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30)
-
[최애] 장쯔이 주연, 에이즈시대의 사랑
중국에 고장위(顧長衛,구창웨이)라는 영화감독이 있다. 장예모, 진개가와 함께 5세대 영화감독 군에 속하는 인물이다. 이 사람은 원래 촬영감독이었다. 장예모(붉은 수수밭), 진개가(패왕별희), 강문(姜文,장원)(햇빛 쏟아지던 날들) 감독의 촬영을 도맡아 초창기 순수 중국문예영화를 세계무대에 알린 사람이다. 그런 고장위가 2005년에 (孔雀)을 필두로 감독으로 전향했다. 자신만의 영상미학을 온전히 내보이고 싶었으리라. 촬영을 하다 감독으로 뛰어든 사람은 몇 된다. 루위에(呂樂), 유릭와이(余力爲), 그리고 크리스토퍼 도일도 그러한 사람이다. 다행히 고장위가 감독을 한 작품 과 은 꽤 훌륭하다. 그의 세 번째 작품이 최근 중국에서 개봉되었다. 중국의 톱 여배우 장쯔이와 홍콩 스타 곽부성이 주연을 맡아 화제가 ..
2011.06.10 -
뻐꾸기 둥지 위를 날아간 새 - 참을 수 없는 자유의 가벼움 (울산대학보 원고)
* 이 원고는 울산대 학보사 청탁 원고입니다 * [뻐꾸기 둥지 위를 날아간 새] 참을 수 없는 자유의 가벼움 지난 1975년 아카데미시상식에서 최우수작품상 등 5개 부문을 석권한 밀로스 포먼 감독의 는 정신병원을 통해 개인의 자유의지와 권력의 관계를 논한 작품이다. 영화는 켄 로지가 1962년 발표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각종 향정신성 약물의 효과를 실험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도 있고 정신병원에서 야간 보조원으로 일하기도 한 켄 로지는 그 누구보다도 생생하게 정신병동내 모습을 그렸다. 소설은 정신병원에 입원한 브롬든이라는 한 인디언 남자의 눈을 통해 주립 정신병원의 모습을 보여준다. 미국의 역사가 배태한 인디언은 이제는 이름만 거창한 인디언보호구역내에서 연명하며 대부분 알코올 때문에 멸..
2011.06.07 -
아메리칸 사이코 - 물질만능시대를 사는 현대인의 탈출구 (울산대학보 원고)
두번째: 물질만능시대를 사는 현대인의 탈출구 1980년대 레이건 시대 미국 여피(Yuppie)사회를 다룬 (2000)는 브렛 이스턴 엘리스의 논쟁적인 원작소설을 여성감독 메리 헤론이 영화로 옮긴 것이다. 뉴욕의 월스트리트에서 일하는 금융관련 종사자의 극단적 삶의 행태를 담고 있다. 주인공 패트릭 베이트만(크리스찬 베일)은 맨하턴의 최고급 아파트에 살고 있다. 온몸을 각종 명품 브랜드로 치장하고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레스토랑만 이용하는 잘 나가는 금융맨이다. 그러나 동료들은 살벌한 경쟁자이며 겉으로 드러난 삶은 가식에 가까울 뿐이다. 그들의 지독한 업무 스트레스는 희대의 연쇄살인극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영화 후반부에 가서는 그가 저지른 모든 살인행위가 실제 일어난 현실인지 아니면 그의 마음 속 상상에..
2011.06.07 -
[트루맛쇼] 맛집의 비밀은 조미료 두 스푼 반!
지난 달 열린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200편 가까운 영화가 상영되었지만 가장 화제가 된(될) 작품은 ‘딱’ 2회 상영하여 모두 350명의 관객만이 보았다는 다큐멘터리 인 것 같다. ‘트루맛쇼’라니. 10여 년 전에 피터 위어 감독의 영화 가 떠오른다. 얼굴근육 전문 코미디언으로만 알았던 짐 캐리의 진지한 연기변신이 돋보였던 는 극중 주인공 트루먼 씨의 인생 자체가 전 국민(TV시청자)의 관음증을 해소시키는 ‘쇼’의 대상물이었던 것이다. 그 당시 인기를 모으기 시작한 이른바 ‘리얼리티 쇼’를 통해 미디어의 위험성을 신랄하게 비판한 사회드라마였다. 는 지상파TV에서 넘쳐나는 맛집 소개 프로그램의 이면을 통해 방송사, 제작사, 그리고 수용자의 현실인식 문제를 해학적으로 뽑아낸 ‘블랙 코미디’가 분명한 다큐멘터리..
2011.06.03 -
[중국의 국화?] 매화일까 모란일까
지난 주말 (평촌 옆 동네) 과천에 놀려갔다. 이맘때면 ‘과천화훼축제’란 게 열린다. 화훼(花卉)란 말은 화초를 말하는데 꽃과 꽃이 없더라도 관상용 식물을 말한다. 각종 꽃, 분재, 난 등 전시회가 있고 그와 더불어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린다. 물론 양재 꽃시장만큼 싼 가격에 괜찮은 화훼도 사갈 수 있고 말이다. 화훼축제 행사 중에는 도 열린다. 과천(및 인근) 주민이 참여하여 ‘꽃/화훼’에 대한 지식을 겨루는 퀴즈 대회이다. KBS 과 다른 점이 있다면 가족단위(2인 1조) 대결이고, 진행자가 게임 진행을 위해 ‘정답도 적절히 알려주는’ 위트가 넘치는 축제의 게임이다.초등 2학년 딸과 출전했다. 딸은 아빠를 전적으로 신뢰한다. 왜냐하면 TV에서 을 보다가 엄마도 못 맞추는 문제도 곧잘 맞추는 것을 보아왔..
2011.05.31 -
[삼국지: 명장 관우] 소설 속 관우, 영화 속 조조를 만나다
에 대해선 꽤 많은 이야기가 있다. 서울대 수석합격자가 를 여러 번 읽었다는 믿기 어려운 이야기에서 이문열의 조차 오류투성이라는 주장까지. 이미 오래 전에 청나라의 장학성(章學誠)이라는 사학자는 소설 에 대해서 ‘역사적 사실은 30%, 나머지 70%는 허구’(三實七虛)라는 판정을 내리기도 했다. 물론 명나라 때 나관중이 지었다는 소설 (삼국지연의)를 두고 하는 이야기이다. 유비와 관우, 장비가 도원결의를 맺고 제갈량을 끌어들여 조조와 열심히 싸웠고 결국 삼국(위,촉,오)을 정립했다는 이야기이다. 이 시절은 서기 200년대 무렵이다. 한나라가 망해갈 무렵부터 삼국이 정립하는 시기까지 통틀어 70년 정도의 이야기이다. 그 때 중원에서 말 달리며 싸웠던 영웅호걸들이 다 죽은 뒤 다시 100년 쯤 지나 진수(陳..
2011.05.20 -
[천녀유혼 2011] 새로운 섭소천, 새로운 천녀유혼
최근에 극장에서 홍콩영화 보신 적 있나요? 한국극장가에 내걸리는 홍콩영화를 놓치지 않고 보기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다. 한국영화진흥위원회의 통계에 따르면 작년에 홍콩과 대만을 합친 중화권영화의 국내 시장점유율이 겨우 1.2%이다. 그러나 한때는 홍콩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와 나란히 한국시장을 주도하던 시절이 있었다. 주윤발, 유덕화, 장국영의 신작영화들이 매주 쏟아지던 호시절. 그때는 임청하, 장만옥, 왕조현이 여신이었다. 그 시절 진정한 ‘싸나이’의 우정과 의리, 강호의 도를 부르짖던 수많은 홍콩영화들이 한국 영화팬들의 심성을 뒤흔들었다. 그러던 홍콩영화는 지독한 자기복제와 재능의 소진으로 기나긴 부진의 늪으로 빠져들고 말았다. 하지만 그 옛날의 영광은 오늘날의 자양분이 된다. 중국의 넘치는 돈은 영화..
2011.05.12 -
[샤오린:최후의 결전] 유덕화, 소림사 가다
[2011.07.07] 가 이라는 제목으로 8월 국내 개봉예정이네요.최근 중국 극장가에는 역사 이야기를 다룬 액션영화가 넘쳐난다. 한동안 홍콩영화의 자양분을 마구 빨아들이던 중국은 이제 넘쳐나는 ‘돈’과 미어터지는 ‘영화관객’들을 밑천삼아 아시아 최강의 영화강국으로 하루가 다르게 급성장하고 있다. 최근 나온 영화로는 , , , 등이 있다. 지금도 더 많은 영화가 만들어지고 있고, 더더욱 많은 영화가 기획 중이다. 장예모나 진개가가 문예영화를 들고 해외영화제에 나가서는 ‘중국에서도 영화가 만들어지고 있소~’라고 할 때가 엊그제 같은데 말이다. 그런 중국영화판에서 만든 (新少林寺)는 1980년, 이연걸이 나온 와는 확실히 다른 영화이다. 30년 만에 다시 보는 ‘소림사’ 과연 어떤가.1920년대 중국 군벌..
2011.05.07 -
[체포왕] 난 대한민국 경찰이다!
이른바 ‘살기 좋은 곳’이란 어떤 곳일까? 지진이나 쓰나미가 일어나지 않는 곳일 수도 있고, 명문학교 진학률이 높은 곳일 수도 있고, 물 맑고 공기 좋은 곳일 수도 있다. 요즘에는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나 와이파이 접시 개수를 따질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범죄 없는 안전한 도시가 살기 좋은 곳이라면? 만약 그런 곳을 찾는다면 객관화된 수치로 검증할 수 있다. 하다못해 OECD국가 범죄율이나 5대 민생사범 체포율 같은 것도 계량화되어있는 세상이니 말이다. 세상이 도시화, 현대화, 문명화, 개인화되고 사회문제가 양극화되면서 다양한 이유로 각종 범죄가 발생한다. 하루가 멀다 하고 생기는 강력범죄들. 이런 문제를 잘 해결하면 여러 사람이 상 받고, 여러 사람이 영전하게 된다. 나라님도, 지역구 의원님도, 언론들..
2011.05.06 -
[옥보단2 옥녀심경] 서기, 이려진, 그리고 왕정 스타일의 색정영화
(2011.5.2) 지난 달(2011년 4월) 홍콩에서 개봉된 가 워낙 화제가 되고 있기에(누구에게?) 오리지널을 소개한다. 1편은 오래 전에 리뷰 했었고 그 속편들을 소개한다. 관심 있는 성인들은 찾아보시길. 1991년 홍콩에서 개봉된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맥당걸 감독의 (玉蒲團之偷情寶鑑)은 2천만 홍콩달러라는 엄청난 흥행수익을 올렸다. 당시 홍콩 영화계의 흥행배우는 주성치나 성룡이었다. 그런 슈퍼 개런티의 배우가 나온 대작영화도 4천만 홍콩달러가 최고기록이었으니 의 흥행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짐작이 간다. 1편은 영화의 저본이 되는 의 이야기를 충실히 따른다. 1편의 대성공에 힘입어 당시 홍콩영화계의 마이더스 왕정(王晶) 감독이 속편 제작에 뛰어든다. 왕정 감독은 수많은 흥행작품을 내놓은 홍콩 ..
2011.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