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693)
-
[다시 만난 날들] 우리도 위플래쉬~ 단, 러블리 버전
오늘(2021.5.28) 밤 KBS 1TV [독립영화관] 시간에는 러블리한 음악영화 ‘다시 만난 날들’(감독 심찬양)이 방송된다. 작년 열린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어 영화를 좋아하고, 음악을 사랑하는 영화음악팬들을 매료시켰던 작품이다. 마일즈 텔러 같이 악에 받친 학생이나 J.K.시몬스 같은 흉악한 음악선생님이 등장하는 영화가 아니라 솜사탕깉은 이야기와 유재하 같은 음악이 나오는 작품이다. 주인공은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출신이자, ‘너의 목소리가 보여’, ‘슈퍼밴드’ 등 TV 음악프로그램에 출연했던 홍이삭이다. 그의 연주 모습을, 노래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와 함께 영화를 ‘사운드 오브 뮤직’으로 만드는 천재 기타리스트 장하은도 출연한다. 원래 이 영화는 뮤지컬 ‘뮤지컬 ..
2021.06.19 -
[미스] “소년의 꿈, 미스 프랑스 되는 것!”
요즘도 여전히 ‘여성의 미’를 상찬(賞讚)하는 각종 미인대회가 열리고 있다. 이런 대회를 어떻게 보아야할 것인가. 논란이 끊이지 않지만 적어도 미용산업, 패션산업, 어쩌면 의료산업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요즘은 이슈몰이에도 한몫하고 말이다. 어쨌든 그런 미인대회를 둘러싼 영화가 한 편 소개된다. 프랑스 영화 이다. (원제: Miss 감독: 루벤 알베스)이다. 미적 감각이 남다를 것 같은 프랑스에서는 ‘미인’을 어떻게 바라보고, ‘미인대회’를 어떻게 평가할까. 궁금해진다. 콧대 높은 종족의 초우량쇼이다. 영화가 시작되면 프랑스의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장래희망 발표 장면이다. 운동선수가 될 거야에서 대통령까지 야무진 꿈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예쁘장하게 생긴 아이가 “미스 프랑스가 될거야..
2021.05.21 -
[쇼크 웨이브2] 얼마만의 유덕화인가!
[분노의 질주2]가 코로나로 잔뜩 움츠렸던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을 때 뜻밖의 영화가 한 편 같이 개봉한다. 홍콩스타 유덕화(류더화)가 출연하는 ‘쇼크웨이브2’(원제:拆彈專家2)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2017년 개봉되었던 ‘쇼크웨이브’의 속편이다. 1편에서 폭발물 해체전문가로 출연한 유덕화는 홍콩섬과 주룽 반도를 연결하는 해저터널을 폭파시키려는 테러단에 맞서 대활약을 펼치다 마지막에 장렬하게 산화한다. 그럼 속편은? 전편과 무관하게 이야기가 진행된다. 대신 유덕화는 여기서도 ‘폭발물해체전문가’로 등장한다.그리고 이번에는 폭발의 규모가 훨씬 크다. 악당들은 소형 핵무기로 홍콩공항을 날려버리고 홍콩을 괴멸시키려한다. 중요한 것은 유덕화가 악인인지, 선인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기 전에..
2021.05.21 -
[JIFF리뷰] 성적표의 김민영 ‘여고삼총사, 가지 않은 길’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부문에는 모두 10편의 독립영화가 출품되었다. 영화제 측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만들어내는 영화계의 위기 속에서도 한국 독립영화가 얼마나 굳건하게 버티며 생존하고 있는지를 증명하는 자리라고 밝혔다. 지난 5일 열린 시상식에서 이 한국경쟁부문 대상의 영광을 안았다. 공동연출을 맡은 이재은-임지선의 첫 장편 연출작이다. 영화는 근래 만들어진 영화 중 가장 독특한 스타일의 영화이다. 아기자기한 스토리에 재기발랄한 대사, 그리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배우들의 연기가 보는 재미를 안겨준다. 딱 스물 살 감성의 내용이다. 영화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청주의 고3 수험생 룸메이트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정희(김주아), 김민영(윤서영), 수산나(손다현)는 단짝친구. 수험 100일을 앞두고 이들은..
2021.05.07 -
[JIFF리뷰] 코로네이션 “중국 반체제작가 아이웨이웨이가 찍은 우한일기”
이번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맞춘 특별섹션으로 [스페셜 포커스: 코로나, 뉴노멀]이 편성되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전주영화제는 코로나 여파로 정상(?)적인 영화제운영이 힘들어졌다. 어쩌면 객석 띄어앉기, 온라인상영 병행진행, 화상인터뷰가 영화판에서는 ‘뉴노멀’이 되어버렸는지 모르겠다. JIFF를 통해 소개되는 ‘코로나 영화’에서 관심이 가는 작품은 단연 중국의 ‘코로네이션’(Coronation)이다.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었다는 글로벌 재앙 ‘코로나’를 중국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사실 얼마 전 [최미역행]이라는 중국 프로파간다 스타일의 ‘우한 이야기’가 개봉되기도 했었다. 그런데 이번 작품의 감독 아이웨이웨이(艾未未)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반체제작가이다.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
2021.05.07 -
[JIFF리뷰] 해변의 금붕어, “아무도 모른다, 하나만 안다”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JIFF) 국제경쟁부문에 출품된 일본 오가와 사라(小川紗良) 감독의 영화 (원제:海邊の金魚)에서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 느낌이 강하게 든다. 지금 현재 일본 사회의 한 면을 엿볼 수 있는 ‘유사가족’을 다룬 영화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나는 지금 위탁시설에서 살고 있다. ‘고아원’ 같은 커다란 건물은 아니지만 오갈 데 없는 아이들이 꽤 많이 모여 사는 위탁가족 집 같다. 아주 어릴 때 이곳에 와서 이제 18살이 된 하나는 시설을 떠날 때가 되었다. 그동안 정이 든 이 곳에서 아저씨와 함께 어린 아이들을 돌보며 잘 살아간다. 어느 날 8살 하루미가 새로 들어온다. 쉽게 어울리지 못하고, 언젠가 부모가 찾아와서 집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믿는 하루미를 바라보며 자신의 과거가 떠오른다...
2021.05.07 -
[JIFF리뷰] 첫 54년 - 약식 군사 매뉴얼 “이스라엘은 어떻게 그 땅을 차지했나”
혹자에게 영화감상은 우표수집과 같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특히 역사영화나 다큐멘터리를 볼 때는 말이다. 지난 주 막을 올린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마스터즈] 섹션에서 소개되는 이스라엘 아비 모그라비 감독의 다큐멘터리 (원제:The First 54 Years – An Abbreviated Manual for Military)을 보면 그러하다. 러닝타임 110분짜리 이 작품을 보면서 우리가 몰랐던 중동 그 지역의 감춰진 역사의 한 면을 보게 된다. 한국 사람이 갖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한 생각은 주로 웅장한 음악의 OST와, [탈무드], 그리고 유대인의 우수한 DNA에 관한 전설 같은 이야기이리라. 아마도 21세기 이전, 영문 시사잡지를 보았던 세대라면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펼쳐지던 폭동, ..
2021.05.04 -
[JIFF리뷰] 짱개 “나는 어느 나라 국민이지?”
들어가기 전에 우선 설명부터. 국가인권위원회는 작년 8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함께 성별·장애·종교·성적지향·성별 정체성 등을 이유로 모욕을 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 담긴 '혐오표현 대응 안내서'를 전국 학교에 배포했다. 여기에는 중국인을 비하하는 '짱개'나 흑인을 지칭하는 '흑형' 등을 혐오표현이라 적시했다. 그런데 [짱개]를 내세운 영화가 소개된다. 난감하다. 그런데, 감독이 ‘자신의 처지’를 그보다 더 적확하게 내세울 수가 없었나보다. 지난 주 막을 올린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시네마천국] 섹션에서 상영되는 작품 중 장지위(張智瑋) 감독의 영화 제목이 바로 (Jang-Gae: The Foreigner)이다. 감독의 영문표기(Chang Chih-wei)를 봐서 그가 대만사람임을 짐작할 수 있다...
2021.05.04 -
[JIFF리뷰] 혼자 사는 사람들, '고독한 사람들, 위험하다!' (홍성은 감독)
‘고독사’라는 말이 이제 낯설지 않다. 자식과 아내를 멀리 유학 보낸 기러기아빠의 고독사, 독거노인의 고독사, 그리고 요즘엔 청년고독사 소식까지 들려온다. 국가(글로벌) 차원의 경제문제와 지극히 개인적인 원인 혼재된 사회문제로 현대인은 위축되고, 문을 닫아 걸고 고립되더니 말라비틀어간다. 그런 문제를 바라보는 영화가 지난 주 개막된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되었다. 홍성은 감독의 데뷔작 이다. 주인공은 혼자 산다. 칸막이 쳐진 사무실에서 일하고, 혼자 밥을 먹고, 이어폰으로 귀를 막고, 쓸쓸한 아파트에서 눈을 뜨고, 눈을 감는다. 진아(공승연)는 카드회사 콜센터의 유능한 직원이다. 그 어떤 고객의 전화에도 차분하게, FM대로, 무난하게 상담을 끝낸다. 그 어떤 진상고객의 황당한 전화에도 최상의 솔루..
2021.05.04 -
[JIFF리뷰] 개막작 ‘아버지의 길’ (스르단 고루보비치 감독)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가 오늘(29일) 개막식과 함께 열흘간의 영화축제를 시작한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전주는 코로나로 잔뜩 위축된 상황에서 축제를 열어야하지만 미지의 영화에 대한 전진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올해 전주영화제 개막작은 세르비아의 스르단 고루보비치 감독의 이 선정되었다. 복잡한 근현대사의 아픔을 갖고 있는 발칸의 날아온 은 지켜보기에 가슴 아픈 영화이다. ‘이데올로기’와 ‘민족감정’이 할퀴고 간 그 땅엔 가난만이 남은 모양이다. 보스니아의 어느 산골 마을, 빌랴나가 아들과 딸을 데리고 남편의 공장을 찾아온다. 남편이 몇 달간 월급도, 약속한 수당도 받지 못했다면서 울부짖는다. “우린 너무 배가 고파요. 애들이랑 그냥 죽어버릴래요”라며 휘발유를 끼얹고 불을 붙인다. 그제야 사람들이 달려든..
2021.05.03 -
[겟 더 헬 아웃] 엉망진창이네~ 개판 좀비판 국회의사당
어느 나라든 여론조사를 하면 가장 신뢰도가 낮은 등급을 받는 직업군이 정치인이다. 영화평론가보다 더 낮은 등급을 받는다. 해외뉴스에서는 멱살잡이를 넘어 격투기를 펼치는 국회의원 모습을 심심찮게 보여준다. 우리나라도 한때(?) 그랬다. 난장판 국회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나라가 바로 대만이다. 대만은 총통(대통령)이 바뀌고, 정권이 바뀌고, 의원이 바뀌어도 여전히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양이다. 그만큼 다혈질인 모양. 그런 모습을 날카롭게 풍자한 영화가 (Get The Hell Out 감독:왕이판)이라는 작품이다. 중문제목은 ‘逃出立法院’(‘입법원=국회’를 탈출하라)이다. 얼마나 난장판이기에? 상상을 초월한다. 작년 대만에서 개봉되었고, 지난 주 개막한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불면의 밤] 섹션에서 소개..
2021.05.03 -
[더 스파이] 컴버배치 스파이 스릴러
우스개로 ‘악의 제국’ 소련이 붕괴된 뒤 글로벌 방산업체만큼 일자리 걱정을 한 동네가 할리우드였단다. 이제 누구를 ‘빌런’으로 해야 할지 말이다. 확실히 소련은 영화에서 오랫동안 악의 축 역할을 했었다. 소련붕괴 이후 많은 새로운 ‘국제질서의 악당’등이 등장했다. 중동 테러리스트, 외계인, 그리고 김정일까지. 그래서 요즘 만들어지는 회고조의 작품에서는 과연 소련을 어떻게 다루는지가 ‘정치적 올바름’의 바로미터일 것 같다. 오늘(28일) 개봉하는 영화 (감독:도미닉 쿡)도 그러하다. 이 영화의 원제는 ‘The Courier’이다. 물건을 옮기는 ‘택배원’, ‘운반자’의 뜻이다. 과연 주인공은 무엇을 운반하는 것일까. 위험천만한 물건이란다. ● 민간인, 에스피오나지 되다 냉전시기, 영국인 그레빌 윈(베네딕..
2021.04.29 -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흑인 100년의 분노
전 세계를 급습한 코로나로 마블 히어로들이 주춤한 사이, 할리우드에서는 블랙 파워가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틈새를 매우고 있다. 지난해 말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감독: 조지 C. 울프 원제:Ma Rainey's Black Bottom)도 그런 카테고리에 포함될 영화이다. 이 작품은 1920년대 반짝반짝 빛났던 1세대 블루스 가수 ‘마 레이니’(Gertrude ‘Ma’ Rainey)의 삶을 다룬다. ‘흑인’의 위상은 그 때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 것 같다. 100년이 지난 지금도 그러하지만 남북전쟁이 끝나고 미국이 미국다워지던 그 시점에 흑인은 삶은 ‘바닥’이었다. 극작가 어거스트 윌슨은 20세기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경험과 유산을 연대기적으로 쓴 ‘피츠버그 사이클’(The Pittsburg..
2021.04.29 -
[노매드랜드] 남편도 없고, 자식도 없고, 집도 없다
코로나 사태로 평소보다 두 달 늦게 열리는 올해 미국 아카데미시상식 최우수작품상 후보에는 ‘노매드랜드’, ‘맹크’, ‘미나리’ 등 모두 8편의 작품이 후보에 올랐다. 이중 (원제:NOMADLAND)는 작품상과 함께 감독, 여우주연, 각본, 편집, 촬영상 등 6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클로이 자오는 감독/각본/편집/작품(제작) 등 4개에 이름을 올렸다. 이 작품은 이미 베니스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평론의 일치된 호평을 받았다. 특히 프란시스 맥도맨드의 연기에 대해서는 상찬이 쏟아졌다. 영화팬으로 기대되는 작품임에 분명하다. ‘노매드(Nomad)’는 유목민을 말한다. 고정된 거주지/거처 없이 계절 등의 요인에 따라 이동하는 수렵채집인, 목축유목민, 상인들을 말한다. 그런데, 이게 문학적으..
2021.04.15 -
[화이트 타이거] 닭장 속의 닭이 봉황이 되는 법
지난 200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작품상 등 8개 부문을 휩쓴 영화 는 감추고 싶은 비참한 인도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화의 원작소설을 읽어보면 영화보다 훨씬 쓰레기 같은, 막장의 인도 모습에 놀라게 된다. 그런데 소설을 쓴 작가가 인도 외교관이었다는 사실에 더 놀라게 된다. 자기 나라 얼굴에 먹칠을 하는 작품을 쓰다니. 그에 맞먹는 작품이 하나 더 나왔다. 지난달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The White Tiger, 감독:라민 바흐라니)이다. 하얀 호랑이(백호)이다. 백년에 한번 나올까말까 한 대단히 성스러운, 영물이다. 개천에서 용 나듯이, 인도 쓰레기 하수구에서 과연 백호가 나올 수 있을까. 인구가 14억이나 되는 이 나라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라고 한다. 소와 사람이 나..
20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