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지(10)
-
[몽콕의 하룻밤] 크리스마스 이브에 생긴 일 (이동승 감독 旺角黑夜 One Nite in Mongkok 2004)
(박재환 2004.7.1.) [몽콕의 하룻밤]은 이번(2004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소개되는 최신 홍콩영화이다. 홍콩에서는 지난 5월 20일 개봉되었었다. '몽콕'(旺角)은 널리 알려진 대로 홍콩에서 가장 번잡스런 곳이다. 왕가위 감독의 [열혈남아]의 원제목이 바로 [몽콕하문](몽콕의 카르멘)이다. 고층건물과 연립주택, 수많은 샵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이곳은 밑바닥 인생들과 범죄조직이 활개를 치고 있을 우범지대 같다. (물론 몽콕은 관광객과 쇼핑객이 가장 많이 붐비는 곳이기도 하다!) [몽콕의 하룻밤]의 이동승 감독은 쇼브라더스 소속 배우로 영화인생을 시작했다. 그의 부친과 모친이 모두 유명 영화배우였다. 홍콩의 중견배우 진패와 액션배우 강대위는 이동승 감독의 배다른 형제이기도 하다. 이동승은 1..
2019.08.17 -
[위험한 관계] 상해지련 (허진호 감독 危險關係 Dangerous Liaisons, 2012)
(박재환, 2012.10.23.) 이번 부산국제영화제 최고의 화제작 중 하나는 장동건, 장백지, 장쯔이가 주연을 맡은 멜로드라마 이었다. 이 영화는 지난 달 중국에서 개봉되었고 부산영화제에서 소개된 후 곧바로 국내에서도 극장개봉 되었다. 출연배우들의 면면만 보아도 이 영화는 2012년 아시아의 대표영화로 손꼽을만하다. 게다가 감독이 허진호라니. 이 영화는 중국 자본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잔잔한 멜로에 재능이 있는 한국 영화감독에, 아시아 시장에 통할 배우들을 캐스팅하여 검증받은 콘텐츠를 활용한 작품이다. 18세기 세상에 첫 선을 보인 쇼데를르 드 라클로의 원작소설 는 여러 차례 영화로 만들어졌다. 질투와 배신에 눈이 먼 남자와 여자의 사랑놀이가 기본구조이지만 다양한 변형을 보여주었다. 한국의 이재용 감..
2012.10.23 -
[십이야] 선수들의 작업 (임애화 (林愛華) 감독 十二夜 Twelve Nights 2000)
(박재환 2003.1.2.) 이전에 신문 연재만화 중에 "love is……."라는 귀여운 한 컷짜리 작품이 있었다. 앙증맞게 생긴 조그만 남녀 애가 (아마 발가벗은 모습이었을 것이다) 귀여운 포즈를 취하고 있고 밑에는 love is.(사랑은 ~~이다)라고 한줄 감동적인 글이 쓰여 있었다. 영화를 보면서 그 만화가 떠올랐다. 는 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는 사람-그것도 여자-의 심리상태를 보여준다. 여자의 시각에서라고? 그렇다. 이 영화는 한 남자에게서 헤어나질 못하는 여자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자는 수동적이라고? 그렇지 않다. 이 여자도 이미 다른 남자를 사귄 적이 있다. 그럼, 일단 거리에 나가보면 오고가는 많은 사람들 중에, 어떤 콩깍지가 씌어, ‘필연’이 되어버린 사랑에 절망하게 되는 것일까. ..
2008.03.05 -
[소림축구] 주성치, 축구화를 신다 (주성치 감독 少林足球 Shaolin Soccer , 2001)
(박재환 2002.2.7.) 축구를 중국어로는 '足球'라고 한다. 우리나라 예비역들이 좋아하는 '족구'와 혼돈하지 마시길... (2001년) 7월 홍콩에서 개봉되어 6천만 홍콩달러를 벌어들여 올해 최고의 흥행기록 작으로 기록된 작품이 바로 주성치 감독, 주연의 라는 영화이다. 이 영화는 제작단계에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고 개봉 후에도 줄곧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올해 유난히 헐리우드 블록버스트의 공세가 극심했음에도 이 영화가 웬만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트를 무릎 꿇게 만들었다. '엄청난 영화?' 주성치 영화이니 그다지 기대하지 않아도 되지만, 또한 주성치 영화이니까 기대할 만도 한 것이 사실이다. 주성치는 홍콩영화의 한 아이콘으로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단적인 예로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라는 잡지에서조차..
2008.03.05 -
[정이건 장백지의 도신] 유진위 감독의 무한부활 (유진위 감독 無限復活 Second Time Around 2001)
(박재환 2003.9.26.) 유진위 감독의 이 우리나라에 이라는 제목으로 은근설쩍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굉장히 반가운 영화임에 분명하다. 유진위라는 인물부터 소개하자면 한때 홍콩영화계의 컬트마스터로 추앙받던 인물이다. “유진위 없이는 주성치도 없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의 작품은 홍콩영화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가 주성치와 손잡고 만든 나 (홍콩 레옹) 말고도 내세울 작품은 너무 많다. 게다가 1992년 왕가위 감독과 택동영화사를 설립하고 만든 는 과 함께 홍콩영화팬에게는 두고두고 회자될 걸작 코미디이다. 유진위 감독은 시나리오 쓸 때는 기안 (技安)이라는 필명을 사용한다. (유진위의 정말 걸작을 만나고 싶다면 를 보아야할 것이다!!!) 유진위 감독은 어느 날 홍콩에서 벤쿠버로 이민을..
2008.03.05 -
[극속전설] 정이건의 레이스 (유위강 감독 烈火戰車 2 - 極速傳說, The Legend Of Speed 1999)
(박재환 2000.4.5.) 얼마 전 국내에 개봉되었던 의 감독 이동승의 1995년 작품으로 라는 것이 있다. 유덕화와 양영기가 나왔던 영화였는데 스피드에 목숨을 거는 홍콩의 젊은이들을 로맨틱하게 그린 작품이다. 그 영화에서 다룬 부모와의 갈등, 청춘의 고뇌 등은 제임스 딘의 고전 영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재이다. 에서는 폭주하는 모토사이클의 열정에 가족의 복원이라는 따뜻함이 더해져 평단과 흥행에서 좋은 성적을 올렸었다. 자기 복제에 능한 홍콩 영화계가 이 영화의 속편을 안 만들 리가 없을 것이다. 아니나다를까 홍콩 영화계는 새로운 피와 새로운 기술로 속편을 만든다. 제목은 이다. 주인공은 이제 홍콩의 신세대 스타 정이건이 맡는다. 정이건을 둘러싸고 본드 걸처럼 장백지와 임희뢰가 가세한다. 이동승..
2008.02.23 -
[파이란] 3류 깡패가 사랑과 인생에 눈뜰 때
[리뷰 by 박재환 2001/4/28] 작년에 나온 한국영화 중 가장 평가를 덜 받은 작품 중의 하나가 오승욱 감독의 일 것 같다. 주문진을 배경으로 형사와 깡패라는 전혀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쌍동이 형제의 극적인 인생유전과 3류 건달들의 결코 풀리지 않는 인생사를 담담하게 그려나간다. 그리고 종국에 가서는 화면 전체를 피바다로 만들며 가슴 아프게 하였다. 는 의외로 흥행에 실패하고 말았다. 그것은 키타노 타케시 감독의 류의 아류작으로 치부하고 지나친 폭력씬에 매몰된 작가의식을 미처 발견하지 못했는지도 모른다. 한국에서 이른바 '깡패영화'가 성공하려면 멜로라는 '코드'가 포함되어야한다는 것은 충무로에서 기본법칙이 되어버린 모양이다. 그것은 시절부터 있었던 것이고, 에서 확인된 상황이다. 최근 인터넷영화 ..
2008.02.18 -
[발렌타인데이] 여명과 장백지의 만남
[리뷰 by 박재환 2002/8/27] 꼭 수준높은 영화 팬만이 아니라 평균적인 문화인-그러니까, 1년에 교과서 말고도 에 소개되었던 책 한 권 정도는 읽는 사람-이라면 홍콩영화에 대해 어떤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아무리 애둘러 말하더라도 결론은 결국 '기본도 안되어 있는 한심한 쓰레기'라는 것이다. 그러한 경향성을 좀더 세분화하기 위해 '왕가위 영화를 제외하면...'이라는 조건을 붙인다든지, '오우삼이 활약하던 시절엔 작가영화란 것이...'어쩌구하는 따분한 이야기를 첨가한다. 이연걸이나 성룡이 짐싸들고 나가버린 홍콩은 사실 엄청난 경제난에 허덕인다. 실업률은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으니 잘먹고 열심히 일하던 시절에 심심풀이 땅콩으로 보던 홍콩식 오락영화가 오늘날에도 잘 팔리기를 기대한다면 그건 어불성설이다..
2008.02.17 -
[비협 소백룡] 장백지+오진우의 코믹 무협물 (엽위신 감독, 小白龍情海翻波 2004)
(박재환 2004/11/4) [동방불패] 등의 무협물에서 묘한 중성적 매력으로 수많은 팬들을 거느렸던 임청하가 결혼과 더불어 영화계를 전격 은퇴한 이후 ‘포스트 임청하’가 되려는 홍콩 아이돌 스타는 꽤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장백지가 가장 그 지존의 자리에 근접한 것 같다. 장백지는 주성치의 [희극지왕]으로 ‘놀라운’ 데뷔를 한 후 [파이란]까지 한국영화팬에게는 깊은 인상을 심어준 배우이다. 그녀가 올 2004년에만 벌써 네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연초에 허(許)삼형제의 올드 코미디를 현대식으로 리메이크한 [귀마광상곡]을 시작으로 홍콩판 [섹스 앤 시티]인 [성감도시], 그리고 오언조와 함께 홍콩으로 흘려들어온 촌티 나는 중국 여인 역을 해낸 [몽콕의 하룻밤]까지 흥행과 비평 양면에서 찬사를 받으며 끊..
2008.02.14 -
[희극지왕] 주성치는 살아있다. 어디에? (喜劇之王,1999)
홍콩의 희극배우 주성치가 주연하고, 각본하고, 감독한 영화 이 한국에서 지난 주말(2000년 3월) 조용히 개봉되었다. 서울 시내 MMC 극장 단 한 곳에서만 개봉된 을 보기 바로 이틀 전, 주말 모 TV에서 방영하는 영화연예 정보프로에서는 이 영화를 소개해 주며 영화의 거의 전편을 짜깁기하여 소개하는 친절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극장에서 주성치 영화를 또다시 커다란 스크린으로 보게 되니 감회가 새로울 수밖에. 주성치 영화를 올바르게 감상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그것은 결코 자신이 '왕가위 패거리(사단)'가 되어서는 안 되며, 또한 맥락는 저질이 되어서도 결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주성치의 오소독스한 매력을 절대 느낄 수 없다. 오랫동안 적용되던 주성치영화 감상법이지만 이제..
200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