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환영화리뷰(6)
-
[공포분자] 공포는 디테일에 있다 (양덕창 감독, 恐怖分子 The Terroriser 1986)
양덕창(楊德昌/양더창, 에드위드 양) 감독은 후효현(허샤오센)과 함께 대만이 자랑하는 세계적 감독이다. 과 을 비롯하여 대만 신낭조를 대표하는 걸작들을 남긴 감독이다. 이중 과 , 는 이른바 양 감독의 ‘타이베이 3부작’으로 불린다. 흔들리는 대만의 모습을 다양한 방식으로 필름에 잡아낸다. 코로나사태 속에 (원제: 恐怖分子)가 17일 한국에서 개봉된다. 1986년 대만에서 개봉된 이래 무려 34년 만에 한국극장가에 정식으로 선보이는 셈이다. 물론 이 영화는 시네마떼크나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적이 있다. 그리고 오래전 ‘분도비디오’라는 전설적 단체에 의해 비디오도 출시된 적이 있다. 그 영화를 이제 극장에서 정식으로 만나보게 되는 것이다. 물론, 대만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되었지만 여전히 화면은 클래식..
2020.09.17 -
[작은 소망] 삶의 끝, 절박한 소원 하나! (전우생 田羽生 감독 小小的愿望 The Last Wish,2019)
지난 주 극장가에 중국영화가 한 편이 조용히 내걸렸다. (小小的願望)이란 작품이다. 작년 중국에서 개봉된 이 영화는 한국영화를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류덕환, 김동영, 안재홍이 출연한 (2016)이 원작이다. 개봉 당시 30만 관객을 동원했던 는 솔직담백하게, ‘온리 그것!“만을 목표로 달려가는 고등학생의 청춘의 치기를 유감없이 담아낸 청춘 코미디이다. 그 영화가 어떻게 중국의 영화제작자 눈에 든 모양이다. 중국영화 을 감상하기 전에 먼저 알아둬야할 것은 지금, 현재 중국에서는 영화등급제도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즉, 모든 영화가 눈높이를 낮춰, 누구나 볼 수 있는 수위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온리 그것!’인 이 작품의 온전한 재미를 중국영화에서 구현할 수 있을까. 그 의문..
2020.08.18 -
[십년 - 엑스트라] 중국, 홍콩보안법통과” 10년 뒤 홍콩은 어떻게 변해있을까 (곽진 감독, 十年 浮瓜, 2015)
2020년 6월 30일, ‘홍콩보안법’이 통과되었다. 지난 2016년 4월 3일, 홍콩문화중심(Hong Kong Cultural Centre)에서 홍콩금상장 영화시상식이 열렸다. 우리나라에서는 (踏血尋梅)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곽부성 주연의 영화가 남/녀주연상, 남/녀조연상, 신인연기자상 등 연기부문 상을 싹쓸이하고, 촬영상과 각본상까지 차지했다. 홍콩영화계가 급속하게 중국영화산업으로 편입되어가고 있을 때 열린 이날 시상식에서는 어떤 작품이 최우수작품상의 영예를 누렸을까. 이날 중국매체들은 금상장 수상소식을 시시각각 전하면서도, 최고상인 ‘최우수작품상’에 대해서는 일절 보도하지 않았다. 흔한 ‘인터넷 보도통제’가 이뤄진 것이다. 이 날 최우수작품상 트로피는 (十年)이라는 홍콩독립영화에 돌아갔다. 이 어떤..
2020.06.30 -
[에어로너츠] 무한의 공간, 저 위로!" (톰 하퍼 감독, The Aeronauts 2019)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은 오래 되었다. 어린 시절 한 번쯤은 망토를 걸치고 담벼락에서 뛰어내리든지 우산을 펼치고 옥상에서 점프한 적이 있을지 모르겠다. 인간은 자신들 신체의 유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도구를 적극 이용한다. 라이트 형제 이전에 인간들은 '열기구'란 것을 발명했다. 프랑스 몽골피에 형제가 열기구를 발명했고, 1783년 인류는 마침내 창공을 날았다. 사람이 탄 첫 비행(!)에선 25분 동안 9킬로미터를 날아갔다고 한다.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열기구 붐이 일었다. 더 높이, 더 오래, 더 멀리 날기 위해 개발된 열기구는 대중에게는 환상적인 볼거리를 제공했고, 과학자에겐 미지의 세계를 살펴볼 필수불가결한 장비였다. 19세기 중엽, ‘과학의 역사’에서 아름다운 페이지를 장식한 열기구 모험을 담은..
2020.06.15 -
[카메론 포스트의 잘못된 교육] 뻐꾸기둥지 위를 날아간 새 (디자이리 아카반 감독 The Miseducation of Cameron Post 2018)
카메론 포스트의 잘못된 교육>에는 인류역사에 오랫동안 존재해온 성적 취향에 대한 간절한 종교적 치료법이 등장한다. 물론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그다지 효과가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미국 청소년’ 카메론 포스트가 동성에 끌려 키스를 하게 되고, 그 현장이 발각되어 특별한 기관에서 정신적 치료를 받게 된다. 독실한 기독교에서 개설한 ‘캠프’에 입소하여 같은 증세의 아이들과 함께 열심히 회개하고, 기도하고, 간증하면 새로운 삶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가능할까? 아니 가당키나 한 일인가.영화는 우리나라에 사라지지 않는 여름>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에밀리 M. 댄포스의 소설이 원작이다. 소설은 열두 살 캐머런부터 따라간다. 캐머런은 소꿉친구 아이린과 장난스런 키스한다. 그리고 소녀는 성장을 한다. 10대 청소년의 ..
2020.06.09 -
[침입자] 구해줘 아빠 (손원평 감독, Intruder 2020)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극장가는 그야말로 엉망이 되어버렸다. 언제 끝날지 모를 우울한 전망 속에 지난주부터 충무로 신작이 하나씩 영화팬을 찾기 시작했다. 첫 주자는 손원평 감독의 스릴러 이다. 영화는 등장인물간의 관계구축과 사건전개에 꽤 공을 들인 작품이다. 누가, 왜, 누구의 안전지대에 침입하였을까. 궁극적으로 그 침입자의 목적은 무엇일까. 하나도 놓쳐서는 안 되는 작품이다. 여주인공의 목덜미에 새겨진 문신 디자인조차도! 건축사무소에 근무하는 서진(김무열)은 클라이언트를 상대로 ‘집’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심리적 공황상태를 맞는다. 서진은 얼마 전 바로 자신의 눈앞에서 아내가 뺑소니차에 치어 죽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어린 딸 예나와 함께 부모님 집에 당분간 머문다. 집안에는 온..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