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2)
-
금성무, [적벽대전] 기자회견 (2008-6-25, W호텔 비스타홀)
올 7월 10일 개봉예정인 [적벽대전-거대한 전쟁의 시작]의 홍보를 위해 오우삼 감독과 주연배우 양조위, 장진, 금성무, 임지령이 한국을 찾았다. 8,000만 US$로 중국영화사상 최고의 제작비를 들인 [적벽대전]은 상/하 편으로 나뉘어 개봉된다. 감독과 배우들의 방한 홍보활동에 앞서 이 영화의 기자시사회는 지난 월요일 삼성동 메가박스에서 진행되었다. 금성무(金城武=진청우=Takeshi Kaneshiro)는 대만 영화배우이다. 엄마는 대만사람, 아빠는 일본인이다. 한때는 정말 슈아이꺼(꽃미남)로 이름을 날렸었다. (글 사진 = 박재환) 사진은 추후 추가예정임.
2008.06.26 -
장진, [적벽대전] 기자회견 (2008-6-25, W호텔 비스타홀)
올 7월 10일 개봉예정인 [적벽대전-거대한 전쟁의 시작]의 홍보를 위해 오우삼 감독과 주연배우들이 한국을 찾았다. 8,000만 US$로 중국영화사상 최고의 제작비를 들인 [적벽대전]은 상/하 편으로 나뉘어 개봉된다. 감독과 배우들의 방한 홍보활동에 앞서 이 영화의 기자시사회는 지난 월요일 삼성동 메가박스에서 진행되었다. 어린 나이에 [고령가소년살인사건]으로 이미 매니아급 팬을 거느린 장진은 대만의 손꼽히는 톱스타로 성장했다. 김기덕 영화의 [숨]에 출연하며 한국과는 인연이 깊은 편. 장진은 중화권에서는 모델로도 곧잘 주목받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장에서 언뜻 굉장한 카리스마+포스를 느끼게 하는 눈빛을 선사했다. (글, 사진 박재환)
2008.06.26 -
오우삼 [적벽대전] 기자회견 (2008-6-25, W호텔 비스타홀)
오우삼 감독이 신작 [적벽대전-거대한 전쟁의 시작] 영화 홍보를 위해 한국을 찾았다. 이번 홍보투어에는 주연배우 양조위, 장진, 금성무, 임지령이 동행했다. 7월 10일 한국, 홍콩, 중국, 대만 등지에서 일제히 개봉될 예정이다. [적벽대전]의 시사회는 지난 월요일 삼성동 메가박스에서 진행되었다. 오우삼 감독은 이날 자신이 18년동안 준비한 역작 [적벽대전]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글, 사진 박재환)
2008.06.26 -
[크로싱] X같은 ‘인생은 아름다워’ (김태균 감독 Crossing, 2008)
(박재환 2008.6.25.) 지금부터 10년 전인 1998년 12월 20일 오후 8시, KBS 1TV [KBS스페셜]에서는 충격적인 르포 프로그램을 하나 방송했다. 제목은 >였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RENK(북한민중긴급행동네트워크)가 여러 경로를 통해 위험하게 촬영한 북한 주민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 당시 한국 매체에는 북한이 연이은 수재로 ‘굶어 죽는 사람’이 생기고 있다는 뉴스를 심심찮게 전하고 있을 때였다. 하지만 당시나 지금이나 북한의 어느 하늘 아래서 실제로 어떤 일이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를 속 시원하게 알기란 어려웠다. 그런 시점에 목숨을 건 몇몇 비디오 액티비스트들이 찍어온 영상물은 당시 한국 시청자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방송내용은 북한의 어느 도시의 모습을 통해 당시 북한의 헐벗은..
2008.06.25 -
[도화선] 견자단 추조룡의 리얼 육박전 영화
거듭 말하지만 홍콩영화의 흥망성쇠는 두 가지 상반된 교훈을 한국영화인에게 던져준다. 홍콩은 작은 나라라는 제한된 영화 시장에서 끊임없이 장르영화를 만들어왔고 자신의 장기에 온 역량을 집중하였기에 수십 년 동안 아시아 최강의 영화제작국이 될 수 있었다. 또 다른 시각에서 보자면 홍콩영화계는 자신들의 제한된 성공에 도취되어 끝없는 대량 자기복제를 저질러왔다. 그래서 인내에 한계를 느낀 영화팬들은 더 이상 극장을 찾지 않았고, 몇몇 스타라고 일컬어지는 존재들의 영화에만 ‘열혈팬’들이 그나마 줄은 서는 컬트 영화로 생명을 이어왔다. 오래 전 쇼 브러더스 영화가 막을 내렸고, 이소룡이 요절했으며, 성룡이 나이 들어감에 따라 화려했던 홍콩의 액션영화는 그 불꽃이 사그라지고 말았다. 게다가 어느 순간 [옹박]을 들고..
2008.06.19 -
[중국 이유있는 뻥의 나라?] 태생적 과대과장의 DNA를 타고난 민족
작년 한해동안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의 수는 450만 명(연인원)이 넘는다고 한다. 사업상 중국을 방문하든 단체관광을 가든 이미 엄청난 수의 한국인이 중국을 밟아보고 중국사람을 만나보고 중국의 실체를 만나고 온 것이다. 서점에 가보라 중국에 관한 책이 엄청나게 많다. 중국역사는 제외하고 관광이나 중국대중문화에 대한 소개책자도 꽤 있다. 이런 중국열풍에서 가장 잘 읽히는 소프트웨어는 아마도 중국에세이일 듯. 최근 나온 [중국 이유있는 '뻥'의 나라]는 이들 도서 중 아주 관심이 가는 책이다.그 많은 책들중에서 관심이 가는 이유는 우선 제목이 꽤나 흥미롭다는 것. '중국=뻥'이란 개념은 [영웅]과 [연인] 등의 중국산 무협물로 다시 한번 주목받게 된 중국인식이다. 그리고 이 책은 [삼성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2008.06.10 -
[쾌찬차] 성룡, 원표, 홍금보, 그리고 스페인 미녀 (홍금보 감독 快餐車 Wheels on Meals 1984)
(박재환 2008.6.9.) 성룡은 1980년대 들어서 홍콩 최고의 흥행배우가 된다. [사형도수](사형조수)와 [취권]으로 스타덤에 도른 성룡은 [사제출마]나 [용소야] 같은 올드 스타일의 영화로 관객을 끌어 모으더니 곧이어 [프로젝트A] 같은 영화로 홍콩 액션영화의 새로운 장을 연다. 1984년에 개봉된 [쾌찬차](快餐車)도 성룡 영화로서는 획기적인 작품. 홍콩이 좁다면서 세계로 눈을 돌린 것이다. 사실 성룡은 그 전에 [베틀크리크]나 [캐논볼] 등으로 할리우드 시장을 두드렸지만 아시아스타의 한계를 실감해야만 했다. 대신 홍콩영화 자체의 외연 확대를 노린다. [쾌찬차]는 성룡과 그 친구들이 스페인에서 한바탕 액션을 벌인다. 물론 스페인 차이나타운 이야기는 아니다. 성룡(토마스)과 원표(데이빗)는 스페..
2008.06.09 -
[오복성] 이른바 ‘복성’시리즈 영화
[Reviewed by 박재환 2008-6-5] 21세기가 되기 전까지 홍콩영화는 할리우드영화 다음으로 한국 영화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었다. 주윤발과 성룡, 장국영, 뭐 이런 스타들이 한국 극장가를 꽉 잡았던 시절이 있었다는 말이다. 지금 와서 그 영화들을 다시 보면 전형적인 오락액션영화의 전범들이다. 홍콩은 자기들의 능력을 알고 있었고, 자기들의 영화시장을 잘 파악하고 있었던 셈이다. 물론 왕가위같이 한 예술 하는 사람들이 또 다른 시장을 개척하려고 무지 고생한 것도 사실이다. 여하튼 그런 홍콩영화는 언제부터인가 끝없는 자기복제와 날림공사로 몰락의 길로 들어섰다. 그런 홍콩에서는 한 영화, 혹은 장르가 성공하면 당연히 속편들이 끝없이 만들어지고 정말 거짓말같이 많은 아류작이 한꺼번에 쏟아졌다..
2008.06.05 -
[1998년 지금 북한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굶지 마, 죽지 마, 살아남을 거야
차인표 주연의 영화 [크로싱]이 곧 개봉할 예정입니다. 소위 북한이탈주민 (탈북자)을 다룬 다큐멘터리 터치의 영화랍니다. 김태균 감독은 10년 KBS TV를 통해 방송된 다큐를 보고 영화로 만들기로 작정했답니다. 바로 이 작품입니다. 전에 써놓았던 글을 다시 올립니다. 그때는 그냥 시청자 입장이었고 지금은 KBS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KBS미디어 있습니다. ^^ (2008/2019) [크로싱] X같은 ‘인생은 아름다워’ (김태균 감독 Crossing, 2008)(박재환 2008.6.25.) 지금부터 10년 전인 1998년 12월 20일 오후 8시, KBS 1TV [KBS스페셜]에서는 충격적인 르포 프로그램을 하나 방송했다. 제목은 >였다. 일본..www.kinocine.com KBS방송: ..
2008.05.26 -
[인디아나 존스 4] 대략.. 18년만의 귀환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 2008)
(박재환 2008.5.21.) 지금부터 28년 전인 1981년에 개봉된 할리우드 영화 중에 [레이더스: 잃어버린 성궤의 추적자들](Raiders of the Lost Ark)이라는 신나는 영화가 있다. 당시 [스타워즈] 시리즈로 미국 영화사(史)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사를 풍성하게 만든 죠지 루카스와 [죠스]란 영화로 블록버스터 시장에 새 물결을 일으킨 스티븐 스필버그가 “007 제임스 본드 영화보다 더 재미있는 영화를 만들어보자!”고 의기투합하여 만든 영화였다. 이 영화는 007만큼 많이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007보다 더 흥행이 잘 되고, 그 주인공 인디아나 존스 박사는 제임스 본드보다 더 매력적인 캐릭터로 사랑받게 되었다. 조지 루카스나 스티븐 스필버그, 그리고 주인공 해리슨 포드는 인디아나 존스 - ..
2008.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