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영화리뷰(337)
-
[페일 세이프 = 핵전략사령부] 전쟁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Reviewed by 박재환 2003-3-14] 미국 부시 대통령은 기어이 이라크의 후세인을 몰아낼 모양이다. (후세인이 왜 나쁜지, 김정일보다 더 나쁜지 덜 나쁜지조차 모르는 한국인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이성적' 국가의 '무력한' 국민들은 부시의 무모함, 혹은 과단성에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똑똑한' 나라는 일단 부시가 총을 뽑아들면 그 즉시 미국 뒤에 줄을 설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석유'라는 후과(後果)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전쟁은 어떻게 일어날까? 국지적 분쟁이 아니라 지구인의 운명을 좌위할 세계대전은 어떤 식으로 시작될까? 1차 대전은 복잡한 유럽내 국제정세가 있었지만 결정적인 동인은 세르비아 극우주의자가 오스트리아 황태자를 암살하면서 뇌관이 ..
2008.02.19 -
[북극의 제왕] 분노의 무임승차자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1973)
‘북국의 제왕(Emperor of the North Pole)은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1973년 작품이다.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은 ’아파치‘, ’베라크루즈‘, ’포 포 텍사스‘, ’울자니스 레이드‘ 등의 서부극을 만들었던 인물이다. 리 마빈이나 어네스트 보그나인 같은 ’옛날‘ 배우들이 나오는 걸로 보아 무척 남성적이고 거친 영화란 것을 짐작할 것이다. 실제로 이 영화에 여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아마 한 장면 - 기차역에서 잠깐 나왔을 것이다. 영화는 미국의 대륙횡단 철도에 무임승차하는 떠돌이와 이들을 불법승차를 기를 서고 막는 기관사의 대결구도를 다루고 있다. 를 보면, 미국인들은 자기 고향을 등지고 막연히 더 나은 세상이 있을 것이라며 길을 떠난다. 그 영화에선 고물 트럭에 온 가족이 매달려 ..
2008.02.19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운명의 핵
[Reviewed by 박재환 2001-7-31] imdb에 따르면 이 영화는 전 세계 네티즌에 의해 10위에 랭크되어있다.(2001년 7월 31일). 이 영화는 1963년에 완성되었지만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때문에 시사회가 늦춰지고 이듬해 64년 1월 29일에 미국에서 개봉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극장개봉도 안되었지만 큐브릭 감독 사후에, 작년 HBO(당시 캐치원)에서 한 차례 방영한 적이 있다. 요즘(2001년 7월말) 한국을 살아가는 '한' 지성인의 시대적 감각으로 보자면, 현재 지구상의 유일한 '악의 제국'은 MD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 뿐인 것 같다. 하지만, 분명 몇 년 전만 해도 지구의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는 '제국' 소련과 기타 공산국가들이었다. 그들 공산주의 세력과 민주주의(혹은 자본주의)..
2008.02.19 -
[카사블랑카] 다시 한번..
[Reviewed by 박재환 1999-3-4] 오래 전에 Bertie Higgins란 가수가 '카사블랑카'란 노래를 불렀었다. 우리나라엔 최헌이 번안해서 불렀던 것 같다. 영화가 얼마나 감상적이었으면 그렇게 팝송으로까지 되살아났을까. 시대가 변하고, 세월이 가고, "애즈 타임 고즈 바이" 해도, 원래 영화가 가지고 있었던 그 매력은 고스란히 아버지 세대에서 아들 세대로 전수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사랑과 애국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는 아주 심각한 주제의 너무나 단순한 러브스토리의, 아주 돈 적게 들인 영화이다. 그리고, 이 영화의 주연 배우들은 이미 고인이 되었고, 흑백은 첨단과학으로 칼라로까지 되살아났지만, 그 은은한 음악 뒤에서 분주하게 삶과 생존을 모색하던 모로코의 한 작은 마을, ..
2008.02.19 -
[협박]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최초의 유성영화 (알프레드 히이콕 감독 Blackmail 1929)
(박재환 2002.5.22.) IMDB자료에 따르면 세계영화사에 있어 최초의 유성(토키) 영화는 로 1927년 10월 6일 미국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대서양 건너 영국의 첫 유성영화는? 바로 협박>이란 스릴러물이다. 협박>은 서스펜스 영화의 대가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최초의 유성영화가 되는 셈이다. 그의 탄생 100주년(1899년 8월 13일생)을 기념한 키노>> 1999년 12월호에 나온 그의 필모그라피를 보면 그의 감독 작품이 모두 54편이다. 협박>은 그의 10번째 작품이다. 그러니까 그는 이전에 9편이 무성작품을 만들었다. (IMDB자료와 비교하면 몇 편의 차이가 있다. 언크레딧과 언피니쉬 작품이 더 있는 셈!) 어쨌든 꽤나 유명한 사람의 꽤나 유명한 작품, 그것도 영화사에 기록된 오래된 작품을 ..
2008.02.19 -
[벤허(25)] 영화사에 남을 스펙터클
[Reviewed by 박재환 2002-4-12] NHK 위성채널 BS2를 통해 1925년판 가 방송되었다. 와이프와 함께 잠깐 기억더듬기를 펼쳤다. 내 기억으로는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를 처음 본 것이 중학교 2학년(81년도) 삼일절날 부산 국도극장이었던 것 같다. 그후, 극장에서 두번인가 더 보았고 TV에서 비디오로, 대만에서 산 DVD타이틀로 다시 보았었다. 내가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에 집착한 것은 전차경주 장면에서 실수로 경기장 밖의 빨간 색 자동차가 잡혔다는 것을 확인해 보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여태 내 눈에는 그 옥의 티가 잡히지 않았다.사실 난 영화 보다 소설 를 먼저 보았다. 내 기억으로는 '계림출판사'에서 나온 문고판으로 읽었었다. 류 윌리스라는 미국 독립전쟁 장군이 쓴 소설로 미국..
2008.02.19 -
[007 네버다이] 미국-중국, 공동의 적에 맞서다 (로저 스포티스우드 감독, Tomorrow Never Dies)
007 제임스본드 시리즈 18탄 ‘007 네버다이’는 지난 98년 1월에 개봉되었다. 그 당시에도 우리나라엔 주한미군이 있었고, 개네들 중에는 못된 놈들도 있었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도 아니나 다를까 역시 세계평화를 위한답시고 혼자 대활약을 한다. 하지만 당시에는 확실히 ‘007보지말자’ 같은 자발적 시민운동은 없었다. 고르바쵸프 아저씨 때문에 가장 낭패를 본 것은 냉전을 소재로 한 영화로 먹고살던 액션 영화제작자들이다. 특히나 007영화에 있어서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었다. 세계평화를 위협할만한 존재는 언제나 공산권 지도자 아니면 미치광이 과학자였으니 말이다. 이때 그들이 재빨리 찾아낸 세계평화의 적, 공공의 적은 조금 시의적절하다. ‘미디어황제’가 적이었으니 말이다. 언론황제 ‘카버’는 전 세계를 아..
200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