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693)
-
[귀마쌍성=미스터 부] 1974년 기념비적 홍콩 코미디
[Reviewed by 박재환 2004-12-9] 올해(2004년) 홍콩 극장가는 우울했다. 어제 홍콩 영화제작자협회가 공식발표한 2004년 극장흥행기록을 보면 올해 최고 흥행작품은 할리우드 영화 [투모로우]로 4,163만元이었다. 홍콩영화 가운데 최고 흥행기록을 세운 작품은 설 특선프로로 개봉된 코미디 영화 [귀마광상곡]으로 2,524만元에 그쳤다. 4~5,000만元의 대박 영화가 해마다 한두 편씩은 나오던 홍콩 극장가에서 최고 흥행 기록 작품이 겨우 2,500만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귀마광상곡]은 홍콩 코미디 영화의 대표작인 1974년도 작품 [귀마쌍성](鬼馬雙星)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허씨네 삼 형제 (Hui Brothers)가 처음으로 함께 나온 작품 [귀마쌍성]의 당초 제목은 [쌍성보희](..
2008.02.20 -
[아버지와 아들] 아버지, 사랑의 방법을 모르다 (담가명 감독 父子: After This Our Exile, 2006)
1980년대 초반 홍콩 영화계에서는 의미심장한 흐름이 있었다. TV방송사에서 드라마를 찍던 사람들이 대거 영화계로 유입하며 새로운 스타일의 영화가 잇달아 발표하였다. 이들 가운데에는 오늘날 홍콩 영화계의 거물이 된 서극 감독과 꾸준히 사회드라마를 찍은 방육평, 허안화, 장국명 감독 등이 있다. 오늘날 이들을 홍콩 신낭조(新浪潮), 홍콩 누벨버그 감독이라고 통칭한다. 그 가운데 과 을 감독한 담가명 감독은 홍콩 신낭조의 대부라고 부르기도 한다. 담가명 감독은 새로운 방식의 무협드라마 과 폭발할 것 같은 홍콩 청년의 고뇌를 그린 으로 홍콩 신낭조의 최정점에 이른다. 당시 청춘스타 장국영을 캐스팅한 은 당시 홍콩의 사회적 풍조를 감각적으로 보여주어 이후 많은 홍콩 영화감독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 담가명 ..
2008.02.20 -
[천구] 애국자 ‘지푸라기 개'
[Reviewed by 박재환 2007-9-6] [천구](天狗:티엔꼬우)는 극중 남자주인공의 이름이다. 영화가 시작되면 전기도 아직 들어가지 않았을 것 같은 중국 산간벽지 마을에서 펼쳐지는 다급한 모습을 보여준다. 마을유지 삼형제가 총에 맞아 죽은 끔찍한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중국 공안이 이 벽지마을로 사건해결을 위해 급파되고 살인사건을 하나씩 파고들면서 놀라운 사실이 밝혀지게 된다. 과연 누가, 왜 이 끔찍한 살인사건을 일으켰을까. 영화는 공안이 탐문수사를 펼치는 장면과 제대군인 이천구(李天狗)가 마을에 정착하면서 마지막 살인을 저지르는 순간까지 상호 교차편집 형태로 진행된다. 이천구는 마을에 도착하자마자 마을 사람들에게서 영웅대접을 받는다. 이천구는 군대에서 부상을 입고 명예 제대한 용사. 한쪽 다..
2008.02.20 -
[배드 보이즈] 2000년 홍콩영화의 자화상
[Reviewed by 박재환 2002-12-21] 음.. 비참한 홍콩영화의 몰골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영화. '정이건-고천락-서기-양공여-진효동' 등 홍콩에선 나름대로 지명도가 있는 배우들이 나와 열심히 뛰고, 달리고, 뽀뽀하고, 액션을 펼치지만 정말 참고 끝까지 보고 있기가 민망스런 조잡함의 극치를 달리는 영화. 왜 홍콩영화가 몰락의 길을 가고 있는지를 이 영화 한 편이면 답이 나올 것이다. 어떻게? 이렇게..... (영화사 기획실 신작 프로젝트) 사장: 야, 뭐, 새로운 아이템 없어? 직원1: 요즘 유전자조작 이야기가 세간의 화제거리랍니다. 사장: 어, 그래? 어떤 내용이야? 직원2: 뭐, DNA를 추출하여 복제품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사장: 뭐, 슈퍼맨을 복제하다가 히틀러같은 놈이 생긴다는거 어때?..
2008.02.20 -
[원망수] 선남선녀 미남미녀의 러브스토리
[Reviewed by 박재환 2003-11-24] 최근에 개봉된 홍콩영화 를 보면 주인공인 트윈스 멤버(종흔동, 채탁연)보다 더 눈에 띄는 인물이 있다. 유덕화의 젊은날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이목구비 뚜렷한 진관희가 바로 그이다. 실제 진관희는 에서 유덕화의 어린 시절 역할을 맡아 우리나라 팬에게도 강인한 인상을 남겼다. 진관희의 영화 데뷔작은 , 바로 이다. 캐나다에서 자란 진관희를 홍콩연예계에 데뷔시킨 사람은 다름아닌 성룡이다. 성룡은 자신이 제작을 맡은 영화를 홍보하며 진관희를 '비밀병기'라고 치켜세웠으며 홍콩영화계의 거물 양수성 회장도 진관희를 미래의 톱스타라고 말했다. 게다가 장국영 또한 진관희를 후원해 주었다. 이처럼 홍콩의 거물 영화인들이 보증해준 진관희는 사정봉과 함께 홍콩의 미래를 짊어질..
2008.02.20 -
[내일의 조] 도전자 허리케인 (데자키 오사무 감독 あしたのジョ- ,1980)
(박재환 2002.6.25.) (あしたのジョ!)는 일본의 인기 스토리작가 다카모리 아사오(高森朝雄)와 만화가 치바 데츠야(ちばてつや)의 원작만화에서 출발한다. 이 작품은 70년에 배우들이 출연하는 실사영화로 우선 만들어졌고 이듬해 무대극으로 오르기도 했다. 70년~71년에는 79회분 만화시리즈로 TV에 방영되어 공전의 인기를 누렸다. 극장판은 1980년도에 처음 만들어졌다. 감독은 데자키 오사무(出崎統). 극장공개 이후, 다시 47부작 시리즈 만화로 만들어졌고 81년에 두 번 째 극장판이 공개되었다. 꽤나 족보가 있는 영화인 셈. 우리나라에선 1993년에 MBC-TV에서 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다가 중단되었다고 한다.(떠도는 말로는 일본배경을 무리하게 한국으로 옮기는 면에서, 조가 한국출신 권투선수와 대결..
2008.02.19 -
[아이즈 와이드 셧] 섹스 오딧세이 (스탠리 큐브릭 감독 Eyes Wide Shut 1999)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유작 (Eyes Wide Shut)을 이제야 리뷰한다. 이 영화는 큐브릭 감독이 을 완성시킨 뒤, 무려 12년 동안 영국에서 은둔생활을 하며 준비한 작품이다. 알려지기로는 감독은 1980년 완성 후, 이 영화의 원작을 손에 쥐고 줄곧 영화화를 노렸던 것 같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도 이 영화의 원작소설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꿈 이야기)가 뒤늦게 출판되었다. 이라는 번역본에는 120 페이지 정도의 원작소설과 함께, 프레드릭 라파엘의 글이 추가되어있다. 라파엘은 에서 스탠리 큐브릭과 함께 나란히 시나리오를 맡은 사람이다. 라파엘은 그 글에서 자신이 1994년 처음 큐브릭 감독의 전화를 받고 이 영화의 시나리오 작업에 참가하게 된 경위를 아주 맛깔스럽게 써 내려갔다. 라파엘은 소설가..
2008.02.19 -
[이투마마] 소년들, 어른이 되어버리다 (알폰소 쿠아론 감독 And Your Mother Too, 2001)
(박재환 2003-2-2) 멕시코는 3200킬로미터의 국경선을 두고 미국과 접하고 있다. 멕시코는 오랜 스페인 식민지생활을 통해 공용어가 영어가 아니라 스페인어이다. 이런 멕시코에서 만들어진 영화는 달콤쌉싸름한 맛이 있다. 라는 오묘한 제목의 멕시코 영화는 참 재미있다. 재미있다고? 이 영화는 야하다. 이야기하는 성적 코드도 우리와는 안 맞아도 한참이나 안 맞다. 제목의 뜻이 ‘너네 엄마와도 했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현직 멕시코 국무장관을 아버지로 둔 부잣집 아들 테녹과 하급농민출신의 가난한 아이 훌리오는 절친한 친구이다. 그들은 이제 겨우 열 일곱살이다. 그들이 하는 짓거리라곤 그 나이에 걸맞은 ‘여자생각’뿐이다. 같은 몽상을 하며 함께 박자를 맞춰 자위행위를 할 정도이다. ..
2008.02.19 -
[멀홀랜드 드라이브] All about Betty (데이비드 린치 감독,Mulholland Drive 2001)
(박재환 2003.6.10.) 시간이 있어 멍하니 영화만 쳐다보고 있을 때, 왠지 조금은 지적인 유희를 즐기고 싶을 때, 적당히 복잡하고 적당히 환상적인 영화를 보고 싶을 때, 데이빗 린치 감독의 작품을 보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사실, 그의 영화는 보다가 잠들어도 좋고, 깨어나서 다시 봐도 이해하기 힘들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이해 안 되는 장면에 대해서는 인터넷 게시판 여기저기 둘러보면 "아, 그런 심오한 뜻이~" 라는 뜻밖의 기쁨을 찾게 될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바로 그런 사람을 위한 영화이다.영화는 어떻게든 관련이 있는 두 여자가, 어떻게 하다 보니 철천지원수가 되어 살인청부를 하게 되고, 그 죄책감, 혹은 좌절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잔뜩 마약에 취해 몽롱한 상태에서 "아니, 어디서부터 잘못된 ..
2008.02.19 -
[지상에서 영원으로] 군인,개같이 죽다
[Reviewed by 박재환 2003-3-12] 영화의 배경은 1941년 여름부터 얼마 동안이다. 정확히는 이등병 프로이스(Robert E. Lee "Prew" Prewitt: 몽고메리 크리프트)가 하와이 진주만의 스코필드 막사로 전속되어와서는 일본의 진주만폭격이 될 때까지의 이야기이다. 아마도 영화 을 본 사람이라면 그 날 그 곳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것이다. 일본의 전투기들은 수만 마일을 몰래 날아와서는 천하태평인 미국 해군기지를 초토화시켜버린다. 그 날 이후 미국은 발끈하여 태평양 전쟁에 나선 것이다. 그럼, 그 날 그 곳, 그 미군부대에는 어떤 군인들이 있었을까. 유럽에는 나찌 히틀러에 의해 유럽천지가 포연에 싸이고, 아시아아는 일본 제국주의 때문에 신음하던 그 때가 아닌가. 하지만 하..
2008.02.19 -
[페일 세이프 = 핵전략사령부] 전쟁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Reviewed by 박재환 2003-3-14] 미국 부시 대통령은 기어이 이라크의 후세인을 몰아낼 모양이다. (후세인이 왜 나쁜지, 김정일보다 더 나쁜지 덜 나쁜지조차 모르는 한국인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이성적' 국가의 '무력한' 국민들은 부시의 무모함, 혹은 과단성에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똑똑한' 나라는 일단 부시가 총을 뽑아들면 그 즉시 미국 뒤에 줄을 설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석유'라는 후과(後果)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전쟁은 어떻게 일어날까? 국지적 분쟁이 아니라 지구인의 운명을 좌위할 세계대전은 어떤 식으로 시작될까? 1차 대전은 복잡한 유럽내 국제정세가 있었지만 결정적인 동인은 세르비아 극우주의자가 오스트리아 황태자를 암살하면서 뇌관이 ..
2008.02.19 -
[북극의 제왕] 분노의 무임승차자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1973)
‘북국의 제왕(Emperor of the North Pole)은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1973년 작품이다.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은 ’아파치‘, ’베라크루즈‘, ’포 포 텍사스‘, ’울자니스 레이드‘ 등의 서부극을 만들었던 인물이다. 리 마빈이나 어네스트 보그나인 같은 ’옛날‘ 배우들이 나오는 걸로 보아 무척 남성적이고 거친 영화란 것을 짐작할 것이다. 실제로 이 영화에 여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아마 한 장면 - 기차역에서 잠깐 나왔을 것이다. 영화는 미국의 대륙횡단 철도에 무임승차하는 떠돌이와 이들을 불법승차를 기를 서고 막는 기관사의 대결구도를 다루고 있다. 를 보면, 미국인들은 자기 고향을 등지고 막연히 더 나은 세상이 있을 것이라며 길을 떠난다. 그 영화에선 고물 트럭에 온 가족이 매달려 ..
2008.02.19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운명의 핵
[Reviewed by 박재환 2001-7-31] imdb에 따르면 이 영화는 전 세계 네티즌에 의해 10위에 랭크되어있다.(2001년 7월 31일). 이 영화는 1963년에 완성되었지만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때문에 시사회가 늦춰지고 이듬해 64년 1월 29일에 미국에서 개봉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극장개봉도 안되었지만 큐브릭 감독 사후에, 작년 HBO(당시 캐치원)에서 한 차례 방영한 적이 있다. 요즘(2001년 7월말) 한국을 살아가는 '한' 지성인의 시대적 감각으로 보자면, 현재 지구상의 유일한 '악의 제국'은 MD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 뿐인 것 같다. 하지만, 분명 몇 년 전만 해도 지구의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는 '제국' 소련과 기타 공산국가들이었다. 그들 공산주의 세력과 민주주의(혹은 자본주의)..
2008.02.19 -
[카사블랑카] 다시 한번..
[Reviewed by 박재환 1999-3-4] 오래 전에 Bertie Higgins란 가수가 '카사블랑카'란 노래를 불렀었다. 우리나라엔 최헌이 번안해서 불렀던 것 같다. 영화가 얼마나 감상적이었으면 그렇게 팝송으로까지 되살아났을까. 시대가 변하고, 세월이 가고, "애즈 타임 고즈 바이" 해도, 원래 영화가 가지고 있었던 그 매력은 고스란히 아버지 세대에서 아들 세대로 전수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사랑과 애국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는 아주 심각한 주제의 너무나 단순한 러브스토리의, 아주 돈 적게 들인 영화이다. 그리고, 이 영화의 주연 배우들은 이미 고인이 되었고, 흑백은 첨단과학으로 칼라로까지 되살아났지만, 그 은은한 음악 뒤에서 분주하게 삶과 생존을 모색하던 모로코의 한 작은 마을, ..
2008.02.19 -
[협박]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최초의 유성영화 (알프레드 히이콕 감독 Blackmail 1929)
(박재환 2002.5.22.) IMDB자료에 따르면 세계영화사에 있어 최초의 유성(토키) 영화는 로 1927년 10월 6일 미국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대서양 건너 영국의 첫 유성영화는? 바로 협박>이란 스릴러물이다. 협박>은 서스펜스 영화의 대가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최초의 유성영화가 되는 셈이다. 그의 탄생 100주년(1899년 8월 13일생)을 기념한 키노>> 1999년 12월호에 나온 그의 필모그라피를 보면 그의 감독 작품이 모두 54편이다. 협박>은 그의 10번째 작품이다. 그러니까 그는 이전에 9편이 무성작품을 만들었다. (IMDB자료와 비교하면 몇 편의 차이가 있다. 언크레딧과 언피니쉬 작품이 더 있는 셈!) 어쨌든 꽤나 유명한 사람의 꽤나 유명한 작품, 그것도 영화사에 기록된 오래된 작품을 ..
2008.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