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6)
-
[소금별] 소금별의 눈물은 특별히 짜다 (이준학 감독, 소금별 The Salt Planet 2014)
KBS 독립영화관 2018년 9월 4일 방송 오늘(2018.9.4) 밤 KBS 시간에 방송되는 영화 은 꽤 슬픈 영화이다. 오래 전 유승호가 나왔던 ‘집으로’가 생각나는 사람도 있을 테고, 개그콘서트에서 블랑카가 말하던 “사장님 나빠요”란 유행어가 떠오를지 모른다. ‘소금별’은 그런 이야기이다. 열세 살 소녀 지우(박서연)는 아빠의 손에 이끌려 시골 할아버지 댁에 맡겨진다. 아빠 엄마가 이혼했단다. 엄마는 미국으로 가 버렸고 아빠는 일이 많아 제대로 키울 수가 없어 방학동안 시골집에 맡긴 것이다. 할아버지는 염전을 하신다. 그런데, 자기 또래의 남자애가 고된 염전일을 거들고 있었다. 시골집도, 시골생활도 마뜩찮은 지우는 그 남자애 이름이 ‘미잔’(박희건)이고, 피부색이 달라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는다는 사..
2019.02.11 -
[레베카] 히치콕의 걸작을 극장에서 만나다 (Rebecca,1940)
(박재환 2018.09.06) 소설에도, 음악에도, 영화에도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품격과 아우라 느껴지는 작품이 있다. 그 목록에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들도 포함되어 있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은 관객을 깜짝 놀라게 하는 스릴러 영화를 만들었던 사람이다. 그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명확한 미학과 철저한 심리묘사는 그를 영화교과서의 한 챕터를 당당하게 완성시킨다. 그의 대표작들을 만나볼 수 있는 자리가 만들어졌다. 대형스크린에서 말이다. CGV아트하우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알프레드 히치콕 특별전’이다. 영국출신의 히치콕 감독이 영국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미국으로 건너가서 만든 첫 번째 작품이 바로 (Rebecca,1940)이다. ‘레베카’는 클래식 무비 가운데에서도 손꼽히는 명작이다. ‘레..
2019.02.11 -
서치, “디지털지문을 남겼다”
(박재환 2018.09.10) 2014년 유튜브에 올라온 2분 30초 정도 되는 동영상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인도계 미국인 아니쉬 차간티가 올린 ‘Seeds’라는 작품이다. 한 남자가 여행가방을 싸더니 택시를 타고, 지하철을 타고, 비행기를 타고, 인력거를 타고, 나룻배를 타고, 고향 인도의 한 시골마을 엄마를 찾아가는 여정이 담겼다. 그 과정에서 주인공의 얼굴은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손에 들린 노란 봉투를 애지중지 보여줄 뿐. 엄마를 만나 봉투 속에 든 사진을 건네준다. 이 영화는 당시 ‘디지털 디바이스 덕후’에게 화제가 되었던 ‘구글 글래스’로 찍은 작품이다. (요즘은 ‘고프로’로 이것보다 더 재밌게, 박진감 있게 찍을 수 있겠지만) 당시 아니쉬 차간티는 ‘구글글래스’의 특성을 잘 살..
2019.02.11 -
타샤 튜더, 소박한 삶이 주는 천상의 기쁨
(박재환 2018.09.15) 타샤 튜더(Tasha Tudor)의 이름은 한번 쯤 들어봤을 것이다. ‘정원가꾸기의 달인’으로 알고 있거나, 동화 작가와 어린이서적 삽화가로 유명하다. 그림을 보면 “아~” 할지도 모를 것이다. 워낙 유명하니. 타샤 튜더(1915~2008)의 삶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가 최근 개봉되었다. 이미 그녀를 다룬 책이 수십 종이 나온 상태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작품은 일본에서 만든 다큐멘터리이다. NHK에서도 이미 4편의 다큐를 만들었고, 이번에 마츠타니 미츠에(松谷光絵)감독이 미공개 영상과 이후 근황까지 더해 타샤 튜더 탄생 100주년 기념작으로 내놓은 (Tasha Tudor: A Still Water Story/ ターシャ・テューダー 静かな水の物語, 2017)이다. 타샤 튜더는 1..
2019.02.11 -
[물괴] 한양의 괴물 (허종호 감독 Monstrum 2018)
(박재환 2018.09.27) 지난 2012년 개봉되어 1,230만 관객을 동원한 (추창민 감독)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록된 에 기재된 단 한 줄의 문장에서 출발한다. 광해가 내린 전교, “숨겨야할 일들은 기록에 남기지 말라 이르다”(傳敎曰曰 可諱之事 勿出朝報)라는 짧은 문장에 숨은 비밀을 상상력을 총동원하여 드라마를 확장시킨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은 그야말로 이야기의 보고이다. 중종 대에는 ‘물괴’(物怪)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중종 22년(1527년)의 기록에 따르면 "삽살개 같고, 크기는 망아지 같은 것이 나타나 궁궐 안을 소란스럽게 했다“고 기록했다. 당시 한양을 공포로 몰아넣은 ‘물괴’의 정체는 무엇일까. 충무로의 상상력은 이 괴물을 블루 스크린으로 완성시킨다. 조선 중종 대에 한양에 역병이..
2019.02.11 -
[협상] 지정협상가 손예진 (이종석 감독 THE NEGOTIATION 2018)
(박재환 2018.09.27) 추석시즌에 맞춰 영화사들은 저마다 공들인 대작들을 내놓았다. 그 중 ‘협상’(이종석 감독)은 윤제균 감독의 ‘JK필름’이 CJ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배급하는 스릴러이다. 충무로의 타고난 이야기꾼이 선택한 ‘협상’에는 어떤 흥행요소가 포진하고 있을까 멜로 퀸일뿐더러 다양한 작품을 통해 충무로의 믿을 수 있는 배우로 굳건한 위상을 지키고 있는 손예진은 이번 작품에서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위기협상팀 하채윤을 연기한다. 위기협상팀? 사무엘 잭슨이 나왔던 할리우드 영화 ‘네고시에이터’에 등장하는 경찰이다. 테러나 인질극이 발생하면 어디선가 나타난다. 경찰과 대치 중인 급박한 상황에서 폴리스 라인을 넘어가 “내겐 무기가 없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겠다. 요구사항을 이쪽 책임자에게 잘 전달..
2019.02.11 -
[명당] 왕후장상이 될 땅은 따로 있다 (박희곤 감독 明堂, FENGSHUI 2018)
(박재환 2018.09.27) 영화 의 영어제목은 ‘FENGSHUI’이다. ‘풍수’(風水)의 중국어 표기이다. ‘명당’이라 함은 그게 무슨 의미인지는 몰라도 ‘좌청룡우백호’이고, 장사하는 사람에게는 지하철 초역세권을 의미할 것이다. 대선 때가 되면 “유력주자가 조상 묘를 이장했다”라는 뉴스를 볼 수 있을 만큼 일상적이다. 조선시대에는 어땠을까. 권력욕에 불타는 야심가들이 최고의 지관(地官)들로 하여금 최고의 묏자리를 찾게 한다. 에서 보여주는 이야기는 어떤 사람에게는 ‘믿거나말거나’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목숨과 가문의 존폐가 달린 심각한 문제인 것이다. 영화 (박희곤 감독)은 조선 후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한다. 왕(헌종,이원근)은 존재하지만 진정한 왕의 권력을 휘두르지 못한다. 그의 배후에는 수렴청정하는 ..
2019.02.11 -
중국영화 28세 미성년, “10년만 젊어진다면”
(박재환 2018.11.26) 여기 비*그라보다 좋은 영약이 있다. 10년의 세월을 되돌려주는 신비의 초콜릿이다. 단지 5시간만 효능이 지속된다. 그렇게 당신의 몸이 10년 전 세월로 되돌려진다면 무슨 일을 할 것인가. 가지 않은 길을 갈 것인가. 아니면 같은 실수를 반복할 것인가. 지난 주 극장에서 중국영화가 한 편 개봉되었다. ‘28세 미성년’(원제:28歲未成年)이라는 다소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화이다. 감독은 장말(張末,장모). 그 유명한 장예모(장이머우) 감독의 딸이다. 우선 가족부터 하자면. 중국현대사의 큰 비극이었던 문혁(문화대혁명)이 종결된 뒤, 멈춰 섰던 중국의 시계바늘이 조금씩 돌아가기 시작한다. 북경전영학원(베이징필름아카데미)도 다시 문을 열고 신입생을 받기 시작한다. 진개가(천카이거)..
2019.02.11 -
뷰티풀 데이즈 “그녀의 삶은 계속된다” (윤재호감독,2018)
(박재환 2018.11.26) 지난달 열린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은 오랜만에 스크린에 돌아온 이나영 주연의 저예산영화 ‘뷰티풀 데이즈’였다. 이나영은 10대의 나이에 북에서 중국 땅으로 넘어온 뒤,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의 20대를 보내고 지금은 한국에 정착한 여인을 연기한다. 어느 날 그에게 뜻밖의 사람이 찾아온다. 14년 전, 훌쩍 떠났던 그곳에 남겨둔 피붙이 아들이다. 아들은 “아버지가 죽기 전에 엄마를 무척 보고 싶어 해요.”라고 말한다. 그녀에게 무슨 일이 있어던 것일까.감독, 여자의 일생을 이야기하다윤재호 감독은 프랑스에서 미술을 공부하다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단다. 프랑스에서 민박집을 운영하는 한 ‘조선족’ 아주머니의 이야기를 들었단다.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중국에 두고 온 아들이야..
2019.02.11 -
[당신도 주성치를 좋아하시나요] 양조위보다? (강동완감독,2017)
(박재환 2018/11/27) 한국영화, 충무로의 미래는 ‘단편영화’에 있다고 한다. ‘십만원비디오제’부터 시작하여 열혈 청년 영화광들의 창작심을 자극하는 영화제가 몇 개 있다. 29일부터는 ‘제44회 서울독립영화제’가 열린다. 개막작은 ‘독립영화 차기작프로젝트: 인디트라이앵글 제작지원’으로 완성된 이다. ‘돌아오는 길엔’(감독 강동완), ‘대풍감’(감독 김한라)과 ‘내가 필요하면 전화해’(감독 임오정 감독) 등 세 편의 단편이 한데 묶인 것이다. 영화제에 맞춰 KBS의 센스 넘치는 ‘독립영화관’ 담당자가 특별한 작품을 준비했다. 강동완 감독의 전작 ‘당신도 주성치를 좋아하시나요’가 방송된다. 작년 서독제(서울독립영화제)에서 상영된 작품이다. ‘당신도 주성치를 좋아하시나요’의 내용은 간단하다. 여자친구와..
201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