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계영화 (아시아,아프리카,러시아,중남미)(37)
-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이란어린이는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Where Is The Friend’s Home? 1987)
(박재환 2003-2-14) 라는 철학적인 제목의 영화에서 이라는 종교적 제목의 영화까지. 이란 영화가 꾸준히 국내에 소개되면서 영화팬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2000년 제5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 일가의 작품들을 집중소개할 때 한 편의 흥미로운 다큐멘터리가 소개되었었다. 라는 작품이었다. 오랫동안 미 제국주의에 맞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느라 세월을 다 보낸 이 나라 영화계의 역량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회교혁명 성공 후 지리산 청학동보다 더한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에 갇혀 사는 이란에서 뜻밖에도 오늘날 이렇게 해외 유수의 영화제에서 각광을 받게 되는 영화를 양산하게 된 동기는 이란당국의 영화지원 정책 때문이 결코 아니란 것이다. 회교 국가답게 온갖 제한이 넘쳐난다. (그..
2008.04.05 -
[갈리폴리] 런닝맨 트루퍼스 (피터 위어 감독 Gallipoli 1981)
(박재환 1998-9-17) 비디오 가게에서, 저 구석에 먼지 뒤집어서고 있는 보물 같은 작품들을 발견하게 될 때 무지 행복해진다. 이 영화도 그런 ‘숨은 비디오’이다. 피터 위어 감독은 아주 ‘조금’ 유명하다. 아직 보지는 못했지만, 괜찮다는 을 필두로 호주에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건너와서 , , , 그리고 올해 까지 작품성과 흥행성을 골고루 만족시키는 감독이다. 그가 81년 호주에서 만든 이 영화는 전쟁영화의 명작으로 손꼽을 만하다. 아마, 좀 덜 비싸게 만들어졌고, 좀 덜 충격적인 를 보고 싶거나, 좀 덜 황당한 를 보고 싶다면, 이 영화를 권해주고 싶다. 이 영화에서 호주의 황량한 들판, 사막을 볼 수 있다. 멜 깁슨이 로 세계 영화계에 알려지기 시작할 무렵 이 영화에 출연했는데 그가 의외로 내..
2008.04.04 -
[얼지마 죽지마 부활할거야] 추운 땅에서 말야.. (비탈리 카네프스키 감독 1990)
(박재환 1998.8.27.) 추운 동네에서 찍은 따뜻한 영화라고들 말하지만, 보고나면 가슴이 무척 아플 것이다. 이 영화는 1990년 깐느영화제에서 ‘the Camera d’Or for best first film’ 상을 받았단다. 감독의 첫 작품이 깐느라는 다분히 정치색 짙은(?) 영화제에서 상을 타게 되었을까? 아마도, 당시 무너져가는 ‘악의 제국’ 소비에트 러시아에 대해, 그 출발부터 잘못 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려는 의도가 아니었을까? 실제로 이 영화는 2차대전 종전 직후인 1947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베리아의 한 마을 Suchan이란 곳은 전쟁포로-일본의 패잔병-수용소이기도 하며, 탄광 노동자의 막사가 더럽게 오밀조밀 모여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보기만해도 답답한 두터운 의상을 걸친 툰트라..
2008.04.04 -
[전함 포춈킨] 러시아혁명사 서장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 The Battleship Potemkin,1925)
(박재환 2003.9.6.) 이 영화의 감독과 제목은 오랫동안 아이젠슈타인 감독의 으로 통용되어 왔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 러시아어 전공한 사람이 많이 생기더니 이 고유명사의 발음이 다양화 되었다. ‘에이젠스쩨인의 뽀춈낀’에서부터 ‘에이젠슈쩨인의 쁘춈킨’까지 다양화되었다. 정확히 어떤 발음인지는 모르겠고. 대학 다닐 때 중국을 다룬 에드가 스노우의 에 맞먹는 러시아혁명사 책은 이 아니라 김학준 교수가 쓴 라는 책이었다. (이 책은 최근에 아주 두꺼운 수정증보판이 나왔다) 난 그 책을 아주 열성적으로 읽었던 기억이 남아 있다. 그리고 양호민 교수에게서 를 배웠는데 그건 좀 따분했었다. 제정 러시아가 무너지고 공산주의 대국 소련이 성립하는 그 과정은 정말 드라마틱한 역사의 현장이었다. 혁명의 기운이 오랫동안..
2008.03.06 -
[컵] 나무아미타불 월드컵 만세!! (키엔츠 노부 감독 The Cup 1999)
최근 신문에 보도된 티벳 관련 소식에는 이런 것들이 있다. 인도의 한 영화시상식에서 리처드 기어에게 ‘발리우드(봄베이+헐리우드: 약동하는 인도영화계를 일컫는 말)가 뽑은 양심인’이라는 특별상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이유는 그가 달라이 라마를 만나는 등 티벳의 자유를 신장시키는데 크게 공헌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뉴스로는 성악가 루치아노 파파로티가 자선 공연장에서 달라이 라마와 함께 사진을 찍었다. 성악가 파파로티도 티벳인의 자유 쟁취를 기원한다는 내용이었다. 티벳이란 나라가 어떤 나라이지? 그럼 중국에 침략당한 상태란 말인가? 이런 의문을 가질 만하다. 그리고 이란 영화가 일곱 번 환생환 키엔츠 노부(Khyentse Norbu)라는 스님이 감독을 했다는데 이건 또 무슨 오컬틱한 소리인가. 무슨 종교지도자가..
2008.03.04 -
[이투마마] 소년들, 어른이 되어버리다 (알폰소 쿠아론 감독 And Your Mother Too, 2001)
(박재환 2003-2-2) 멕시코는 3200킬로미터의 국경선을 두고 미국과 접하고 있다. 멕시코는 오랜 스페인 식민지생활을 통해 공용어가 영어가 아니라 스페인어이다. 이런 멕시코에서 만들어진 영화는 달콤쌉싸름한 맛이 있다. 라는 오묘한 제목의 멕시코 영화는 참 재미있다. 재미있다고? 이 영화는 야하다. 이야기하는 성적 코드도 우리와는 안 맞아도 한참이나 안 맞다. 제목의 뜻이 ‘너네 엄마와도 했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현직 멕시코 국무장관을 아버지로 둔 부잣집 아들 테녹과 하급농민출신의 가난한 아이 훌리오는 절친한 친구이다. 그들은 이제 겨우 열 일곱살이다. 그들이 하는 짓거리라곤 그 나이에 걸맞은 ‘여자생각’뿐이다. 같은 몽상을 하며 함께 박자를 맞춰 자위행위를 할 정도이다. ..
2008.02.19 -
[레슬러] 성스러운 키 (부다뎁 다스굽타 감독 Uttara 2000)
이 영화의 원제목 는 ‘레슬러’의 인도말이 아니다. 이 영화의 여주인공의 극중 이름이다. 올 상반기 극히 이례적으로 국내에 소개된 의 나라 인도에서 공수되어온 는 신비로운 느낌마저 준다. 그것은 알렉한드로 조로도프스키의 에 맞먹는 신비로움과 사회적 금기에 대한 도전으로 가득한 사회변혁적 드라마라는 것이다.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에 맞추어 한국을 찾은 부다뎁 다스굽타 감독은 이 영화가 사회의 폭력, 정치의 폭력, 개인의 폭력 등 모든 폭력에 대한 고발극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영화는 한 여인에 대한 다중의 폭력을 포함하여, 난쟁이로 대표되는 집단에 대한 멸시와 위협이 그려진다. 게다가 힌두사회 인도에 존재하는 이교도에 대한 극단적 폭력도 있으며, 남성중심사상에 의해 희생당하는 지참금 무게보다 가벼운 여성에 대한..
2008.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