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개봉영화(48)
-
[춘향뎐] 임권택版 판소리 춘향전
한국사람치고 춘향이를 모를 사람은 없을 것이고, "암행어사 출도야~~~"하고 내달리는 이몽룡의 신나는 라스트 대반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춘향이는 적어도 심청이와 더불어 자자손손 한국인에게 사랑받는 캐릭터임에는 분명하다.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야기는 텔레비전 드라마로, 창극으로, 영화로, 코미디로, 애니메이션으로 수백 번 다시 만들어져서 우리를 찾아왔다. 이번엔 임권택이라는 거장 감독이 뛰어들었다. 이미 로 한국적 정서와 우리 것에 대한 탁월한 감각을 선보였던지라 많은 사람들은 어떤 기대를 하였다.춘향과 몽룡이 어린 나이에 사랑에 빠지고, 남자는 서울로 떠나버리고, 홀로 남은 여자는 크나큰 시련을 겪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의는 이기고 사랑의 승리를 만끽하게 된다는 기본 플롯은 언제나 각광받는..
2008.02.18 -
[비천무]규화보전 vs.비천신기 (김영준 감독 飛天舞: Bichunmoo, 2000)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온전한 재미를 위해 마가렛 미첼의 원작소설을 다시 읽어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비천무> 시사회장에서 흘러나온 한숨과 안타까움을 이해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이 김혜린의 원작만화를 찾아봐야할 것 같다. 원작만화는 김혜린이란 작가가 1986년 무렵부터 그리기 시작한 만화이다. 대원문화출판사에서 여섯 권짜리 단행본으로 묶여 재발행된 이 만화는 당시까지 한국에선 보기 드물었던 무협과 순정이 혼합된 형태의 만화이다. 물론 당시에는 홍콩영화의 전성기였고 신필(神筆)이라고 불리는 김용의 소설이 본격적으로 국내에 번역 소개되기 시작한 때였으니 만화계에서 그런 시류에 편승했음직하다. 북해의 별>의 김혜린이 굳이 중국 중세를 배경으로 만화를 이끈 것은 그러한 엑조티즘의 연장일 수가 있을 것이..
2008.02.18 -
[희극지왕] 주성치는 살아있다. 어디에? (喜劇之王,1999)
홍콩의 희극배우 주성치가 주연하고, 각본하고, 감독한 영화 이 한국에서 지난 주말(2000년 3월) 조용히 개봉되었다. 서울 시내 MMC 극장 단 한 곳에서만 개봉된 을 보기 바로 이틀 전, 주말 모 TV에서 방영하는 영화연예 정보프로에서는 이 영화를 소개해 주며 영화의 거의 전편을 짜깁기하여 소개하는 친절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극장에서 주성치 영화를 또다시 커다란 스크린으로 보게 되니 감회가 새로울 수밖에. 주성치 영화를 올바르게 감상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그것은 결코 자신이 '왕가위 패거리(사단)'가 되어서는 안 되며, 또한 맥락는 저질이 되어서도 결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주성치의 오소독스한 매력을 절대 느낄 수 없다. 오랫동안 적용되던 주성치영화 감상법이지만 이제..
200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