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예모(12)
-
[원 세컨드] 필름시대의 부성애 (一秒鐘 장예모 감독,2021)
중국현대사를 ‘중국입장’에서 약술하면 이렇다. 1949년 모택동이 천안문광장에서 ‘5천년의 폐악’을 일거에 뒤집고 인민의 나라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을 선포한다. 그런데, 나라가 틀을 잡기도 전에 한국전쟁이 터지고 ‘미 제국주의’가 중국을 집어삼킬까 전전긍긍한다. 전쟁이 끝나자, 이번엔 자연재해가 이어지고 수백만이 굶어죽는다.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공산국가 중국이 생존할 길은 암담하다. 모택동은 홍위병을 앞세워 문화대혁명을 일으킨다. 전혀 문화적이지 않았던 인성말살의 10년동란(十年動亂)이 이어진다. 그리고 1976년, 모택동이 죽고 4인방이 몰락한다. 이 때 등소평이 전면에 등장하며 ‘돈이면 최고’인 현대중국이 비로소 탄생한 것이다. 10년간 문을 닫았던 대학도 다시 열리고, 신입생을 다시 뽑기 시작한..
2022.05.22 -
[BIFF리뷰] 장예모 감독 ‘원 세컨드’ , 시네마천국이 '항미원조'를 만날 때
중국 ‘5세대 감독’에서 아직도 작품을 발표하는 사람은 장예모(장이머우)와 진개가(천카이거)이다. 그중 장예모의 창작열은 대단하다. 을 거쳐 30년 동안 여전히 중국영화계의 장인으로 남아있다. 이나 , 만 떠올릴지 모르겠지만 그의 작품은 대부분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소개되었다. , , , , , 가 중국영화의 깊은 유산, 장예모의 열정을 확인하게 해 준 작품이었다. 이번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작 중에도 그의 신작이 포함되어 있었다. (원제:一秒鐘/One Second)이다. 영화는 장예모의 영화에서, 그리고 그의 인생에서 결코 떼어놓을 수 없는 ‘문화대혁명’을 다룬다. 그런데, 천안문의 광기가 아니라 저 먼 (중국의) 서북지역 감숙성 오지 마을에서 펼쳐지는 ‘문혁의 그림자’를 담아낸다. 장예모의 장기..
2021.10.31 -
[공작조:현애지상] 장예모의 항일 첩보전
최근 중국영화 한 편이 평지풍파를 일으켰다. 한국전쟁 당시 중국 포병대와 공병부대의 활약을 담은 중국(입장에서의) 애국영화 ‘금강천’(한국제목: 1953 금강대전투) 수입을 둘러싼 소동이었다. 그 영화에는 한국군과 북한(인민)군은 한 사람도 등장하지 않는다. 의외로 미군도 몇 명 등장하지 않는다. 하늘에선 미군 전투기가 시도때도 없이 나타나서 밤낮없이 포격을 퍼붓고 중국의 인민지원의용군이 금강천을 건너기 위해 사투를 펼친다는 내용이다. 여하튼 그 영화 수입은 좌절되었고, ‘한국전쟁을 다룬 중국영화는 한국극장에서 상영해서는 안 된다’는 기준이 생겨버렸다. 이 즈음 또 한 편의 중국영화가 소개된다. 이번엔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다. 외교용어로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지혜가 필요한 모양이다. 서로 이견을 ..
2021.10.31 -
[영웅] 너무나 정치적인 영화 (장예모 감독 英雄 Hero 2002)
(박재환 2003.1.15.) 지난(2002년) 연말 홍콩에서 영웅>이 개봉되었을 때 자그마한 소동이 있었다. 주연배우 양조위가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진시황은 영웅이다. 중국을 통일시켰다. (1989년의) 천안문사태 당시의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진압을 정당했다. 국론 분열의 중국을 구한 것이다."라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는 것이다. 원래 황색 저널리즘의 왕국 ‘홍콩’ 언론이 전한 기사라 진위 여부는 모르겠다. 하지만 (쏟아지는 비난 속에서) 양조위는 "배우로서 영화 속 캐릭터에 몰입하는 것은 당연하다. 영화 속 ‘잔검’이란 인물은 진시황에게 매료된 인물이다."고 말했다. 깐느, 베니스에서 서로 모셔가려는 ‘중화영웅’이고, 이연걸, 장만옥, 양조위, 견자단, 장쯔이는 감히 얕잡아 볼 수 없는 국제적 지명도..
2019.08.26 -
[산사나무 아래] 암울한 시절에도 로맨스는 있기 마련 (장예모 감독 山楂樹之戀 Hawthorn Tree Forever, 2010)
해마다 추석이 지나고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올 즈음엔 해운대 바닷가에서는 영화의 대향연이 펼쳐진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2010년)로 15회째를 맞이한다. 세상의 모든 영화제 는 항상 자신들의 영화를 더욱 풍성하고, 더욱 특색 있게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프로그래머들이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부분은 당연히 상영작품 선정. 특히나 개폐막작은 최고의 과제이다. 영화제의 위상을 높이고, 어느새 차갑게 느껴지는 바닷바람을 고스란히 맞으며 수영만 요트경기장 야외상영장에서 영화를 관람할 PIFF팬들도 만족시켜줘야 하니 말이다. 그렇다고 아바타>를 내걸 수는 없잖은가. 프로그래머들이 1년을 공들여, 아니 영화제작단계에서부터 찜을 해둔 작품이라도 막상 뚜껑을 열었을 경우 관객을 굉장히 실망시킬 수도 있으니 말이다.부산..
2019.08.08 -
그레이트 월 (장예모 감독,長城, 2016)
'그레이트 월' 놀랄 노자 중국기예단’ (feat.장예모) (영화리뷰) [박재환 2017-02-16] 중국, 중화민족에 대한 가장 흥미로운 분석을 담은 책 중에는 황희경 교수의 라는 책이 있다. 중국을 '과장'과 '비주얼'의 측면에서 분석한 책이다. 장이머우(장예모) 감독의 영화를 볼 때마다 이 틀이 굉장히 주효하다는 느낌이 든다. 물론 장 감독의 초기 문예물과 문예물은 예외지만 말이다. 장예모 감독의 영화가 다 그러하듯이, 이 영화는 ‘중국’과 ‘중국영화’를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단지 중국에서 흥행대성공을 거두었다는 이유에서만 그러한 것이 아니다. 중국인의 미학관과 세계관, 그리고 영화산업의 현주소를 알 수 있으니 말이다. 영화 ‘그레이트 월’의 중국원제는 ‘장성’(長城)이다. 우리가 흔히 ‘만리..
2017.08.22 -
直面 張藝謨] 장예모 직격 인터뷰
중국은 사람 수만 많은 것이 아니다. 출판사도 굉장히 많다. 해마다 쏟아지는 책의 양도 장난이 아니다. 영화에 관한 책도 산더미같다. 종류도 다양하고 말이다. (直面 張藝謨)는 중국의 '경제일보출판사'(經濟日報出版社)가 내놓은 중국영화인 분석책의 하나이다. 작자 리어웨이(李爾葳)는 영화평론가며 영화잡지 편집자며, 영화기획자로 10여 년을 활동해온 인물이다. 그녀의 '직면계열'(페이스 투 페이스 인터뷰 씨리즈)는 장예모, 진개가, 공리, 갈우가 책으로 출판되었다. 2002년 초에 나온 편은 까지 다루고 있다. 장예모가 북경전영학원에 들어갈 때의 소동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중국에서 문혁의 광풍이 가라앉고 1978년 여름, 청년 장예모는 북경전영학원에 입학할 청운의 꿈을 품는다. 하지만 그의 나이는 이미 ..
2009.06.03 -
[집으로 가는 길] 옛 사랑
[Reviewed by 박재환 2000-10-29] 장 이모우(張藝謀)감독의 신작 은 아날로그 시대의 청순한 사랑과 잊어버린 인간의 냄새를 만끽할 수 있는, 실로 오랜만에 대하게 되는 순수 무공해 영화이다. 서구인들이 필요이상으로 중국 신세대감독의 작품에서 자기들 입맛에 맞는 정치색을 찾아나설때 오히려 중국최고의 감독 장이모우는 의도적으로 그러한 논쟁에서 멀찌감치 떨어져나간다. 그의 전작 에서는 마지막 순간까지 계몽주의적 작가의식을 내보였던 그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그런 무모한 의도를 접는다. 너무나 소박하고, 너무나 아름다운 한 시절의 순수한 러브스토리를 통해 모든 것이 너무나 빨리 변해가고, 너무나 쉽게 잊어버리는 세태를 부끄럽게 만든다. 장이모우 감독은 이번 영화에서는 중화민족의, 혹은 강대국 중국의..
2008.02.26 -
[진용] 2,000년의 사랑
[Reviewed by 박재환 2002-11-7]영화 의 원작은 따로 있다. 홍콩의 신문기자이며, 컬럼니스트이며, 인기 소설가인 이벽화(李碧華)가 쓴 (古今大戰秦俑情)이라는 역사의 외피를 두른 통속대중소설이다. 이벽화는 영화판에선 꽤 유명한 인물이다. 그의 원작을 영화화한 것으로는 그 유명한 , 를 비롯하여 , , 등이 있다. 왜 이런 유명한 작품의 원작을 '통속'대중소설이냐하면, 소설의 소재나 감각은 중국의 파란만장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에 두고 있지만 거개의 내용은 거의 이루지 못한 사랑, 애틋한 그리움들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문혁이나 역사 같은 거창한 굴레 속의 인간 관계가 흥미롭게 재현되긴 하지만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그의 작품을 읽어보고 나서의 이야기..
2008.02.24 -
[책상 서랍 속의 동화] 내 제자의 집은 어디인가?
[Reviewed by 박재환 1999-10-22] 이번(99년 4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소개된 장이모우감독의 가 이번 주 국내에 정식 개봉된다. 베니스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타면서 더욱 유명해진 이 영화는 오랜만에 보는 중국의 대중적인 영화이다. 그러면서도 대가의 작품답게 어떤 감동을 선사하기도 한다. 중국의 영화감독은 중국 내에서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중국 밖에서는 엄청난 민주투사 내지는 예술 혼의 화신으로 취급받는다. 특히 유럽 쪽 영화제에서는 더하다. 이번에 장예모 감독이 베니스영화제에서 그의 신작 로 황금사자상을 받자, 서구의 언론들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언론에서도 하나같이 중국의 영화와 정치상황을 빗대어 소개하고 설명하기 바빴다. 그래서 이 영화에서 나오는 배금주의적 의미라든지 콜라의 정..
2008.02.23 -
[황후화] 산업적 중국영화 ‘만성진대황금갑’ (장예모 감독, 滿城盡帶黃金甲 2006)
(박재환 2007.2.2.) 장예모 감독이 과 이라는 기묘한 무협물에 이어 내놓은 의 제작비는 3억 위엔(우리 돈 360억 원)에 이른다. 물론 중국 영화사상 역대 최고의 제작비가 든 영화이다. 이 영화는 최근 몇 년간 ‘산업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영화계의 허와 실을 여실 없이 보여준다. 영화는 지난 12월 14일 중국에서 개봉되어 최근까지 거의 3억 위엔 가까운 흥행수익을 올렸다. 지금까지 중국내 최고 흥행기록을 세운 영화는 으로 3억 6천만 위엔 이다. 의 원제는 (滿城盡帶黃金甲)이다. 당(唐)나라 말기 있었던 민중봉기 ‘황소(黃巢)의 난’의 반란괴수 황소가 지은 시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당나라가 절정의 시기를 지나 멸망으로 내리꽂을 때 ‘황소’는 반란군을 이끌고 대당 황제가 있는..
2008.02.14 -
[연인] ‘당대’ 최고의 무협영화 (장예모 감독/ 十面埋伏 2004)
(박재환 2004/9/13) 장예모 감독은 중국 5세대감독으로 세계 영화제의 최고 인기스타 감독이었다. [붉은 수수밭], [귀주이야기], [홍등], [책상서랍 속의 동화], [집으로 가는 길] 등 그가 내놓은 영화는 모두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서 최고의 상찬을 받아왔다. 영화감독이 되기 전, 그가 배우로 출연한 [옛 우물]은 동경국제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들 영화는 모두, 서구세계에 이른바 중국열풍(中國流)를 불러일으킨 장예모 감독의 작품들이다. 그런 그가 어느 날 배반에 가까운 변신을 했다. 바로 [영웅]이다. 고구려사가 걸려있는 한국관객이 지금 시점에서 그 영화를 보자면 무모하기 이를 데 없는 천하통일관을 다룬 영화이다. 그동안 소박한 작품세계를 견지하던 장예모 감독의 일대 전환점이 된 작..
200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