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8. 18. 11:30ㆍ한국영화리뷰
타지키스탄의 한 마을을 보게 되면서도 새마을운동 전의 한국 시골모습을 보게 되는 것 같은 어떤 묘한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분명 그 지역 사람과는 혈연적 이질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리우드 배우들과는 다른 유대의식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만이 갖게 되는 느낌이 아니라 감독의 말에 따르자면 그가 참가했던 국제영화제에서 들었던 소리라고 한다. 사실이지 이 영화의 최고의 미덕은 보편적인 정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가난한 자가 있고, 권력 있는 자가 있고, 그들 간에 갈등이 있으며, 그리고 훌륭한 희생정신이 있기 때문에 관객은 더욱더 소중한 감동의 시간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민병훈 감독은 우리가 생각하는 영화의 본질을 생각해보게 하는 인물이다. 재작년 부산영화제에 <투 타이어드 투 다이>를 들고 부산을 찾았던 진원석 감독처럼 민병훈도 무척이나 영화에 빠진 한 시절을 보낸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이스트반 자보의 <메피스토>를 본 후 동구 쪽, 특히 러시아 영화에 매료되어 버렸다. 그리고 많은 그러한 열성 영화팬들과는 다르게 민 감독은 직접 러시아로 날아가 버렸다. 그는 러시아에서 힘들게 영화학교를 다녔고(그가 러시아에서 보낸 고난의 날은 키노 99년 10월호에 자세히 나와 있다) 마침내 졸업작품으로 기숙사 친구인 잠셋 우스만노프와 함께 이 영화를 만들게 된 것이다. 아직도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그 머나먼 타지키스탄의 오지에서 그들은 순수 그 자체를 찍어내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 영화에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작품에서처럼 담백함과 순수함이 넘쳐난다. 분명한 것은 민병훈이 압바스 감독이나 <책상서랍속의 동화>의 장예모 같은 국제적 지명도 없이 이 영화를 만들어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더욱 영화가 값지고 유행성 대작 제작풍토의 한국영화계 현실에 어떤 경종을 울린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감독의 말에 따르면 이 영화에는 후반부 작업까지 포함하여 약 8,500만원의 순 제작비를 들였다고 한다. 작년 부산영화제 공개에 이어 연말 서울의 한 극장에서 조용히 상영되었다. 그리고 오늘(2000년 1월 15일) 서울 정동아트홀에서 1주일 더 앙콜 상영한다.
제작비를 더 구할 수 없어 몇 장면은 ‘상처난’ 화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타지키스탄은 내전 중이었고 한번은 폭격으로 네가 필름을 다 날릴 뻔했단다. 그만큼 힘들 게 완성한 한 영화감독의 위대한 데뷔작이다. 남들이 톱스타 '한석규'를 캐스팅 하고, 공룡을 불러다가 영화를 만들 때 또 한쪽에서는 끼니를 걱정하며 필름을 걱정하는 영화감독이 있었다는 것이다. 영화를 사랑한다면 민병훈 정도는 되어야할 것 같다. 부디 좋은 스폰서 구해서 맘껏 자신의 영화를 만들었으면 한다. 한국의 관객들 중에도 그런 영화를 아끼고 염려해주는 진짜 영화팬이 의외로 많으니 말이다.
이 영화에서는 벌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꿀벌의 꿀보다 더한 영화적 희망과 인간적 순수성을 맘껏 선사받게 된다. 감독은 각종 영화제에서 우리 돈으로 3,000만원 정도의 상금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그 돈을 모두 영화에 나온 마을에 목욕탕을 짓도록 기증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아직 부산의 PIFF거리에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손바닥 자국은 있지만 민병훈의 손바닥 도장은 없다. 대신 타지키스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우물이 있단다. 영화보면서 괜히 기분 좋아지는 경우 아니겠는가. (박재환 2000.1.15.)
'한국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키키 브라더스] 중년이 된 세친구 (임순례 감독 Waikiki Brothers, 2001, 명필름) (0) | 2019.08.25 |
---|---|
[화산고] 춤추는 매트릭스 (김태균 감독 Volcano High 2001) (0) | 2019.08.25 |
[푸르른 날에]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한은지 감독,2018) (0) | 2019.08.23 |
[교도소 월드컵] 영화명가가 만든 졸작 (방성웅 감독 2001) (0) | 2019.08.23 |
[운명의 손] 한국영화사상 최초 남녀주인공 키스장면 등장 (한형모 감독, 1954) (0) | 2019.08.23 |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아니나다를까 홍상수 스타일 (홍상수 감독 Woman Is The Future Of Man, 2004) (0) | 2019.08.17 |
[신라의 달밤] 경주로 간 '친구' (김상진 감독 2001) (0) | 2019.08.17 |
[해변으로 가다] 2000년 한국호러영화 (김인수 감독 Bloody Beach 2000) (0) | 2019.08.17 |
[봉오동 전투] “1920년의 전투, 2019년의 한국” (원신연 감독 The Battle: Roar to Victory 2019) (0) | 2019.08.16 |
[나탈리] 3D로 보여주마. 우리의 **장면을... (Natalie, 2010) (0) | 201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