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31)
-
[취화선] '영화'로서의 취화선, 영화으로서의 '취화선'
.. 을 보기 전에 상당히 갈등을 하였다. 임권택 감독이야 (이번에 보니 이 작품이 그의 98번째 작품이라고 한다) 한국최고의 명감독이며 해외에서도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노장이 아닌가. 그의 는 정말 내 가슴에 남아있는 작품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솔직히 이야기하자면 임권택 감독의 은 내가 접근하기에는 너무 고답적인, 혹은 작가주의적인 경지에 이르고 말았다. 을 볼까말까 갈등하던 중 어제 아트선재센터에서는 이 영화의 깐느 진출을 기념하여 주한프랑스대사관과 에어 프랑스가 주관한 주한외교사절 등 외국인 대상 특별시사회가 있었다. 영어자막으로. 외국인들의 반응을 보고 싶어서 참석했다. 다행히 개봉하기 전부터 화제가 되었고 깐느에까지 진출한 개봉작이라 영화관계자들은 이미 이 영화를 봤는지 어제 참석한 사람 중에..
2008.02.18 -
[챔피언] 종말의 기억 (곽경택 감독, 2002)
영화 을 보고 글을 쓰려니 나의 아버지가 생각난다. 아버지는 권투선수도 아니었고 영화인도 아니었다. 나의 아버지는 ‘하면 된다’는 박정희 시절의 산업역군이셨다. 부산의 소문난 공단인 사상공단(부산시 사하구 학장동)의 꽤 규모가 큰 공장에서 책임자로 일하셨다. 6.25때 홀몸으로 부산으로 피난 와서는(그렇다고 이북출신은 아니고…) 자수성가 바로 문턱에서 폐암으로 돌아가셨다. 아직도 살아계실 때 문화생활 혹은 여가활동이라곤 낚시 밖에 모르셨던 당신이 어느 날 공장에 영화촬영팀이 들러 영화를 찍어갔다고 한다. 나도 대학 1학년 때 그 공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었다. 금형을 만드는 주물공장이었는데 종일 쇳덩이와 불과의 싸움을 벌이는 오염지대였다. 아버지는 영화촬영이란 것이 순전히 엉터리라고 하셨다. 커다란 망치로..
2008.02.18 -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 스물 일곱 정윤희의 문예물 (정진우 감독 Does Cuckoo Cry at Night, 1980)
광주의 아픔은 가둬지고 전두환이 집권한 80년대 초반 서울 극장가는 어떠했을까? 그해 과 등이 극장가에서 관객을 끌어 모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이듬해 열린 19회 대종상에서는 어떤 영화가 상을 받았을까? 기록에 따르면 그해 정진우 감독의 가 우수작품상, 남우주연상(이대근), 여우주연상(정윤희), 촬영상, 여우조연상, 음악상, 미술상, 녹음상, 조명상, 영화상 등을 수상했다. 참고로 그해 ‘최우수영화상’은 유현목 감독의 에게 돌아갔고, 아역 출신의 안성기가 군대 갔다와서 출연한 로 신인상을 수상했다. 별다른 뾰족한 오락수단이 없었던 그 시절, 온 국민의 유일한 오락거리였던 영화는 6~70년대 영화의 황금기를 보낸 후 80년대 들어 이른바 호스티스 영화의 범람으로 대변되는 쇠퇴기에 들어선다. 하지만 ‘유지..
2008.02.18 -
[베사메무쵸] 낙지와 1억 원의 유혹 (전윤수 감독 Kiss Me Much, 2001)
IMF는 우리 국민에게 엄청난 문화충격을 주었고 사회의 제반 현상에 대한 시각교정을 강요했다. 얼마 전 TV의 한 시사프로그램에서는 우리나라 주부가 매춘전선에 뛰어들었다는 내용을 보도한 적이 있다. 치솟는 사교육비, 남편의 실직, 여성취업의 한계 등으로 젊은 주부들이 갈 수 있는 곳은 노래방과 전화방, 그리고 은밀한 매춘업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곤 이 리포터는 그러한 주부들을 모자이크 처리하고선 한다는 말이 “손쉽게 돈을 벌려는 여성주부가 많은 것이 안타깝다”였다. 아마도 그 프로를 본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시각에 불만을 나타내었을 것이다. 세상에 행복한 가정을 꾸려나가던 우리나라 표준 주부 중에 누가 ‘외간 남자와의 섹스’가 좋아서, ‘돈’에 환장하여 밤거리로 나선단 말인가. 는 그러한 시대적..
2008.02.18 -
[나쁜 남자] 'Boxing'여대생 (김기덕 감독 2002)
같은 기괴한 영화를 곧잘 만들던 데이빗 린치 감독의 딸 제니퍼 린치의 유일한 감독작품 (93)라는 영화가 있었다. 뛰어난 실력을 가진 외과의사가 여자친구 ‘헬레나'(쉐릴린 펜)에게서 헤어지자는 말을 듣게 되고, 충격을 받은 그 외과의사는 ‘헬레나’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헬레나’를 납치하여 자신의 저택에 가두어둔다. 헬레나는 눈도 깜짝 하지 않는다. 외과의사는 최악의 방도를 생각해낸다. 헬레나가 눈을 떴을 때 자신의 두 다리가 사라진 것을 보게 된다. (외과수술로 다리를 제거해버린 것이다!) 하지만 헬레나는 외과의사에게 차가운 경멸의 눈빛만을 보낸다. 그녀가 다시 눈을 떴을 때 이번엔 자신의 두 팔마저 사라진다. 외과의사는 그렇게 헬레나를 자신에게 잡아두려고 하는 것이다. 경찰은 실종된 헬레나를 ..
2008.02.18 -
[비천무]규화보전 vs.비천신기 (김영준 감독 飛天舞: Bichunmoo, 2000)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온전한 재미를 위해 마가렛 미첼의 원작소설을 다시 읽어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비천무> 시사회장에서 흘러나온 한숨과 안타까움을 이해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이 김혜린의 원작만화를 찾아봐야할 것 같다. 원작만화는 김혜린이란 작가가 1986년 무렵부터 그리기 시작한 만화이다. 대원문화출판사에서 여섯 권짜리 단행본으로 묶여 재발행된 이 만화는 당시까지 한국에선 보기 드물었던 무협과 순정이 혼합된 형태의 만화이다. 물론 당시에는 홍콩영화의 전성기였고 신필(神筆)이라고 불리는 김용의 소설이 본격적으로 국내에 번역 소개되기 시작한 때였으니 만화계에서 그런 시류에 편승했음직하다. 북해의 별>의 김혜린이 굳이 중국 중세를 배경으로 만화를 이끈 것은 그러한 엑조티즘의 연장일 수가 있을 것이..
2008.02.18 -
[수취인 불명] Les Miserables (김기덕 감독 2001)
김기덕 감독을 몇 번 대면한 적이 있다. 키도 작고, 입고 있는 옷이 언제나 작업복 스타일이며, 중광스님 이후 가장 인상적인 모자를 언제나 눌러쓰고 있는 그런 사람이었다. 어떻게 보면 아직 얼굴에 동안이 남아있기도 하지만, 그의 작품을 몇 편 보고 그의 인생의 고난사를 건네 들었다면 사실 한 자리에 있기가 조금 무서운 것도 사실이다. (자신의 영화에 대한 리뷰에서 혹평을 했을 때 칼 들고 달려들며 “당신 왜 작품을 모욕하냐?”하고 할 감독이 있다면 아마도 김기덕 감독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다행히 김기덕 감독은 나의 리뷰를 잘 읽었다고 공치사해준 적이 있어 안심이 된다만.) 그가 ‘충무로의 이단아’나 별종 취급 당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그는 그런 평가에 전혀 개의치 않고 자신이 만들고 싶은 영화를 자기의..
2008.02.18 -
[도학위룡] 주성치, 학교로 돌아가다 (진가상 감독, 逃學威龍 Fight Back to School 1991)
(박재환 2005.1.28.) 오늘(2005/1/29) 현재, 주성치의 [쿵푸 허슬]이 자신의 전작 [소림축구]의 홍콩 최고 흥행 기록 경신을 위해 막바지 스퍼트를 다하고 있다. 아마 이번 주말을 전후하여 홍콩 영화사에 새로운 기록을 남길 것 같다. 주성치는 눈물겨운 무명 배우시절을 접고 90년대 들어 성룡을 꺾고 홍콩최고 흥행배우로 등극한다. 주성치는 90년 [도성](4,100만 元)을 시작으로, 91년 [도학위룡](4,300만 元), 92년 [심사관], 93년 [당백호점추향]으로 4년 연속 홍콩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물론 해마다 이들 영화 말고도 서너 편씩을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올려놓았고 94년 이후에도 성룡과 함께 치열한 정상 쟁탈전을 벌였다. 90년대 (그리고 2005년에 이르기까지) 홍콩..
2008.02.18 -
[풍월] 천카이거 감독, 다시 풍월을 읊다 (진개가 감독 風月, Temptress Moon1996)
‘중국 5세대‘ 대표감독 천카이거(진개가) 감독의 1984년 작품 가 소개되면서 서구세계에 경천동지할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서양인들은 전혀 그렇게 생각하고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 대신 소수의 서구권 영화평론가들은 그렇게 떠들고, 믿고 있다. 천카이거의 자서전을 보면 그가 문혁 때 무척 고생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에 겪은 심신의 고통은 그로 하여금 그의 첫 작품을 문혁당시 중국 오지에서 펼쳐지는 ‘기다림’과 ‘해탈’을 다루게 했는지 모른다. 이 작품 이후 그는 줄곧 중국적 특성의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주로 ‘장엄한 역사’ 속의 ‘먼지 같은 인간’에 초점을 맞추면서 말이다. 그러다가 라는 지극히 패셔너블한 감각의 영화로 깐느 황금종려상을 차지..
2008.02.18 -
[신도협=도협지인정승천] 장가휘의 도박영화 (정위문 鄭偉文 감독 賭俠之人定勝天 Fate Fighter 2003)
(박재환 2004.12.22.) 한동안 홍콩영화라 하면 황비홍류 아니면 도박(갬블링) 영화가 다였다. 특히 왕정 감독이 만든 수많은 도박영화(도신/도협/도성)는 우리나라에서도 꽤 인기가 있었다.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국민 레저스포츠였던 화투를 밀어내고 트럼프를 주류 게임으로 등극하기도 했다. 주윤발과 유덕화가 한동안 휘젓던 도박판을 이어받은 적자는 장가휘이다. 최근에는 두기봉 감독의 드라마 [대사건]에서 심각한 연기를 보여준 장가휘이지만 그는 주성치의 [희극지왕]에서 새로운 얼굴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그가 작년에 나왔던 도박영화 중에 [도협 인지승천[(賭俠之人定勝天)이란게 있다. 왕정은 빠지고 왕정 밑에서 함께 일을 하던 정위문이 감독을 맡은 이 영화에는 장가휘와 두덕위가 도박의 귀재로 등장한다. 이 영..
200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