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08)
-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자] 영화 '더 리더'에 나오는 안톤 체호프 단편소설
어제(2009.2.23) 열린 81회 아카데미영화상 시상식에서 영예의 여우주연상은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에 열연한 케이트 윈슬렛에게 돌아갔다. 케이트 윈슬렛은 [타이타닉]의 바로 그 여배우이다. 이 굉장한 여배우는 이미 아카데미에서 주연상과 조연상 후보에 다섯 차례나 올랐으나 번번이 떨어졌고 이번에 기어이 6번째 만에 골든 오스카를 손에 쥐고 말았다. 사실 케이트 윈슬렛의 연기력은 굉장하다. 그녀는 아카데미 직전에 열린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로 주연상을, 로 조연상을 동시에 거머쥐었다. (주연상이냐 조연상이냐는 각 영화상마다 규정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여하튼, 를 보면 강한 독서 욕구를 얻게 된다. 뭔가를 읽고 싶은 강한 욕망과 열정을 느끼게 된다. 의 내용은 곧 개봉될 영화를..
2009.02.24 -
[체인질링] 안젤리나 졸리와 뒤바뀐 아이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Changeling, 2008)
(박재환 2009-2-17)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감독을 맡은 영화 [체인질링]을 최근 보았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누구인가. 올해 78살인 이 노친네는 정말 지칠 줄 모르고 끝없이 문제작을 만들어낸다. 그의 신작 [체인질링]에서도 사회와 사람에 대한 그의 끝없는 고민과 갈등을 느낄 수 있고, 사회적 해결책을 요구하는 사회파 감독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영화는 옛날 옛적 한 시절 미국을 소란스럽게 만들었던 범죄와 그 사회적 여파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감독이 말하고자하는 사회악에 대한 응징도, 매스미디어에 대한 시니컬한 시각도, 억압받는 여성들의 자기주장도, 그리고 아동대상 범죄에 대한 각별한 사회적 인식제고의 촉구도 깊은 충격과 메시지를 우리가 기대했던 것처럼 강렬하게 전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왜냐..
2009.02.17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을 거꾸로 간다] (F.스콧 피츠제럴드 원작소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을 거꾸로 간다 올해 아카데미에 작품상을 포함하여 무려 13개나 후보에 오른 작품이 바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라는 작품이다. 상영시간이 166분에 달하는 대작이다. 어제 영화를 보고, 오늘 원작소설을 읽었다. 소설부터 잠깐 소개한다. 의 작가 F.스콧 피츠제럴드는 미국의 ‘잃어버린 세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장편 5편과 단편을 100편 이상 썼다. 그 많은 단편 중 하나가 바로 이 작품이다. 원제목은 이다. 보니 꽤 많은 출판사에서 이 작품이 번역 소개되어 있다. 내가 본 것은 최신번역판인 >(김선형 번역본)이다. 한 50페이지 정도 분량이다. 나처럼 영화를 먼저 본 사람이라면 선 자리에서 바로 완독할 만큼 술술 읽히는 작품이다.(영화와는 조금 다르다. 브래드 피트..
2009.02.16 -
[24시티]二十四城 지아장커의 중국 한 도시 이야기
중국에는 지아장커(賈樟柯,가장가)라는 감독이 있다. 1997년 그의 영화 가 세상에 처음 알려졌을 때 세계영화(비평)계는 이 깜짝 놀랄만한 중국의 신예감독에게 열렬한 찬사를 보냈었다. 10년 만에 그는 장예모나 진개가가 빠져나간 중국영화계에 ‘예술혼의 상징’으로 급속히 자리매김했다. 1970년생 감독이 말이다. 물론 그의 작품들은 장예모나 진개가의 최근 작품들과 비교하자면 대중성은 지독히도 없다. 하지만 그의 놀라운 예술적 성취는 그를 이 시대 가장 유망한 중국영화감독으로 당당히 올려놓기에 족하다. 작년 한국의 영화주간지 >에서는 창간 13주년을 맞아 국내외 영화감독과 영화평론가를 대상으로 ‘신세기 영화 베스트10’을 뽑은 적이 있는데 그때 당당 1위를 차지한 작품이 바로 지아장커의 였다. 는 2006년..
2009.02.02 -
[적벽대전2-최후의 결전] 이번엔 진짜 적벽대전이다
오우삼의 새로운 도전 1과 2 오우삼 감독이 역대 중국영화사상 최고의 제작비(6억 위엔)를 투여하고 중화권 최고의 스타를 출연시켜 만든 삼국지 영화 은 상업적 이유로 상·하편 두 편으로 나뉘어 개봉되었다. 중국에서는 지난여름 개봉된 상편은 모두 4억 위안을 벌어들였다. 말이 ‘적벽대전’이지 ‘적벽대전’ 직전까지의 조조와 손권 측 군사대치에 집중된 전편만으로 이 정도 벌어들였으니 실제 전쟁이 펼쳐지는 (하)편의 수익은 어찌될까. 지난 7일 개봉되어 이미 2억 위엔 가까이 벌어들이고 있다. 영화 을 제대로 보기 위해 소설 와의 관계나 정사 와 관련하여 역사고증문제 등은 이미 한 차례 다루었고 이번엔 오우삼의 연출역량에 초점을 맞춰볼까 한다. (▶이것만 읽어도 소설-영화-역사에 대해 훤~해지는 박재환의..
2009.01.21 -
[레베카] '레베카' 악령 벗어나기 (대프니 듀 모리에 소설 1938)
[레베카]는 스릴러의 거장 알프레드 히치코크 감독에게 아카데미 작품상을 안겨준 1941년 할리우드 흑백영화이다. 영화를 꽤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남아있는데 이 책의 원작소설을 읽었다. [레베카]는 대프니 뒤 모리에가 1938년에 쓴 소설이다. 대프니 뒤 모리에는 영국인이다. 소설 는 ‘레베카’라는 여인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사람들의 기억과 숭모, 질투와 경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설은 한 여자의 회고로 시작된다. “어젯 밤 난 멘덜리로 돌아가는 꿈을 꾸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어떤 일인지 이 여자는 멘덜리에 대한 악몽 같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 여자는 멘덜리에 왜 갔었고, 왜 멘덜리를 떠났으며, 왜 멘덜리에서 헤어 나오기 위해 몸부림칠까. 우선 소설의 주인공이자 화자는 ‘레베카’가 아니..
2009.01.19 -
[언어없는 생활] 환상의 트리오
중국소설을 시대적으로 분류할 때 당대문학이 있다. 당연히 양귀비가 살던 당(唐:Tang)나라 시대인 당대(唐代)문학을 이야기할 것이다. 그런데 중국에선 당대(當代)문학이라고 하면 작금의 시기를 일컫는다. 처음엔 헷갈리기도 한다. 지난 주말, 중국의 당대(當代) 소설을 한편 읽었다. 이란 중편소설이다. ‘東西’라는 작가의 2006년도 작품이다. 작가의 이름이 특이했다. ‘東西’(중국어로는 ‘뚱시’라고 읽음)라고 하면 동서남북의 방향을 의미하기보다는 ‘물건’을 일컫는다. 그것도 다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한 시절을 풍미했던 “애 뭐야?”라는 의미가 내포된 “이건 웬 짜장?”할 때처럼 “웬 놈?”이라는 그런 ‘물건’을 말한다. 필명을 참 장난스레 지은 셈이다. ‘뚱시’의 본명은 멀쩡하게도 전대림(田代..
2009.01.14 -
[예고된 죽음의 연대기] 마르케스의 이야기
1982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1981년에 발표한 중편소설 를 읽었다. 이 책은 최근 민음사에서 조구호 씨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도서관에 찾고자하는 책은 없고 뜻밖에 다른 번역본이 하나 있었다. 차봉희 교수의 번역으로 1982년 샘터에서 출판한 책이다. 당시 번역제목은 이다. 역자의 소개에 따르면 '독일어 출판본'을 번역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마르케스의 모국 콜롬비아는 스페인어를 쓴다. 차봉희 교수가 번역한 은 이른바 중역(重譯)인 셈이다. (내가 스페인어를 전혀 모르기에 인명표기는 적당히 옮긴다. 이해바람!)1951년 라틴 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살인사건 이 책은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1951년 1월 22일에 발생한 한 살인사건을 다루고 있다. 의대생 ‘까예..
2009.01.09 -
[미안하다 독도야] 실효적 지배가 미치는 우리 땅 ‘독도’
독도는 동경 131도 52분, 북위 37도 15분 부근에 동도(東島)와 서도(西島), 그리고 그 주위에 흩어진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민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한국방송, KBS는 지난 2005년 5월 31일에 대한민국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동도에 세운 해양경찰청 막사 옥상에 파노라마 카메라를 설치했다. 이 카메라를 통해 독도 영상이 KT 무궁화3호 위성을 타고 KBS 보도본부에 24시간 전해진다. KBS에서 독도관련 뉴스나 특집방송을 할 때면 공중파 방송을 통해 독도영상을 내보내고 있다. 또한 KBS의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전송)하고 있다. 독도 현지음도 같이 나가고 있는데 독도에 살고 있는 하얀 물새들이 끼룩거리는 소리도 책상에 앉아서 바로 들을 수 있다. (KBS독도..
2009.01.07 -
[포세이돈 어드벤쳐] 1972년에 만들어진 해상재난영화 (로날드 님 감독 Poseidon Adventure 1972)
* 이 글은 박재환이 한창 감수성이 민감했던 1998년에 쓴 리뷰입니다. 2014년 4월 23일 조금 수정합니다. 세월호 사고 희생자의 명복을 빕니다. *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타이타닉>은 현대 할리우드의 테크놀로지가 선사할 수 있는 최고의 환상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유선방송에서 포세이돈 어드벤쳐>가 방영되기에 타이타닉>의 아버지뻘이 되는 이 영화로 재난영화의 전형을 보기로 했다. '타이타닉'과 '포세이돈'은 같은 듯 다른 것이 많은 영화이다. 타이타닉은 당시의 제조기술의 총화로서 첫 항해에서 침몰한 것에 비해, 포세이돈은 마지막 항해에 나서던 길이었다. 둘 다 선박회사 높은 분의 명령으로 무리한 항해를 하다가 바다 밑으로 가라앉는다. 연말연시. 폭풍우를 뚫고 한 척의 거대한 여객선이 검푸른 파도..
2009.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