의 전설 (담가명 감독, 名劍 / 譚家明 The Sword, 1980)
‘누벨바그’(Nouvelle Vague)는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프랑스의 새로운 영화운동 사조(思潮)를 일컫는다. 프랑수와 트뤼포, 클로드 샤브롤, 장 뤽 고다르, 에릭 로메르 감독들이 판을 뒤집어엎겠다며 새로운 감각의 영화를 열심히 찍었었다. 그런 영화정신은 홍콩에도 전해졌다. 홍콩영화계에서는 1980년대 들어 기존의 영화판을 뒤집는 시도가 이어졌다. 주로 미국과 영국에서 영화를 공부한 일단의 젊은 영상학도들이 TV방송국에 몸담았다가 자신들의 영상미학으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허안화(풍겁/투분노해), 담가명(열화청춘/명검), 서극(접변), 방육평(부자정), 장완정(가을의 동화)이 대표적인 감독이다. 이들이 일으킨 영화운동이 바로 ‘새로운 물결’이라는 의미를 가진 홍콩 신낭조(香港新浪潮/H..
2020.04.06 -
[금수전정] 장국영 리즈시절 “젊으니까 청춘, 믿으니까 친구” (진가상 감독 錦繡前程 Long and Winding Road 1994)
지금부터 17년 전인 2003년의 만우절 날, 정말 거짓말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홍콩스타 장국영(레슬리 청)이 자살했다는 것이다. 영웅본색>과 천녀유혼>, 그리고 해피투게더>의 그 장국영이 팬들 곁을 허망하게 떠나간 것이다. 그 날 이후 해마다 이때 즈음이면 그의 빈자리를 그리워하는 팬들이 그의 영화를 다시 찾아본다. OTT서비스인 왓챠플레이에는 쉽게 만나볼 수 없는 그의 출연작이 하나 포함되어있다. 금수전정>이다. 동사서독>,금지옥엽>,야반가성> 등과 함께 1994년 홍콩에서 개봉되었던 작품이다. 반가운 작품이다.금수전정>은 1990년대 홍콩영화 황금기를 끝날 무렵에 나온 작품이다. 특정 장르 영화의 자기복제가 넘쳐나던 한때가 지나가고, 재능 넘치던 영화인들이 이 영화 저 영화에서 자신들의 재능을 남..
2020.03.31 -
[녹나무의 파수꾼] 히가시노 게이고의 휴먼 판타지 (양윤옥 옮김/소미미디어)
확실히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는 현재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일본 작가이다. 1985년 소설 데뷔작 이후 그가 쓴 수십 권의 작품은 한국에 번역 소개되었다. 그의 작품은 소설로뿐만 아니라 영화와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놀라운 것은 그의 쉼 없는 창작열이다. 거의 해마다 새로운 작품을 내놓고 있다. 올봄 그가 내놓은 책이 바로 이다. 같은 정통 추리소설은 아니다. 같은 휴먼드라마이다. 덧붙여 에서 보여준 소프트한 불륜(?)의 추적극이 느닷없이 더해진다. 주인공 나오이 레이토는 보잘것 없는 청춘이다. 긴좌의 술집여자였던 엄마가 죽은 뒤 할머니 손에 자랐다. 아버지는 누군지 모른다. 유부남이었다는 것만 기억할 뿐. 그럭저럭 자랐지만 풀리지 않는 운명의 레이토는 절도죄로 재판을 받게 된다. 그때 그를 찾아온 ..
2020.03.30 -
[이어즈&이어즈] 앞으로 15년, 세계는 이렇게 변한다 (Years and Years,2019)
영국드라마는 ‘영국식 악센트’를 넘어서는 독특한 매력이 있다. 닥터 후>에서 보여준 창의력과 블랙 미러>에서 보여준 절망적 미래관은 수많은 작품에서 황당한 상상력과 매력적 스토리라인으로 확대된다. 2019년 BBC에서 방송된 이어즈 & 이어즈>(Years and Years)도 그러한 ‘암울한 미래’에 대한 영국식 창의력이 빚어낸 드라마이다. 이 작품은 닥터 후>와 퀴어 애즈 포크> 등을 만든 러셀 T 데이비스가 쇼러너로, 영국 BBC One와 미국 HBO에서 만든 작품이다. 드라마는 2019년에 시작되어 2029년, 2034년에 이르기까지 영국의 한 가족이 겪게 되는 이야기이다.이야기는 1회부터 다이내믹하게 기존의 글로벌 질서(체제)를 무너뜨리며 직진한다. 영국에선 비비언 룩(엠마 톰슨)이라는 사업가가 ..
2020.03.18 -
[스펜서 컨피덴셜] 탐정 스펜서를 기억하시나요? (피터 버그 감독 Spenser Confidential,2020)
넷플릭스가 지난 주말 공개한 마크 월버그 주연의 ‘넷플릭스오리지널’ 탐정 스펜서>(Spenser Confidential)는 족보가 있는 작품이다. 미국 소설가 로버트 B. 파커는 1973년부터 ‘탐정 스펜서’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소설을 40여 권 내놓았다. 전직 경찰 스펜서는 부정과 비리, 부패가 판을 치는 보스턴에서 법망을 유유히 빠져나가는 못된 무리들을 재주껏 처단하는 통쾌함을 안겨준다. 그의 곁에는 해결사인 호크와 몇몇 도우미가 있다. 이 정의의 스펜서 이야기는 미국 ABC에서 로버트 유리히, 에버리 브룩스, 바바라 스톡 주연의 드라마 ‘Spenser: For Hire’로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KBS에서 탐정 스펜서>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다. 이 추억의 드라마를 넷플릭스가 오리지널로..
2020.03.09 -
[인비저블맨] (리 워넬 감독 The Invisible Man,2020)
* 스포일러 주의 * 100년도 더 전에 소설 을 쓴 사람은 , 등 걸작 SF소설을 남긴 H.G.웰즈이다. 소설 에서는 젊은 고학생 그리핀이 ‘신체가 투명해지는 약물’ 개발에 매달린다. 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는 그는 약물실험을 거듭하더니 마침내 몸이 점점 옅어지기 시작하며 ‘투명인간’이 된다. 그리고, 타인과의 교류가 끊기면서 미쳐가고,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 웰즈의 상상력은 이후 할리우드에, 미국 방위산업체에, 오늘날 실리콘벨리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투명인간’은 불가능할지라도 다른 스텔스 기술은 조금씩 나오고 있고, 진화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 ‘투명인간’ 이야기가 리 워넬 감독의 (The Invisible Man)에서 현대적으로 재해석된다. 모자 쓰고, 붕대를 얼굴에 감은 ‘투명인간’의 모..
2020.03.05 -
[전로정전] 정신병자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각
***(박재환 2020.3.10) 이 글은 거의 20년 전에 쓴 글입니다. 제가 '정신병자'라고 표현을 했었네요. 의학용어로 정확히 뭐라 지칭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영화 내용으로 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조현증이라고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전문가가 아니어서.. 혹시 그런 분을 비하하거나, 일방적으로 매도하려는 생각은 전혀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 (2001년에 쓴 글입니다) 요즘 비디오 가게들이 줄도산을 하고 있단다. 케이블TV에는 영화채널이 넘쳐나고, DVD라는 새로운 매체가 인기를 끌고, 인터넷에는 수많은 동영상 파일이 돌아다니고 있다 보니 비디오 가게 출입이 잦아질 수밖에. 그러니 곳곳에서 문 닫은 비디오 가게에서 쏟아져 나오는 비운의 비디오테이프가 넘쳐난다. 요즘 이러..
2020.03.05 -
[인터뷰] 김초희 감독도 복이 많아야 할텐데…….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
● 찬실이는 복도 많지, 드디어 개봉 대한민국 충무로에는 같이 글로벌하게 잘 나가는 영화도 있고, 제목조차 기억 못할 숱한 독립영화도 있다. 여기 마이너한 영화인이 있다. 마흔이 넘은 나이에 영화에 대한 열정 하나로 버티고 산 ‘프로듀서’ 찬실이다. 힘들게 제작에 들어간 신작. 그런데 대박흥행 고사를 치르기가 무섭게 감독은 비명횡사하고, 영화는 엎어지고, 찬실이는 실업자가 된다. 그런데도 영화제목은 이다. 감독은 극중 ‘찬실이’만큼 영화판에서 꿋꿋이 버틴 김초희 감독이다. 코로나19가 초고속 확산세를 보이면서 영화계는 거의 멈춰 선 듯하다. 많은 영화들이 줄줄이 개봉이 늦춰지고 홍보활동도 취소되었다. 극장가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3월 5일 개봉예정인 독립영화 는 제목과는 달리 쓸쓸하게 사라질 듯하다. ..
2020.03.05 -
[컨테이젼] 아무것도 만지지 마라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Contagion, 2011)
광활한 우주공간에선 티끌 같은 존재에 불과한 지구에서, 인류는 오랜 세월 극한의 상황을 이겨내며 생존해왔고 진화해왔다. 그러나 지금도 여전히 전 인류 공멸의 위기에 내몰려있다. 공룡이나 바퀴벌레뿐만 아니라 눈에는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 인류는 생존 자체를 위협받는 병균의 습격을 여러 차례 받았다. 14세기 유럽을 휩쓴 흑사병으로 당시 유럽 인구 절반이 죽었다고 한다. 1918년 스페인 독감으로 5천만 명이 사망했단다. 최근에는 사스(SARS)에, 조류 인플루엔자에, 신종 플루 같은 것이 유행했다. 다행히 인류는 살아남았지만 여전히 우리들 주위엔 더 독하고 더 끔찍한 바이러스가 호시탐탐 인류 절멸의 기회를 노리고 있을지 모른다. 이런 전 인류적 전염병은 대체로 사람 사이의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악수를 통..
2020.02.26 -
김초희 감독, ‘찬실이’ 전에 찍은 단편영화 3편
작년 10월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김초희 감독은 찬실이는 복도 많지>로 3관왕이 되었다. 3월 5일 극장개봉에 맞춰 KBS 독립영화관에서는 김초희 감독의 단편 3편(겨울의 피아니스트>,우리 순이>,산나물처녀>)을 모아 방송한다. 영화판에서 잡초처럼 끈질기게 살아남은 김초희 감독의 역정이 느껴지는 작품들이다. 세 편 모두 단편영화의 매력을 물씬 느낄 수 있는 신선한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다. 첫 번째 작품 겨울의 피아니스트>(2011)에는 무려 정유미와 김의성이 출연한다. 영화 프로듀서인 김PD의 내레이션으로 펼쳐지는 이 작품은 확실히 러브스토리이다. 음악감독이 피아노 한 대만 김 피디에게 달랑 맡겨놓고 떠나간다. 그리고 미미가 사무실을 찾아온다. 이제부터 김피디는 유부남 음악감독(김의성)과 그의..
2020.02.21 -
[작은 아씨들] 150년간 이어온 소녀의 꿈 (그레다 그윅 = Greta Gerwig 감독, Little Women 2019)
소싯적 읽은 세계명작동화전집에는 도 끼어 있었다. 지은이는 ‘올코트’였을 것이다. 로 할리우드의 차세대 유망감독으로 부상한 그레타 거윅은 영리하게도 가 아니라 로 1860년대의 미국을 보여준다. 멀리 보면 역사, 가까이로는 가족의 소중함을,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녀의 꿈을 이야기한다. 지금 와서 더욱 주목받는 자의식 강한 여성을 앞세워서 말이다. 루이사 메이 올코트가 1868년 발표한 소설 은 그동안 수도 없이 많이 드라마와 영화로 만들어졌다. 이번에 그레타 거윅 감독은 엠마 왓슨, 시얼샤 로넌, 플로렌스 퓨, 티모시 샬라메, 메릴 스트립을 캐스팅하여 다시 한 번 고전적 품격에 도전한다. 이 영화는 이 휩쓸던 이번 아카데미시상식에서 6개부문 후보에 올랐었고, ‘의상상’을 수상한다. 확실히 ‘의상’만큼은..
2020.02.21 -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 언론시사회 (2020.2.17 CGV용산)
지난 해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3관왕에 빛나는 김초희 감독의 독립영화 가 언론시사회를 갖고 일반 개봉을 준비 중이다.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의 언론시사회가 눈이 소복이 내린 17일(월) 오후,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렸다. 이날 시사회에는 김초희 감독과 배우 강말금, 윤여정, 김영민, 윤승아, 배유람이 참석했다. 영화는 영화 프로듀서로 희망에 가득한 신작 크랭크인을 준비하던 결정적 순간에 어이없는 감독의 돌연사로 작품이 무산되고, 백수가 된 과년한 노처녀 찬실(강말금)의 리얼라이프를 다루고 있다.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3관왕(한국영화감독조합상, CGV아트하우스상, KBS독립영화상) 및 제45회 서울독립영화제 관객상을 수상했고, 해외영화제에서도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는 단편 ‘겨울..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