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 마이 카] 그 남자는 거기 있었다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2021)
“무라카미 하루키를 좋아하시나요?” “예! 그렇고말고요.” 누가 싫다고 하겠는가. 장편도 좋고, 단편도 좋고, 소설도 좋고, 에세이도 좋다. 그 정도 읽었으면 하루키가 마라톤 광이며, 비틀즈 매니아라는 것도 잘 알 것이다. 하루키가 2013년 쓴 단편소설 ‘드라이브 마이 카’는 비틀즈가 1965년 발표한 노래 제목이기도 하다. 여하튼 그 제목의 그 소설이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졌다. 상영시간은 179분. 충분히 길다. 칸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했고, 지난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류스케 감독이 직접 부산을 찾은 가운데 소개되었고, 마침내 어제 한국극장가에 개봉되었다. 하루키를 좋아하거나, 류스케를 좋아하거나, 일본영화 감성을 좋아하신다면 놓칠 수 없는 작품이다. ● 남편, 아내, 정부, 그리..
2022. 1. 22.
[時論] 러브 레터, 한국 정식개봉에 즈음하여 (일본대중문화 개방)
* 격세지감이 느껴지는 1998년 즈음의 이야기 * 일본대중문화는 오래동안 금지/불허되어왔다. 그러다 김대중 정권 당시 ‘일본 대중문화의 국내 개방‘이 이뤄졌다. 어느날 갑자기 ‘확~’ 문이 열린 게 아니고 단계적으로 개방의 폭을 넓혔다. 1998년 10월 20일 단행된 제1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는 영화 및 비디오에 한정되었다. 영화의 경우에도 공동제작 영화나 일본 배우가 출연한 한국영화, 세계 4대 영화제(칸, 베를린, 베니스, 아카데미) 수상작들이 허용 되었다. 이에 따라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 이마무라 쇼헤이의 , 기타노 다케시의 등이 개봉되었다. 이후, 1999년 9월 10일(2차), 2000년 6월(3차), 2004년 1월(4차) 조치에 따라 개방이 확대되어다. 2차 개방의 수혜자는 이와이..
2019.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