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0)
-
[그린 나이트] 용자의 게임, 용기의 민낯
영미문학권에서 ‘아서왕의 전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세익스피어 만큼이나 클 것이다. 바위에 박힌, 혹은 호수에서 건진 명검(名劍) 엑스칼리버를 차지한 아서 왕이 원탁의 기사들과 함께 침입자 앵글로색슨을 무찌른 이야기는 수많은 군웅할거의 기사도 이야기를 창조해낸다. 그 최신판이 데이빗 로워리 감독의 [그린 나이트](The Green Knight,2021)이다. * 스포일러- 자세한 줄거리가 있습니다 * [그린 나이트]는 아서왕 말년의 이야기이다. 역사적으로는 아마도 서기 4~5세기 경에 해당한다. 카멜롯 궁성에서 아서왕이 주재하는 크리스마스 연회가 열린다. 왕좌엔 늙은 아서왕이 있고 곁에는 기네비어 여왕이 있다. 연회장에는 칼과 술잔을 든 원탁의 기사들이 포진해 있다. 아서 왕은 젊은 조카인 가웨인(데브 ..
2021.08.24 -
[남매의 여름밤] "우리는 한 식구입니다"
여기 조그마한 다마스에 짝퉁 나이키를 실고 다니며 파는 아버지가 있다. 이혼한 뒤 남매를 키우고 있다. 나이든 아버지 집에 들어간다. 얼마 뒤 여동생도 슬그머니 이 집에 들어와 기묘한 동거가 시작된다. 어른 남매와 어린 남매는 그렇게 한 여름을 보내게 된다. 오늘(2021.8.6) 밤 KBS 1TV [독립영화관]에서는 윤단비 감독의 ‘남매의 여름밤’이 방송된다. 부산국제영화제(2019)에서 넷팩상, 시민평론가상, 한국영화감독조합상, KTH상 등 4관왕으로 받으며 화려하게 데뷔한 이 영화는 이후 많은 영화제에서 상찬을 받은 독립영화계의 수작이다. ‘남매의 여름밤’에서는 방학 동안, 아빠(양흥주)와 함께 할아버지(김상동) 집에서 지내게 된 남매 옥주(최정운)와 동주(박승준). 2층 양옥집에서의 여름이 시작..
2021.08.24 -
[로맨싱 스톤] 마이클 더글러스와 캐슬린 터너, 정글로 모험을 떠나다
지난 주 개봉된 디즈니 어드벤처 ‘정글 크루즈’는 드웨인 존슨과 에밀리 블런트가 티격태격 거리며 아마존 밀림에서 전설 속 보물을 찾아 떠나는 작품이다. 이 영화를 보면 몇 편의 영화가 떠오를 것이다. 그 옛날 클래식이라고 할 수 있는 험프리 보가트와 캐서린 헵번의 ‘아프리카의 여왕’(1955), 그리고 ‘로맨싱 스톤’, ‘킹 솔로몬’ 등이다. ‘로맨싱 스톤’을 OTT에서 찾아보았다. 있다! 정말 보물을 발견한 것 같다. ‘로맨싱 스톤’(원제: Romancing The Stone)은 1984년에 한국에서도 개봉되었던 작품이다. 감독은 무려 로버트 저매키스. 몇 편의 흥행 실패작을 만들고 할리우드에서 실력을 의심받을 때 만든 회심의 역작이다. 이 작품 다음이 바로 ‘빽투더퓨처’였다! 영화가 시작되면 ‘아마도..
2021.08.24 -
[잘리카투] 인도 물소 폭주하다
여름 극장가에 인도영화가 한 편 개봉된다. 인도영화라면 아주 오래 전 TV에서 부처님 오신 날이 되면 ‘신상’(神象,1971)이라는 영화를 내보냈었다. [춤추는 무뚜] 이후 소개되는 영화는 대부분 신나는 음악과 활달한 군무, 유쾌한 스토리가 주를 이뤘다. ‘볼리우드’라고 불릴 만큼 많은 영화가 만들어지지만 한국에 소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부산영화제 아니면 만나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5일 개봉하는 리조 호세 펠리세리 감독의 인도영화 [잘리카투](원제: Jallikattu,2020)는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인도가 국제영화상(이전의 외국어영화상)후보로 올렸던 작품이다. 위키를 잠깐 찾아보니 인도에는 총 780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이중 1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는 216개, 헌법이 인정..
2021.08.24 -
[이도공간] 장국영의 부활, 그리고 장국영 죽음의 박제
장국영이 다시 돌아왔다. 그것도 커다란 극장 스크린에. 찬란했던 홍콩영화의 한 때를 기억하고, 스타 장국영에게 환호했던 세대라면 반가울 수밖에. 그런데 이 영화가 장국영의 유작이라는 사실을 알면 묘한 기분이 들 것이다. 1956년 태어난 홍콩스타 장국영은 2003년 4월 1일, 거짓말같이 팬 곁을 떠나갔다. 그리고 해마다 4월이면 그의 영화가 조용히 영화팬을 찾는다. 극장이든, 영화채널이든, OTT에서든. 올해는 조금 우려곡절 끝에 그의 영화 [이도공간]이 그의 부재를 아쉬워하는 팬들에게 돌아왔다. 장국영이 몰락해 가는 홍콩영화계의 불쌍한 3류 에로 영화감독으로 출연했었던 [색정남녀]가 바로 나지량 감독의 데뷔작이다. 이 영화를 공동감독했던 이동승 감독의 [창왕](더블 탭)에 이어 다시 [이도공간]을..
2021.08.24 -
[박미숙 죽기로 결심하다] 이상희의 결심하다 (윤미영 감독,2019)
오늘(2021.7.30) 밤 방송되는 KBS 1TV 독립영화관 시간에는 자칭타칭 ‘독립영화계의 전도연’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상희가 주연을 맡은 두 편의 단편영화 [박미숙, 죽기로 각오하다]와 [늦은 휴가]가 방송된다. 두 편 모두 청년의 한 때, 청춘의 희로애락을 담고 있다. [박미숙, 죽기로 각오하다]는 윤미영 감독의 2019년도 작품이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미숙(이상희)은 어느날 갑자기 ‘잘린다’. ‘토메이~도’ 발음을 못해서란다. 미숙은 일어일문과를 나왔단다. 이 조그만 세상에서 원어민 강사에 밀려 처연하게 집으로 돌아온다. 지하철에서도 미숙은 무시당한다. 같이 살던 고양이도 지난달 죽었다. 이제 정말 혈혈단신이다. 너무 외롭다. 베로니카처럼, 박미숙은 죽기로 결심한다..
2021.08.24 -
[늦은 휴가] 이상희가 나오는 독립영화 (나상진 감독,2019)
굳이 ‘청년’의 상한선을 정한다면? 입시지옥, 취업난, 생활고, 그리고 지지부진한 연애까지. 각자의 삶에 있어서 청춘의 한때를 어떻게 규정지을 수 있을까. 청운의 꿈을 품었고, 더 나은 내일을 기약하며 스스로 담을 쌓으며 달려온 시간들. 그러나 세상이 그렇게 만만하지도, 사람들이 그렇게 호의적이지도 않다. 오늘(2021.7.30) 밤 방송되는 KBS 1TV 독립영화관 시간에 만나보는 단편 두 편이 그렇다. 독립영화계의 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상희가 주연을 맡은 [박미숙, 죽기로 결심하다]와 [늦은 휴가]를 보면 특히 누군가에겐 흘러가버렸을 그 청춘의 서글픔이 느껴진다. 우선 나상진 감독의 [늦은 휴가]를 본다. ● 그해 늦은 여름, 나는 오랜만에 늦은 휴가를 가졌다 늦여름, 독서실에서 공부하던 선아는 문..
2021.08.24 -
[호텔 레이크] 비수기 호텔에서 생긴 일 (윤은경 감독 2020)
요즘은 사시사철 호러영화가 극장과 OTT에 출몰하고 있지만 호러의 참맛은 무더운 여름밤에 즐기는 공포영화일 것이다. 오늘 밤 KBS 1TV 독립영화관에서 방송되는 ‘호텔 레이크’같은 영화 말이다. 작년 4월, 코로나 와중에 극장 개봉되어 7만 여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던 작품이다. 이세영과 박소이가 출연한다. 박소이는 ‘담보’와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에 나왔던 그 인상적인 아역 배우이다. 원룸에서 혼자 살며 자기 앞가림하기도 벅찬 유미(이세영)가 보육원에 있던 배다른 동생 지유(박소이)를 떠맡게 된다. 지유가 귀신을 본다는 둥 이상한 말을 해서 더 이상 보육원에 있을 수 없게 된 것. 유미는 지유를 데리고 호텔을 운영하는 이모 경선(박지영)을 찾는다. 유미로서는 두 번 다시 찾기 싫은 곳이었다. 바로 이..
2021.08.24 -
[연상호 감독] 방법을 아는 남자 (방법:재차의 2021)
작년 초 tvN을 통해 방송된 드라마 [방법]은 전형적인 연상호 스타일의 작품이었다. ‘한자(漢字) 이름, 사진, 그 사람의 소지품’, 이렇게 3가지만 있으면 그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저주의 능력, ‘방법’(謗法)이라는 초능력을 가진 소녀(정지소)와 정의감 넘치는 사회부기자(엄지원)가 IT대기업 뒤에 숨어 있는 거대한 악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였다. 드라마 마지막에 ‘방법의 능력’을 가진 소녀가 홀연히 사라진다. 그리고, 그 뒷이야기가 영화로 만들어졌다. 28일 개봉하는 [방법 재차의](감독:김용완)이다. 되살아난 시체(재차의)에 의한 연쇄살인사건이 일어나고 이를 막기 위해 정의의 기자 엄지원과 방법사 정지소가 소환된다. 여기서 잠깐. ‘방법’이란 게 원래 있었나? ‘좀비’까지는 알겠는데 ‘재차의’라..
2021.07.26 -
[BIFAN리뷰] 목소리, ‘선유도에서 생긴 일’ (김영제 감독 단편)
지난 주 막을 내린 제2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에서는 42개국에서 출품된 257편의 영화가 상영되었다. 이 중 장편은 94편, 단편 114편, VR영화가 49편이다. 단편영화는 몇 편씩 묶어서 함께 상영된다. 김영제 감독의 [목소리]는 ‘판타스틱단편걸작선3’으로 묶여 상영되었다. 런닝타임 29분의 [목소리]는 학폭, 따돌림, 성폭력의 문제를 다룬다. 재연(이주영)은 학교 전담경찰관이다. 밤에 운동을 하다가 급박한 전화를 받는다. 여학생의 비명소리만 들리더니 끊기고 만다. 발신지 추적과 전화를 한 학생의 소재를 찾기 시작하지만 찾을 수가 없다. 다음날 실종된 학생 지수(최예빈)에 대한 행방추적이 시작된다. 학교 친구들을 탐문수사하고 학생과의 관계를 캐 묻다가 사라진 소녀 지수의 친구 주희(권..
20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