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개봉영화(19)
-
[커커시리] 우리 자연 우리가 지킨다 (루추안 감독 可可西里,2004)
영화판의 큰손 CJ가 지난 달(2004년 11월) 개최한 제1회 CJ아시아인디영화제에서 흥미로운 중국영화 한 편이 소개되었다. 지난 2002년 제7회 부산영화제에서 [사라진 총]으로 소개된 중국 신예감독 륙천(陸川,루추안)의 두 번째 작품 [커커시리](可可西里)이다. 중국 지도를 펼쳐놓고 '커커시리'를 찾아보았다. 달라이 라마로 유명한 '티벳'과 실크 로드로 유명한 서북부 '신장위구르'지역 사이에 위치한 칭하이(靑海)성 일대의 해발고도 4~5,000미터의 청장고원(靑藏高原)이다. 어쩌다 영화나 TV영상물에서 중국의 황량한 자연 풍광을 보게 될 때 그 엄청난 규모에 놀라게 되는데, 바로 이곳 커커시리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영화는 10여 년 전의 일을 다큐멘터리 터치로 다룬다. 4만 5천 평방킬로미터..
2019.09.23 -
[효자동 이발사] 특강, 대한민국 현대사 (임찬상 감독 The President's Barber, 2004)
그제 서울극장에서 [효자동 이발사] 시사회가 있었다. 영화상영이 끝난 후 감독, 배우들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카메라맨과 기자들로 벅적대는 극장로비 뒤편에는 심재명 대표가 서 있었다. "아, 명필름 작품이었지." 사실 임찬상 감독이라는 신인 감독이 이 작품을 만든다고 했을 때 [공동경비구역 JSA]를 기대하기보다는 [YMCA야구단]의 우려가 먼저 일었다. 그런데 명필름은 이번에 [효자동 이발사]를 직접 제작을 한 것이 아니란다. 배급을 줄곧 하던 청어람이 제작을 하고 명필름은 마케팅을 담당했다고 한다. 재미없는 충무로 영화산업이야기는 이 정도 하고. 나는 이 영화를 감동적으로 보았다. 실제 꽤 공들인 몇 장면에서는 절로 눈물이 났다. 보고나선 이 영화가 [박하사탕2]라고 생각되었다.영화는 소문대로 이승만 ..
2019.09.15 -
[너는 찍고, 나는 쏘고] 홍콩킬러와 홍콩영화의 공통점 (팽호상 감독 買兇拍人 You Shoot, I Shoot 2001)
(박재환 2001?) 홍콩 영화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홍콩 영화인들 스스로가 이미 파악하고 있다. 장르영화에 집착하고, 집단최면이라고 말할 정도로 유행에 민감하며, 흥행작품에 대해 거리낌 없이 복제 재생산해낸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홍콩 영화는 [동방불패] 류의 무협물 아니면, [영웅본색] 류의 홍콩 느와르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 와중에 왕가위 같은 특이한 감독의 특별한 작품이 각광받고 있는 셈이다. 여기 팽호상(彭浩翔)이라는 감독의 신선한 작품을 하나 만나볼 수 있다. [매흉박인](買兇拍人)이라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지난 7회 부산국제영화제(2002년) 때 [너는 찍고, 나는 쏘고](You Shoot, I Shoot)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고, 요즘 홍콩 영화가 다들 그러하듯이 며칠 극장에서 개..
2019.09.01 -
[DMZ,비무장지대] 군대에서 축구한 남자들의 이야기 (이규형 감독 Demilitarized Zone, 2004)
(박재환 2004.11.23.) [DMZ,비무장지대]라는 이 영화를 그런대로 감상하려며 남자들이 입에 침을 튀기며 이야기하는 군대에서 ‘초뺑이’치며 축구한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 끔찍한, 혹은 황홀한 30개월 전후의 남자들만의 세계에 대해 전우애, 동지애, 동질감, 공감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요즘은 공익요원이란 것까지 생겨 '빵위'가 무엇인지 '수색대대'가 얼마나 힘든지를 모를 것이다 ... 학교 다닐 때 휴가나온 동기들이 당구장에 모여 용감무쌍한 군대생활 이야기할 때 ‘방위 출신 친구 하나’는 군대PX에서 고추장 파는 이야기를 했다. (짠밥이 맛이 없어 고추장 팩 사다가 비벼먹는 일이 있었다!) 이 친구는 나중에 아들딸 낳아 키울 때 "아빤 군 생활 어디서 했어?"라는 곤란한 질문을 받을 땐..
2019.08.28 -
[고하토] 감각의 사무라이 (오시마 나기사 감독 御法度 1999)
(박재환 2000/10/10) 올해(2000년) 칸느 영화제에 오시마 나기사 감독이 고하토(어법도)>를 출품하자 서구 영화비평계는 굉장히 흥분했다. 원래 프랑스야 오시마 나기사 감독에 대해 전통적으로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왔었고, 주연배우 키타노 타케시 또한 아시아영화의 새로운 거장으로 대접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내 사랑 막스>이후 14년 만에, 그리고 그의 영화 인생의 마지막 작품이 될지도 모를 고하토>는 칸느에서 엄청난 각광을 받았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그때 한국 언론은 똑같이 우리 춘향뎐>이 깐느에서 엄청난 각광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시마 나기사는 감각의 제국>으로 익히 짐작하다시피 모든 사회적/국가적 금기와 압제에 전공투 투사처럼 싸우며 자신의 영화를 만들어왔었다. 이 영화는 강철 같고 ..
2019.08.27 -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아니나다를까 홍상수 스타일 (홍상수 감독 Woman Is The Future Of Man, 2004)
(박재환 2004/4/22) 한동안 척박했던 걸로 인식되던 한국영화계의 유일한 작가감독으로 추앙 받는 홍상수 감독의 신작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가 곧 개봉된다. 홍상수 감독으로서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96), [강원도의 힘](89), [오! 수정](00), [생활의 발견](02) 이후 5번째 작품이다. 국내 개봉도 되기 전에 희소식이 먼저 날아들었다. 다음 달에 열리는 프랑스 깐느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한 것이다. (박찬욱 감독의 [올드 보이]와 함께!) 사실 홍상수 감독 작품은 똑같다. 김기덕 감독은 자신의 치열한 작가정신, 혹은 창작욕구를 끊임없이 소수의 대중과 다수의 평론가들과 투쟁하며 가다듬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에 비해 홍상수 감독은 첫 작품이나 최근 작품이나 똑같이 돋보기..
2019.08.17 -
[80일간의 세계일주] 성룡의 디즈니 영화 (프랭크 코라치 감독, Around the World in 80 Days,2004)
(박재환 2004/6/24) 지난 주말 성룡의 새로운 할리우드 신작 [80일간의 세계일주]가 미국과 홍콩 등지에서 개봉되었다. 홍콩과 할리우드를 열심히 오가며 영화를 찍고 있는 성룡으로서는 [러시 아워](89), [상하이 눈](00), [러시 아워2](01), [턱시도](02), [상하이 나이츠](03)에 이은 여섯 번째 작품이다. 해마다 빠지지 않고 한 편씩 출연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작품의 공통점이라면 역시 성룡의 코믹함과 아크로바틱한 액션장면을 적절히 배합한 가족용 영화라는 것이다. 성룡은 자신의 새 영화가 나오면 미국의 ‘제이 르노 쇼’ 같은 인기 TV프로그램에 출연하여 홍보활동을 펼친다. 그만큼 성룡이 이미 미국에선 대중적인 스타가 되었다는 반증인 셈이다. 성룡의 이름을 단 어린이 만화 [Ja..
2019.08.15 -
[3-4 X 10月] 변태 야쿠자 키타노 ( 기타노 다케시 감독 3-4 X 10月| Boiling Point 199)
(박재환 2001/8/5) 1979년에 개봉된 우리 영화 중에 노세한 감독의 이란 작품이 있다. 당시 유행하던 ‘호스테스’영화’이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호스테스가 되어 영혼을 잃어가며 새로운 삶의 의미를 깨우친다는 젊은 여자의 고달픈 삶을 다룬 작품이란다. 이 영화의 詩的인 제목이 뜻하는 바는 “26살 먹은 아가씨가 1년 365일을 뼈 빠지게 일하지만 남은 것은 아무 것도 없다”라는 뜻이란다. 오늘 이와 비슷한 제목의 영화 (3 빼기 4 곱하기 10월)이란 영화를 보았다. 한때 키타노 타케시 감독에게 빠져 그의 영화를 한꺼번에 구해 본 적이 있었는데 오늘 특별히 다시 보았다. 이유는 우리나라에 요즘 너무 ‘조폭’ 영화 붐이 일어 일본 야쿠자 영화를 보고 싶어서였기 때문이다. 이 철학적일 것 같은 제목에..
2019.07.30 -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사랑과 영혼 아시아통합버전 (곽재용 감독 Windstruck 2004)
할리우드 영화에 대항하는 아시아 국가들의 영화제작방식은 다양한 연합의 형태를 띤다. [파이란]처럼 자국 영화의 영역에 제한되지 않고 이웃나라의 영화에 출연하거나 [쓰리]처럼 서로의 장점을 살리는 조합형 영화를 만들기도 한다. 물론 이런 연합방식은 오래 전부터 존재했지만 근래 들어서는 영화산업적 측면에서 더욱 치밀해지고 철저한 준비를 거쳐 작품을 내놓는다. 물론 모든 영화의 출발점은 영화를 보는 사람이 지구상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던 거부감 없이 내용을 수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내 여자 친구를 소개합니다] 이른바 [여친소]는 다분히 곽재용 감독의 전작에 기대면서 이러한 보편적 정서에 초점을 맞춘다. 곽재용 감독이 전지현, 차태현을 캐스팅한 [엽기적인 그녀]는 한국에서뿐만 ..
2013.01.03 -
[완전한 사육 40일간의 사랑] 인간의 조건 (完全なる飼育 愛の40日 , 2001)
'사육'(飼育)의 사전적 의미는 이렇다. '짐승 따위를 먹여 기름' 그러니까 집에서 토끼를 기르거나 햄스터를 키우는 것을 '사육한다'라고 하지 부모가 아이를 거두어 키우거나 나이든 부모를 봉양하는 것을 두고 '사육'한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이 영화 제목의 사육은 그처럼 비윤리적, 비인간적 이미지를 가진다. 40대 중년남자가 17세 여자를 납치, 감금한다. 그리고 온갖 못된 짓을 시킨다. 그런데 이 여자는 오히려 이 남자에 동정을 느끼게 된다. 인질의 심리변화를 다룬다기보다는 현대 일본이 보여주는 극도의 외로움(왕따)에 대한 나름대로의 분석일 수는 있다. 이 영화는 일본에서 실제 있었던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고 한다. 그 사건을 누가 책으로 썼다. 그리고 1999년에 한 차례 영화로 만들어졌다. 제목은 ..
2011.06.13 -
[트로이] 낭만전사들
[박재환 2004//24] 몇 해 전부터 우리나라 서점가에 그리스신화 열풍이 불었다. 걸출한 작가 이윤기씨의 힘이 컸을 터이지만 나 또한 한때는 이름조차 외기 힘든 이쪽 계통에 괜스레 관심을 기울였던 적이 있다. 요즘 꼬맹이들이 공룡이름을 줄줄이 외는 것처럼 올림포스 산의 신들의 이름이 꽤나 매력적인 주술 암호 같아 보였던 모양이다. [플루타르크 영웅전]에서 시작된 신화 찾기는 당연히 트로이를 발굴했다는 '하인리히 슐리만'의 자서전까지 이어졌고, 헤르도투스의 [역사], 호메로스의 [일리야드],[오딧세이]에까지 당도했을 것이다. 세익스피어 없이 영문학을 이야기할 수 없듯이 호메로스의 작품 없이 서구문학, 나아가 서구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경구도 있긴 하다. [퍼펙트 스톰]에서 거대한..
2009.06.14 -
[페이첵] 오우삼의 미래파 액션
한때 홍콩에서 [영웅본색], [첩혈쌍웅] 등의 이른바 '홍콩 느와르'로 휘황찬란한 업적을 남겼던 오우삼 감독은 1992년 [첩혈속집](辣手神探)을 마지막으로 홍콩에서의 작품 생활을 종료하고 할리우드로 활동 근거지를 옮긴다. 할리우드로 건너온 오우삼 감독, 즉 존 우 감독은 [하드 타겟]과 [브로큰 애로우]라는 작품으로 미국 영화팬에게 색다른 홍콩식, 오우삼 스타일의 액션을 선보였다. 그 후 그는 계속하여 액션 무비 [페이스 오프], [미션 임파서블2]로 인기감독으로 부상한다. [윈드토커]는 제작사 MGM을 파산위기로 내몰 만큼 실망스런 작품이었지만 [페이첵]에서 다시 한번 오우삼의 실력을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페이첵]은 [블레이드 러너]에서 [마이어리티 리포트]까지 미래세계에 대한 유니크..
2009.01.06 -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쿼바디스 도미네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는 골고다 언덕의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예수(지저스 크라이스트)의 의상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중생의 죄를 혼자 뒤집어쓰고 못 박혀 죽은 크라이스트의 '수난'의 순간을 리얼하게 담은 종교적 영화이다. 아마도 [리셀 웨폰]이나 [브레이브 하트], 혹은 [매드 맥스] 시리즈의 하드 액션 배우 멜 깁슨이 이 영화를 만든다고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눈길을 보낸 것을 짐작할 것이다. 게다가 그가 무슨 의도에서인지 자막도 넣지 않은 채, 예수가 살았을 당시 사용되었던 '아람어'(아랍어가 아닌!) 대사로 영화를 만든다고 했을 때 아무리 좋게 보아도 '아카데미용' 영화 만들기 아니면 치밀한 마케팅 전략 정도로 받아들였다. 게다가 예수를 팔아먹은 '반유대주의적 정서'가 다분히 내포되었다..
2008.12.21 -
[클린] 마약 전과자 장만옥의 모정블루스 (올리비에 아싸야스 감독 Clean, 2004)
(박재환 2004.11.19.) 올해(2004년) 칸 국제영화제에서 장만옥에게 여우주연상을 안겨준 유럽영화 이 곧 한국에서 개봉된다. 장만옥의 전 남편이었던 올리비에 아싸야스 감독 작품이다. 장만옥은 올리비에 아싸야스 감독의 (1996)에 출연하였고 두 사람은 이 영화가 계기가 되어 급속도로 사이가 가까워졌고 결혼에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장만옥은 홍콩과 프랑스를 오가며 사랑과 영화, 인생을 즐기다가 작년 갑작스레 이혼했다. 최근 와서 장만옥의 이혼 사유가 이러저러했다는 말들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사람의 일을 누가 알리오. 영화 [클린]은 두 사람이 이혼한 후 만든 영화이니 더욱 관심이 간다. 올리비에 아싸야스 감독은 동방문화에 심취했던 인물이다. 프랑스의 유명 영화잡지 [까이에 뒤 시네마]에서 기자 및 평..
2008.04.05 -
[킬 빌 2] 브라이드는 왜 쿵푸를 익히고 사무라이 칼을 잡았나
[Reviewed by 박재환 2004-5-4] 확실히 잡다한 영화에 대한 백과사전식 지식을 가졌고 영화는 이래야 한다는 뚜렷한 신념을 가진, 게다가 굉장한 수다쟁이인 쿠앤틴 타란티노는 최근 두 편의 영화를 잇달아 내놓았다. 자신의 결혼식장을 피로 물들인 자들을 지구 끝까지 찾아가 복수를 펼치는 한 브라이드의 이야기를 과감하게 두 편의 영화로 나누어 영화팬들에게 던져 놓은 것이다. 외국에선 1편을 보고 나온 사람들의 90%가 기꺼이 2편을 보겠다고 답을 했으니 제작자인 미라맥스의 하비슈타인의 입이 찢어질 만도 할 것이다. 실제 2편은 1편보다 더 좋은 흥행성적을 보이고 있다. 1편에서 일본 녹엽정에서 팔목, 손목이 댕강댕강 잘리며 피가 용솟음치는 잔인함과 흥겨운 음악이 즐거운 볼거리였다면 2편은 [..
2008.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