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니메이션25

[해수의 아이] "생명은 방울방울" (와타나베 아유무 감독, 海獣の子供 2019) 시각적으로 동공이 활짝 열리는 판타스틱한 애니메이션이 개봉한다. 지난 여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소개된 일본 애니메이션 (원제:海?の子供)이다. ‘바닷물’의 아이가 아니라 ‘바다괴물(짐승)’의 아이다. 영화는 의 이가라시 다이스케가 2006년에서 2011년까지 잡지에 연재했던 동명의 만화가 원작이다. 판타스틱한 이미지와 조금은 난해한 이야기의 는 와타나베 아유무 감독에 의해 환상적인 영상물로 완성되었다. 일본의 한 고즈넉한 해안마을에 사는 루카는 외로운 소녀이다. 여름방학 첫날을 맞이했지만 상황은 더욱 위축된다. 학교 핸드볼팀에서 그야말로 훨훨 나는 활약을 보이지만 혼자 꿍하는 스타일의 루카는 팀원과 트러블이 생기고 결국 팀에서 쫓겨난다. 의기소침한 루카가 향한 곳은 아버지가 일하고 있는 아쿠아리움.. 2020. 9. 29.
[기기괴괴 성형수] 바르고, 찢고, 주물럭거리면 “나도 초미인!” 코가 조그만 높았더라면 큰일 날 뻔한 클레오파트라는 2천여 년 전 사람이다. 그 시절 유물을 살펴보면 이미 그 때부터 여자들은 화장을 했단다. 창포물로 머리 감는 자연친화적인 화장품인줄 알았는데 화학분석을 해보니 구리와 납 성분이 다량 함유되었단다. 그러니, 예뻐지려고 발랐던 것이 세월이 흘러, 시간이 지나면서 세계적 미녀의 얼굴을 어떻게 망가뜨릴지는 짐작이 간다. 어쩌겠는가. 아름다워지려는 인간의 그렇게 오래되었으니. 코로나시절에 가장 괴기스러운 영화가 개봉된다. 국산 애니메이션 이다. 몇 년 전 네이버 웹툰을 통해 공개되어 꽤 인기를 끈 작품이란다. 오성대 작가의 원작 웹툰은 조경훈 감독에 의해 85분짜리 영화로 만들어졌다. 성형수의 수는 물 ‘수’(水)자이다. 얼굴뿐만 아니라 전신성형을 가능하게 하.. 2020. 9. 7.
[공각기동대] 창조주에 대한 망가적 상상력 (오시이 마모루(押井守) 감독 攻殼機動隊 Ghost In The Shell,1995) (박재환 1999.5.23) 를 보고 나면, 와 를 말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이 공각기동대는 사실 나에겐 상당히 어려운 영화이다. ‘포스트 사이버펑크 재패니메이션’이라니! ‘공각기동대’(Kokaku kidotai; 영어제목은 Ghost in the Shell(혹은 CELL))는 영화에 등장하는 특수조직이다. 영어제목을 뜯어보면, ‘세포조직 속의 고스트’(유령)이다. 좀 더 상상의 나래를 펴면, 인체조직 속에 주입된 영혼, 시스템 속에 삽입된 명령어. 식으로 어떤 무감각체내에 포함되어지는 컨터롤러인 셈이다. 정확히 공각기동대는 ‘OP’나 ‘MIB’처럼 하나의 특수한 정보조직체이다. 배경은 2029년 일본(쯤)이다. 얼핏 보아도 배경의 대부분은 홍콩과 중국의 광동-절강성 지역으로 보인다. 일본총리 산하의 비.. 2019. 8. 13.
[드래곤 헌터] 김기리와 장광의 애니메이션 (기욤 이베르넬, 아르튀르 크왁 감독 Chasseurs De Dragons, Dragon Hunters, 2007) (박재환 2003.1.25) 겨울방학에 어린이에게 좋은 선물은 극장에서 애니메이션 한 편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전엔 그랬다. 그런데 요즘은 애니메이션이 밤하늘별만큼 수도 없이 많이 쏟아진다. 줄잡아 2~30편의 만화영화들이 겨울방학 시즌을 맞아 개봉날짜를 기다리고 있다. 이번 겨울에 좋은 날을 잡지 못하면 여름방학 때까지 밀릴지 모른다. 디즈니나 픽사, 지블리 같은 명가의 작품 말고도 장르도 다양하고, 목소리 연기(성우)도 다채롭다. 그야말로 골라보는 재미가 넘치는 겨울방학임에 분명하다. 이번 주 개봉되는 영화중에 특이한 애니메이션이 한 편 있다. 이다. 드래곤 헌터(Dragon Hunters)는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이다. (프랑스원제: Chasseurs de dragons) 원래는 2008년에.. 2019. 8. 13.
[피부색깔=꿀색] 내 이름은 융 (융 헤넨 감독 Approved for Adoption 2012) 지난 2009년 개봉되어 84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스포츠영화 ‘국가대표’는 어릴 적 해외에 입양되어 미국 알파인스키 국가대표까지 된 남자주인공(하정우)이 모국을 찾아 자신의 한 많은 뿌리를 찾는다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 영화 ‘피부색깔=꿀색’에 등장하는 해외입양아는 모국에 대해, 아니 자신을 낳아준 친부모에 대해 그리움과 함께 원통함을 안고 있다. 입양되어간 나라가 얼마나 잘 살고, 양부모가 아무리 잘 해주어도 자신의 뿌리에 대한 어쩔 수 없는 그리움과 숨길 수 없는 피의 무게를 보여준다. 제3자의 입장인 관객이 보기엔 과연 그럴까라고 생각할지라도 말이다. 해외입양아들은 공통적으로 모국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갖고 있으리라. 다섯 살 남짓의 나이에 저 멀리 벨기에로 입양된 한국출신의 애니메이션 작가의.. 2014. 5. 6.
[외계에서 온 우뢰매] 에스퍼맨 심형래 (김청기 감독 Wuroi-mae From Outer Space, 1986) 를 리뷰한다고? 내가 왜 우뢰매를 보게 되었냐하면 지난 5월 심형래 페이지 만들 생각을 하고선 를 보고선 "아이고, 한심한 박재환.."하고선 중단했었다. 하지만 여전히 비디오샵에 가면 한쪽 구석에 엄청 쌓여있는 심형래영화들을 보며 유혹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어제 남들은 ‘히딩크 태극전사 개선행사’를 볼 때 수명이 다해가는 오래된 비디오테이프 1편을 진지하게 쳐다봤다. 단언컨대 난 이 영화를 보면서 단 한 번도 웃을 수 없었다. 심형래가 나오는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에드 우드'감독을 계속 떠올리게 하는 엉성함과 유치함, 저예산의 작품을 참고, 참고, 또 참으면서 지켜봤다. 이 영화의 제작사 서울동화엔터프라이즈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별다른 자료는 없고, 이 영화가 전국관객 '400.. 2013. 1. 3.
[해피 피트2] 황제펭귄이 사는 법 (조지 밀러 감독 Happy Feet 2, 2011) 지구상에는 17종의 펭귄이 있다고 한다. 63빌딩 아쿠아리움에는 킹펭귄과 자키스펭귄이 있고 서울대공원 동물원에도 자키스펭귄이 있다. 그런데 아마도 한국 사람에게 가장 익숙한 펭귄은 황제펭귄일 듯하다. 최근 모 방송사에서 보여준 남극 다큐멘터리에 등장한 이 황제펭귄의 눈물겨운 부성애는 시청자들을 감동으로 몰아넣었었다.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가는 극지동물의 참혹한 삶은 눈물 없인 볼 수 없는 드라마였다. 그 귀엽거나 가여운, 혹은 대단한 펭귄을 볼 수 있는 영화가 개봉되었다. 영화포스터에는 ‘온 가족이 즐기는 초대형 애니 뮤지컬’이라고 나왔다. 신나고 경쾌한 음악 때문에 보는내내 어깨가 들썩거리게 되는 애니메이션이다. 드넓은 얼음대륙을 가득 채운 까만 등가죽과 하얀 뱃살의 수 천, 수 만, 아니 수십만 마리의.. 2012. 2. 2.
[돼지의 왕] 우리들의 일그러진 ‘중딩’ 영웅 (연상호 감독 The King of Pigs 2011) 학교 내의 조직화된 폭력문화와 애써 눈 감거나 공범으로 빨려드는 무감각을 날카롭게 지적한 이문열의 소설 은 1960년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부정과 비리의 반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의 추악한 면모를 소름끼치게 그려냈다. 그리고 지난 주, 한국사회의 병폐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건이 인터넷뉴스를 휩쓸었다. 대한민국 어느 여중학교에서 여선생과 여학생이 서로 머리채를 끌어당기며 싸움을 벌였다는 기사이다. 분명 ‘학교사회’에는 선생과 학생이 각자 있어야할 자리가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잘못된 질서와 체계가 여전히 움직이고 있다는 우울한 신호이다. 그런 우울한 때에 만화영화 한 편이 개봉된다. 올해 독립영화계 최고의 수확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연상호 감독의 이다. 은 지난 달 열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 2011. 11. 3.
[바시르와 왈츠를| (아리 폴만 감독 Waltz With Bashir, 2008) 우리나라에서도 꽤 많은 영화제가 열린다. 그중 나름대로 언론과 대중의 주목을 받는 국제영화제로는 워낙 유명한 부산국제영화제와, 대안영화를 모토로 내세운 전주국제영화제, 그리고 장르영화의 페스티발을 지향하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있다. 올해(2008년)로 12회째를 맞이한 부천영화제가 지난 주말 개막되었다. 그동안 부천영화제에서는 호러, 괴기, 공포, SF, 스릴러, 엽기 등을 키워드로 내세운 영화들이 ‘판타스틱 영화’로 소개되었다. 하지만 곰곰 생각해보면 ‘판타스틱’하지 않은 영화가 어디 있는가. 그래서인지 ‘영화라는 콘텐츠’와 ‘영화제라는 행정(혹은 정치)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부천영화제는 심한 몸살을 앓기도 했다. 그런 부천이 2008년 선택한 개막작품은 그런 부천영화제의 고민을 보여주는 걸작 중의.. 2008. 7. 22.
[토이 스토리2] 스티브 잡스, 존 레스터, & 봉제인형 (존 라세터 감독 Toy Story 2 ,1999) (박재환 2000.1.3.) 속편이란 것이 전편보다 못하다고들 하지만, 보기에 따라선 2편도 충분히 재미있었던 것이 많다. 나 , 혹은 하다못해 도 재미있었다. 하지만, 전편의 인기와 완성도가 워낙 높은 경우 어지간한 작품은 모두 전작의 후광을 등에 엎고 돈벌이에 눈이 먼 사악한 마케팅전략 쯤으로만 이해하기 쉽다. 하물며 아동용 영화일 경우에야. 도 다른 디즈니의 인기만화처럼 하마터면 비디오시장으로 곧장 가 버릴 뻔했다. 하지만 픽사의 힘은 대단하다. 아이들이 성탄절 선물로 받아서는 사춘기가 되어 데이트 나가기 전까지 지겹도록 갖고 놀기에 너무나도 적당한 장난감 세트들로 한순간에 관객의 마음을 앗아가 버리니 말이다. 성인관객은 어린이가 되어 버리고, 어린이는 한순간에 동화 속에 파묻혀 버린다. 헐리우드가.. 2008. 3. 29.
[토이 스토리] 우리 친구 아이가? (존 라세터 감독 Toy Story 1995) (박재환 2000.1.6.) 만화영화계의 대왕국 디즈니랜드는 언젠가부터 컴퓨터 디지털기술을 이용한 작품을 연이어 만들어 왕년의 만화왕국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시켰다. 그런 디즈니는 세계 최초로 디지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설립한 픽사와 손잡고 100% 디지털 애니메이션을 내놓았다. 그게 1995년의 일이고, 그 첫 작품이 바로 이다. (픽사는 1986년에 ‘무려’ 2분짜리 디지털 애니메이션을 실험적으로 만들었다. 는 아카데미 단편애니메이션 후보에도 올랐다. 원래 픽사는 루카스 필름에서 컴퓨터그래픽을 담당하던 부서였는데, 애플컴퓨터로 떼돈을 번 스티브 잡스가 미래가치를 알아보고 일개 부서급에 불과하던 ‘픽사’를 사들였던 것이다.) 어쨌든 그런 사연을 가진 는 시각적으로, 기술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한편의.. 2008. 3. 29.
[이웃의 토토로] 순수의 마음에 비친 토토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となりの トトロ My Neighbor Totoro 1988) (박재환 2001.6.29.) 작년(2000년) 6월 27일, 당시 문광부 박지원 장관은 3차 일본대중문화 개방조치를 발표하였다. 영화수입업자/국내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가장 경계했던 극장용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를 포함한 각종 국제영화제 수상작품으로 한정’하여 수입을 허용한다고 발표했었다. 그 후, 이런저런 영화제에서 상을 수상한 , , , 그리고 같은 일본국적의 영화가 잇달아 개봉되었다. 하지만, 처음의 우려와는 달리 이들 영화가 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을 위축시킬 만큼 폭발적인 흥행으로 연결되지는 못했다. 이유는 여러 가지이겠지만 우선 신선도가 떨어지거나 한국의 일반적인 대중적 정서와는 많은 괴리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번에 개봉되는 는 아마도 그 동안의 재패니메이션의 부진을 말끔히.. 2008. 3. 29.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千と千尋の神隱し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 (박재환 2002.4.29.) 3회 전주국제영화제 최고의 화제작은 단연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千と千尋の神隱し)이다. 이 영화는 일본개봉 때부터 워낙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만화’임에도 불구하고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금곰상을 획득하면서 보편적인 작품성까지 공인받은 상태이다. 전주영화제때 이 영화가 상영된 메인상영관 모악관 입구에는 색다른 입간판이 있었다. 이 영화 국내 수입업체(홍보사)에서 이 영화의 국내 포스터에 대한 이미지 조사를 한 것이다. 모두 네 장의 포스터가 전시되었는데 일본 공식포스터와 변형된 것, 그리고, 국내용으로 새롭게 만든 것었다. 그 포스터에서는 어떤 ‘왜색’적인 냄새, 아니메/망가 이미지가 덜 했다. 그래서인지 그 포스터가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이 영화는 7월에 국.. 2008. 3. 29.
[스피릿] 야생마, 자연으로 돌아가다 (케릴 에즈버리 & 로나 쿡 감독 Spirit: Stallion of the Cimarron 2002) (박재환 2003.2.19) 오늘(2003/2/18) 현재 ‘미국’ 박스오피스의 만화부문 흥행성적만 살펴보자. 1위는 디즈니의 으로 3억 2천 4백만 달러의 흥행수익을 올렸다. 그 뒤를 , ,,,,, ,, 등의 순이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드림웍스의 은 7,300만 달러로 메이저 영화사의 기대작 치고는 그다지 성공하지 못한 편이다. 작년 풍자만화라는 평가를 받은 을 내놓아 애니메이션 종가 디즈니를 위협했던 드림웍스는 으로 다시 한 번 영역 개척에 나섰다. 이 영화는 만화제작 기술측면에서 보자면 2D와 3D기술이 적절히 뒤섞은 ‘혁신적인’ 영화라고 한다. (물론, 일반 관객이야 그게 무슨 차이가 있는지는 모른다. 사실, 나도 모른다. 그것도 전혀!) 영화는 서부 개척시대 푸르른 들판을 마구 뛰어다니던 야.. 2008. 3. 29.
[뮬란] 중국고전에서 찾은 디즈니의 꿈 (토니 뱅크로프트& 배리 쿡 감독 Mulan 1998) (박재환 1999.3.1.) 여름이면 찾아오는 디즈니 영화가 점점 블록버스터급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 은 같은 민족영웅담이다. 북방의 오랑캐 훈族이 쳐들어오자, 중국은 자기네들의 땅을 방어하기 군사적 준비를 한다. 모든 집안에 징집령이 내려진다. ‘파’ 집안에도 한 장정이 나가야하지만 아버지는 이미 나이 들고, 다리까지 불편한 신세. 뮬란은 아버지가 출정하면 곧 죽을 것임을 알고는 징집명령서를 훔쳐서는, 스스로 머리를 자르고 남장을 하고선 캠프에 들어간다. 그리곤 신병훈련을 거쳐, 마침내 잔인한 훈족을 물리치고 중국을 이민족의 침입에서 구해낸다. 황제는 중국을 구한 이 여자에를 축복을 내린다. 줄거리는 대강 저렇다. 뮬란은 여자다. 그래서 프랑스를 구한 잔다르크로 이해될 만도 하다. 분명한 것은 잔다.. 2008. 3. 29.
[몬스터 주식회사] 괴물, 소녀를 만나다 (데이빗 실버맨 & 피터 닥터 감독 Monsters, Inc. 2001) + 단편 'For the Birds' (박재환 2002.9.17) …… 디즈니가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양. 만화전문업체가 아닌 드림웍스의 으로 만화왕국의 체면을 구길 대로 구긴 디즈니는 픽사와 손잡고 다시 한 번 명예회복에 나섰다. 적어도 픽사라면 와 로 애니 팬들의 신뢰를 단단히 받고 있지 않은가. 결과로 말하자면. 2001년 5월에 개봉된 드림웍스의 은 미국에서 2억 6천만 달러를 벌어들였고, 지난 연말에 개봉된 디즈니의 도 2억 5천만 달러 정도를 벌어들였다. 이른바 정치적으로 올바른 만화영화라고 오독할만큼 적당히 비틀고 조롱한 만화영화 이 지나간 3D애니메이션 자리에 디즈니가 픽사를 투입하여 로 대항한 셈이다. 디즈니(피사)의 는 전통적인 디즈니 만화답게 아이에게 꿈과 희망을 키워주고, 가족의 평화를 전면에 내세운다. 영화의.. 2008. 3. 29.
[나무를 심은 사람] 도토리 하나가 지구를 살린다 (프레드릭 백 감독 The man who planted trees, 1987) (박재환 1999.1.11.) 식목일마다 TV에서 방영되는 명작만화이다. 비록 30분짜리이지만 감동은 충분하다. 프레드릭 바크의 수묵화 같은 그림은 쉽게 접할 수 없는 포근함과 평안함을 제공해 준다. 밤에 잠이 안 오면 켜두고 보면 잠도 잘 온다. (지루한 화면이 아니라, 엄마 품속 같은 평온함에 말이다) 원작 ‘The Man Who Planted Trees’은 장 지오노의 작품이다. 내용은 부피에(Elzeard Bouffier)라는 양치기의 이야기이다. 이 남자의 위대한 종교적 검소함과 운명이 수묵화 같은 화면에 펼쳐진다. 한 젊은이가 알프스를 지나는 여행길에서 물을 찾아 폐허가 된 마을을 헤매다, 겨우 산에 사는 부피에를 만나게 된다. 이 부피에는 오래 전에 아내와 아들을 잃고는, 프랑스의 외딴 산에.. 2008. 3. 29.
[아이스 에이지] 옛날옛적 빙하시대에.... (크리스 웨지 & 카를로스 살다나 감독 Ice Age, 2002) (박재환 2002-9-26) 내가 즐겨있는 책은 고고학 관련 서적이다. 최근에 중국의 작가 위에난의 을 탐독했었다. 이 책은 1929년 12월 2일 중국 베이징에서 서남쪽으로 50킬로미터 떨어진 작은 탄광촌 주구점(周口店)의 한 동굴에서 발굴된 두개골의 행방에 대해 탐사보도식으로 서술한 책이다. 연구결과 이 두개골은 50만 년 전의 것으로 인류기원을 밝혀줄 보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이 두개골은 1941년 전쟁이 격화되면서 안전한 곳(미국 박물관?)으로 옮기려고 항구로 이동하는 도중 사라져 버린다. 작자는 그 두개골이 도대체 어떻게 어디로 빼돌려졌는지를 추적한다. 미국, 유럽, 일본, 대만… 등 수많은 국가의 대학, 박물관, 고고학자들이 그 보물에 눈독을 들였기에 이 두개골의 행방불명에는 수많은 용의자.. 2008. 3. 29.
[니모를 찾아서] 아들 찾아 삼억 리 (앤드류 스탠튼 감독 Finding Nemo ,2003) (박재환 2003.8.1) 오스트레일리아 북부해안 산호초 지역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의 깊은 바닷 속. 산호초동네에 ‘크라운피쉬’ 어종의 물고기 가족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사고로 엄마 물고기는 죽고 유복자 니모만이 아빠의 보호 속에 자란다. 아빠 물고기는 푸른 바다 속이 전혀 안전하지 않음을 잘 알고 있기에 천방지축으로 뛰어(–;)노는 니모가 보통 불안한 것이 아니다. 어느 날 학교에 보내놓았더니 애들이랑 담력 테스트한답시고 나섰다가 보트를 타고 온 스쿠버다이버에게 생포당하고 만다. 이날부터 아빠 물고기는 ‘산(?)넘고 강(?)건너 험난한 파도(!)’를 뚫고 ‘시드니 월비 42번가의 서먼’이란 사람을 찾아 나선다. (유일한 단서는 스쿠버다이버가 바닷물 속에 빠뜨린.. 2008. 3. 29.
[다리아] 인생을 너무 많이 아는 만화주인공 ( Daria, 1997-2002 MTV) (박재환1998.12.6) 는 무척 재미있는 만화영화이다. 케이블 채널을 헤매다 발굴해낸 만화 프로그램이다. 케이블 텔레비전을 몇 달 보니 가는 채널이 정해지는 것 같다. 영화팬이라면 기본적으로 캐치원과 DCN을 우선 볼 것이고, YTN과 다큐멘타리 전문채널에 심취할 것이다. 그러다가, 굉장히 재미있는 것이 결국은 만화채널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투니버스엔 엄청나게 많은 만화들이 쏟아져 나온다. 그중에 하나가 이 인데 (한겨레신문사에서 최근 인수하여 격주간으로 발간하는 케이블tv 프로그램 안내책자에는) 수목요일 밤 11시에 방영된다고 해놓고선 그 시간에 채널 돌리면 특집만화를 하고 있으니, 시간 맞춰 보기가 상당히 어렵다. –; 이 만화는 미국 MTV채널에서 방영하던 만화이다. MTV는 음악만 들려주는 .. 2008. 3. 29.
[아틀란티스] 이상한 바닷 속 디즈니 (Atlantis: The Lost Empire,2001년) (박재환 2001.7.5.) 신세기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1989년의 에서부터 시작한다. 흥겨운 “Under the Sea” 노래와 함께 재패니메이션은 꿈조차 꾸지 못하던 컴퓨터 그래픽의 깔끔한 화면과 헐리우드 영화에서 도입한 박진감 있는 스토리 전개는 단번에 디즈니를 애니메이션 왕국으로 다시 한 번 정립시켰다. 그리고 해마다 여름이면 기술적으로 좀 더 진보하고, 영화적으로 좀 더 재미있어진 애니메이션을 극장에 내놓았다. 물론, 그 와중에 다른 메이저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공격을 받았지만 유효적절한 마케팅 전략으로 적들을 영화시장에서 굴복시키면서 왕국을 유지해왔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사뭇 다르다. 드림웍스가 내놓은 이 승승장구할 동안 디즈니의 는 기대이하의 성적을 올리고 있다. 개봉 첫 주말.. 2008. 3. 29.
[겨울왕국] 디즈니의 얼지 않는 ‘창조경쟁력’ (크리스 벅, 제니퍼 리 감독 Frozen 2013) 1937년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이후 디즈니의 53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Frozen)의 인기는 가히 ‘레전드’ 수준이다. 지난 달 열린 71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며 한국에서도 개봉되었다. ‘픽사’ 작품이든 ‘디즈니’ 작품이든 미국산 애니메이션의 국내 흥행성적은 기복이 심한 편이다. 게다가 ‘겨울왕국’은 국내 개봉에 맞물러 곧바로 불법동영상이 풀리기까지 했다. 그런데 불법동영상도 어찌 하지 못하는 ‘엘사’의 질주가 시작된 것이다. ‘렛잇고~ 언니, 동생을 위해 설산으로 들어가다 디즈니는 애니메이션의 ‘겨울왕국’의 완벽한 이미지를 위해 최고의 로케이션(?) 장소를 찾았다. 그곳은 새하얀 눈으로 덮인 .. 2008. 3. 20.
[마녀배달부 키키] 소녀, 하늘을 날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魔女の宅急便,1989) (박재환 1999.8.1.) 의 영어 제목은 이다. 아마, 이 영화는 미야자키의 의 경우처럼 제작 스폰스가 따로 있었던 모양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이삿짐업체가 ‘Yamato Unyu’ (Yamato Transport, Co., Ltd.)이다. 이 회사의 트레이드 마크는 까만 어미고양이가 새끼고양이를 입에 물고 있는 것이다. 이 영화 덕분에 이 택배회사가 확실히 떴다고 한다. 이 영화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작품 중에서 특별히 유난스런 작품이다. 그렇게 만화답지(?)않기 때문이다. 비록 ‘마녀’가 등장하고, 빗자루 타고 하늘을 날고, 고양이가 말을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만화스럽지가 않다. 그의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인간답기 때문일까? 주인공 키키는 이제 13세가 된다. 그의 집안은 마녀집안이다. 백설공주.. 2008. 3. 4.
[비비스와 버트헤드] 두 멍청이, 미국은 ‘DO’해 먹다 (마이크 저지 감독 Beavis and Butthead Do America,1996) (박재환 1998.12.21) 미국에서 살던 한국인이 쓴 책에서 이 만화를 거론한 적이 있다. 미국 청소년의 문제점을 써 놓은 것이다. 이른바 대중문화 TV의 해악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란 것이란다. 이 만화는 미국 청소년문화, 아니 미국문화 그 자체인 ‘MTV’에서 방송된 작품이다. 시리즈물로 인기 끌고, 나중엔 극장용 만화로 나왔다. 캐릭터가 얼마나 황당한지, 그리고 미국 시청자가 얼마나 어이 없는지 보여주는 에피소드가 있다. 주인공인 두 바보가 고속도로 중앙차선에 누워 누가 더 담력이 큰가 시합을 한다. 그 프로가 방송된 뒤 똑같이 흉내내다 찻길에서 비명횡사한 미국청소년이 속출했다고 한다. (제발 따라하지 맙시다 – 따지고 보면 제임스 딘이 에서 차로 ‘담력 테스트’한 것이나, 에서 러시안 룰.. 2008.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