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4)
-
[뮤지컬 베르테르] 베르테르는 왜 자살했을까
뮤지컬 베르테르 공연: 2013/12/03 ~ 2014/01/12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출연: 임태경, 엄기준, 전미도, 이지혜, 이상현, 양준모, 최나래 (박재환 2014.1.2) 독일 작가 괴테가 25살 때 쓴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예전엔 ‘젊은 베르테르의 번민(煩悶)’이라는 다소 고답적인 제목을 달기도 했었다. 이 작품은‘질풍노도의 청년기’에 밀어닥친 ‘사랑의 좌절’의 깊이와 비극성을 잘 표현한 작품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았다. 원작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1770년. 우리나라 조선 영조시대이니 꽤 된 셈이다. 독일의 한 감수성 풍부한 청년 베르테르가 어쩌다가 ‘롯데’라는 임자 있는 여자에게 홀딱 반해 번민의 시간을 보내다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된다는 내용이다. ‘베르테르의 슬픔’은 딱..
2017.08.18 -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심심타파 현실격파 연애완성 (2013년 홍익대대학로아트센터)
[벽을 뚫는 남자] 심심타파 현실격파 연애완성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공연: 2013/11/13 ~ 2014/01/26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출연: 이종혁, 마이클 리, 김동완, 고창석, 임철형, 최수진, 이정화,심재현,강연종,손승원,조진아,이경미 기획 제작: 쇼노트, CJ E&M 연출: 임철형 음악감독: 변희석 (박재환 2013.12.8) 이종혁, 김동완, 마이클 리가 트리플 캐스팅된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가 한창 공연 중이다. 이 작품 2006년 처음 한국 무대에 오른 뒤 꾸준히 재공연되고 있다. 원작은 프랑스의 단편소설이다. 프랑스의 소설가 마르셀 에메가 1943년 발표한 단편소설 ‘벽을 뚫는 남자’는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암울한 프랑스의 몽마르트가 배경이다. ..
2017.08.18 -
[뮤지컬 요셉 어메이징] 옛날 알록달록 코트가 있었어요 (2013년 유니버설 아트센터)
공연명: 요셉 어메이징 공연: 2013년 10월 29일 ~ 2013년 12월 12일 유니버설 아트센터 출연: 정동하 김승대 박영수 양요섭 (요셉 역), 이혜경 김경선 리사 (해설자 역), 김장섭 박준형 김형묵 (파라오 역) 제작: 라이브앤컴퍼니, RUG, KBSN 성경 속 이야기를 소재로 만든 대중적인 작품으로는 찰톤 헤스톤이 홍해의 바다를 둘로 가르는 ‘십계’라는 영화가 있었고, 범 성서적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는 역시 찰톤 헤스톤이 전차 경주를 펼치던 ‘벤허’라는 영화가 있다. 뮤지컬로는 단연 앤드루 로이드 웨버가 만든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가 유명하다. 바로 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가 약관의 나이에 만든 ‘요셉 어메이징’( Joseph and the Amazing Technicolor Drea..
2017.08.18 -
[뮤지컬 아메리칸 이디엇] Born in the U.S.A. (2013년 블루스퀘어)
뮤지컬 아메리칸 이디엇 (American Idiot) 공연: 2013년 9월 5일 ~ 22일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출연진: 숀 마이클 머레이(조니), 다니엘 C. 잭슨(세인트 지미), 토마스 헤트릭(터니), 케이시 오패럴(윌), 알리샤 드팔마(왓서네임), 제나 루바이(‘특별한소녀’), 마리아 맥팔레인(헤더) 외 앙상블. 제작: 오디뮤지컬, CJ E&M (박재환 2013.9.12) 한류스타를 끼워 넣은 해외 라이센싱, 대작 브로드웨이 작품이 한국 뮤지컬 시장의 덩치를 위태롭게 키워놓고 있는 작금에 조금은 특별한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서울에서 공연 중이다. 지난 5일부터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에서 공연 중인 ‘아메리칸 이디엇’이다. 이 작품은 미국의 펑키 락 밴드 그린데이(Green Day)의 노래를 엮어 ..
2017.08.18 -
[뮤지컬 스칼렛 핌퍼넬] 잉글리쉬 로맨티스트 (2013년 LG아트센터)
뮤지컬 ‘스칼렛 핌퍼넬’ 공연: 2013년 7월 6일 ~ 9월 8일 LG아트센터 출연진: 박건형, 박광현, 한지상 (퍼시/스칼렛 핌퍼넬 역), 바다, 김선영(마그리트 역), 양준모,에녹(쇼블랑 역) (박재환 2013.8.29) 18세기 말 프랑스는 온통 혁명의 물결로 들끓었다. 루이 16세와 마리 앙뚜와네트가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고 나서도 프랑스는 한동안 혼란의 연속이었다. 수백 년간 지속된 ‘앙상 레짐’을 일거에 무너뜨리기는 쉽지 않은 법. 참혹한 피의 혁명 시기가 이어진다. 왕족/귀족은 무조건 나쁘고 시민의 정의는 항상 옳은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하는 순간이다. 그런 역사는 역사책에서만 보는 법은 아니다. 만화책 ‘베르사유의 장미’에서도 볼 수 있고 뮤지컬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시기를 다룬 뮤지컬 ..
2017.08.18 -
[뮤지컬 시라노] “나의 코는 어마어마하게 크다오!” (2017년 LG아트센터)
뮤지컬 시라노 2017/07/07 ~ 2017/10/08 LG아트센터 (박재환 2017.8.6) 프랑스의 극작가 에드몽 로스탕의 의 첫 장면은 1640년 부르고뉴 성관의 홀에서 펼쳐지는 왁자지껄한 공연 모습을 통해 주인공 시라노의 성격, 외모, 그리고 전체적인 분위기를 알려준다. 이 동네에선 결코 입 밖으로 내어서는 안 되는 금기가 있는데 바로 시라노의 외모 ‘코’에 언급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코는 굉장히 크고, 우스꽝스럽고, 기이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라노는 자존심이 너무 세고, 칼싸움 너무 잘 하는 기사이기에 함부로 그의 앞에서 코를 언급했다가는 제 명에 못 살 것이다. 그런데 시라노는 단순한 협객이 아니라 로맨티스트이며, 뛰어난 시인이기도 하다. 는 연극으로, 뮤지컬로, 영화로 수도..
2017.08.18 -
[런치박스] 잘못 배달된 운명의 도시락 (리테쉬 바트라 감독 Dabba, The Lunchbox, 2013)
지난 주말(2014.11.17.) KBS 1TV ‘독립영화관’ 시간에 방송된 ‘런치 박스’는 한밤의 시청자에게 잔잔한 감동을 안겨준 인도영화였다. 인도 출신으로 현재 미국 뉴욕에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리테시 바트라 감독의 ‘런치박스’는 세계 유수의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면 호평을 받은 작품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작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후 올 초 아트극장에서 잠깐 상영되었다. 한국독립영화/단편영화와 함께 해외의 우수 아트계열 영화를 소개하는 ‘KBS독립영화관’을 통해 한국시청자에게 다시 선보인 것이다. ‘런치박스’는 인도 뭄바이의 명물인 도시락배달 시스템을 보여준다. ‘다바왈라’라 불리는 인도의 도시락 배달부는 우리나라 식당 배달시스템과는 조금 다르다. 작년 KBS ‘리얼체험 세상을 품다’에서 에드워..
2017.08.16 -
[낭만파 남편의 편지] "믿습니까?" (최위안 감독, 2012)
일요일 새벽 1시 5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독립영화관’에서는 영화팬들이 쉽게 볼 수 없는, 조금은 발품을 팔거나 손가락 수고를 해야만 볼 수 있는 충무로 영화나 단편영화들, 그리고 가끔 해외의 저예산 인디영화를 만나볼 수 있는 시간이다. 오늘 밤(9일 새벽 01시 05분)에는 ‘낭만파 남편의 편지’라는 작품이 소개된다. 재작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소개되었고 작년 아주 잠깐이지만 극장에도 내걸렸던 한국작품이다. 이 작품은 영문서적 번역가로 수많은 작품을 한글로 옮겼던 소설가 안정효가 1995년에 쓴 소설이 원작이다. 소설도 독특하지만 최위안 감독은 더 독특하게 영화를 완성시켰다. 작품은 경기도 부천의 한 작은 아파트에 사는 평범한 젊은 부부의 다소 맹랑한 ‘힐링 시도’시도를 이야기한다. ..
2017.08.16 -
[끝나지 않은 전쟁] 김학순 할머니를 기억하시나요 (김동원 감독 2008)
어제(2014.11.11) 밤에 방송된 KBS 1TV 독립영화관 시간에는 묵직한 역사 다큐멘터리 ‘끝나지 않은 전쟁’이 방영되었다. 이 작품은 ‘상계동 올림픽’, ‘송환’ 등 우리나라 다큐멘터리 역사상 기념비적인 작품을 만들었던 김동원 감독이 2008년 완성한 작품으로 위안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작품이다. 과거사 문제와 관련하여 잊을만하면 망언을 내뱉는 일본정치인의 행태에 분노를 가질 수밖에 없는 우리 국민에게 ‘위안부문제’의 근원과 실태를 이해할 수 있게 만든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김동원 감독은 우선 위안부의 근원과 실태를 생존자의 증언을 통해 알려준다. 대동아전쟁이 발발하고 일본이 중국으로, 동남아로 제국주의 진군을 하면서 군화발로 짓밟은 곳곳에서 강간과 몹쓸 짓을 해댄다. 이때 일본은 위안부 ..
2017.08.16 -
[조선반역실록] 조선의 역사, 반역의 역사 (박영규 김영사)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된 은 태조에서 철종에 이르기까지 470여 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일제 치하에 편찬된 고종/순종은 포함되지 않는다) 그 ‘조선왕조실록’을 다룬 책은 꽤 많이 나왔다. 인터넷에는 실록의 전문(한문과 한글번역본)이 올라와 있다. 200만권 이상이 팔린 베스트셀러 의 박영규 작가가 이번에는 실록에서 ‘반역’과 관련된 부문과 추려 한권의 책으로 엮었다. 이다.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라는 부제를 단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조선의 왕도 대단하고, 신하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국사편찬위원회의 ‘조선왕조실록’ 인터넷 사이트에서 ‘반역’을 검색해 보았다. ‘叛逆’이 351회, ‘反逆’이 197회 등장한다. 일반명사이니 많을 수 있..
2017.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