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리뷰26

[녹나무의 파수꾼] 히가시노 게이고의 휴먼 판타지 (양윤옥 옮김/소미미디어) 확실히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는 현재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일본 작가이다. 1985년 소설 데뷔작 이후 그가 쓴 수십 권의 작품은 한국에 번역 소개되었다. 그의 작품은 소설로뿐만 아니라 영화와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놀라운 것은 그의 쉼 없는 창작열이다. 거의 해마다 새로운 작품을 내놓고 있다. 올봄 그가 내놓은 책이 바로 이다. 같은 정통 추리소설은 아니다. 같은 휴먼드라마이다. 덧붙여 에서 보여준 소프트한 불륜(?)의 추적극이 느닷없이 더해진다. 주인공 나오이 레이토는 보잘것 없는 청춘이다. 긴좌의 술집여자였던 엄마가 죽은 뒤 할머니 손에 자랐다. 아버지는 누군지 모른다. 유부남이었다는 것만 기억할 뿐. 그럭저럭 자랐지만 풀리지 않는 운명의 레이토는 절도죄로 재판을 받게 된다. 그때 그를 찾아온 .. 2020. 3. 30.
[BOOK] 넷플릭소노믹스 "미디어생태계 대전" (유건식 한울아카데미,2019) (박재환 2019.9.16) 최근, 내달 개막하는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를 앞두고 이용관 BIFF이사장과 전양준 영화제 집행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쏟아진 질문 가운데 가장 많았던 질문이 부산에서 상영하는 넷플릭스 작품과 관련된 것이었다. 실제, 부산영화제에서는 작년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영화 를 상영한데 이어 올해에도 등 네 편의 넷플릭스 영화가 소개된다. 어쩌면 이들 영화는 부산영화제를 ‘넷플릭스 홍보의 장’으로 이용하려는지 모른다. 넷플릭스는 영화계-정확히는 극장업계의 계륵인 셈이다. 재작년 봉준호 감독의 가 칸영화제 경쟁영화제부문에서 처음 상영된 뒤부터 넷플릭스는 영화계에 논쟁의 중심에 섰다. 영화산업에서 자국영화에 대한 완고할 정도의 보호정책, 울타리를 치고 있는 프랑스에.. 2019. 9. 16.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발칙한 사랑의 당파싸움 (박재환 2010.08.31) 오호? 소설이 이렇게 재미있을 수도 있구나. 유치한 하이틴 로맨스인줄 알았는데 손에 쥐는 순간 한달음에 읽어버리게 되는 유쾌함과 코끝 찡한 감동이 있었다. (여기서 감동이라함은 극적 구성이 뛰어나다는 말임) 여자, 성균관에 들어가다. 조선시대에 말이다 조선시대, 정확히는 정조시대. 노론/소론/남인/북인이 제각기 무슨 주장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른바 당파싸움으로 조선양반들을 ‘오늘날의 여야만큼 극명하게 쪼개놓았던 그 시절’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 남산 묵동의 한 가난한 양반집. 과거에라도 급제하여 집안을 일으켜 세워야할 김윤식 도령은 태어날 때부터 병치레로 골골거리는 신세.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그의 한 살 많은 누나 김윤희는 먹고 살기 위해 위험한 선택을 한다. 어렸.. 2019. 8. 18.
[연성결] 김용의 강호잔혹사 連城訣] 김용(1963) (박재환 2004/5) 을 다시 올립니다. 지금 읽어보니 “아~ 연성결이 이런 내용이었군” 소리가 절로 나옴. 김용 소설이란 게, 무협소설이란 게 그런 모양입니다. ^^ 1972년 [녹정기]를 마지막으로 절필을 선언하기 까지 김용은 꽤 많은 무협작품을 내놓았다. 그중 [연성결]은 1963년에 홍콩과 싱가포르 신문매체 연재하기 시작했던 작품이다. 처음 연재 시 이 작품의 제목은 [소심검](素心劍)이었다. 모두 12장으로 이루어진 2권 분량의 꽤 콤팩트한 작품이다. 하지만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하면 무림강호의 비정함이 유독 강조된 작품이다. (혹시.. 김용 작품을 너무 많이 읽거나, 읽은 지 너무 오래된 사람을 위하여 …..) 스포일러! ** 줄거리가 자세히 나와 있으니 책 읽으실 분은 아래 내용 읽지 마세.. 2019. 8. 18.
[부용진](소설) 사람아, 아 사람아 (芙蓉鎭, 고화 지음) [부용진] 芙蓉鎭, 고화(古華) 중국현대사에 있어서 ‘광기의 10년’이라고 일컫는 문화대혁명을 배경으로 한 영화가 몇 편 소개되었었다. 장국영의 [패왕별희]도 문혁의 광기를 그린 영화였다. 한때는 문혁(文革)을 배경으로 한 소설 [사람아, 아 사람아]라는 소설도 대학생들에게 꽤 인기를 끈 적이 있다. 하지만 문혁이란 광풍이 중국대륙을 휩쓸고 지나간 지 이미 한 세대나 지났지만 국외자일 수밖에 없는 한국 사람에게는 문화대혁명이 그들 중국인에게 정확히 무슨 의미를 지녔고, 어떤 집단최면으로 10억이 홀렸는지를 온전히 이해하기란 힘들다. 중국인 스스로도 그들의 기억 자체에서 잊어버리고 싶은 고통과 고난의 세월이었으니 말이다. 우리에게 중국 문혁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해 준 첫 번째 작품은 아마도 영화 일 것이.. 2019. 8. 18.
[밤의 괴물] 스미노 요루의 이지메 탐구 밤의 괴물 よるのばけもの 스미노 요루 저/양윤옥 역 | 소미미디어 (박재환 2018.6.27) 일본작가 스미노 요루는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라는 다소 충격적인 제목의 작품이 애니메이션으로 먼저 소개되며 관심을 받았다. 그의 두 번째 소설 에 이어 신간이 번역 출간된다. 이다. 제목만으로 사람을 궁금하게 하고, 영화사들이 관심 갖게 만드는데 재주가 있는 듯 하다. 은 의외로 무겁고, 심각한 사회문제를 담고 있다.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짐작하고, 이해하고, 공감하게 된다. 소설은 일본의 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년 앗치는 그 나이 소년들과 별 다를 게 없는 평범한 학생이다. 어떻게? 핸드폰에 빠져있고, 유튜브를 좋아하고, 학교와 학원을 오가는 평범한 삶? .. 2019. 8. 12.
[무지개를 기다리는 그녀] 인공지능과 드론이 만나다 (이스키 유 지음) 무지개를 기다리는 그녀 虹を待つ彼女 (이쓰키 유 저/김현화 역 소미미디어) (박재환 2018.3.19) 2016년 3월,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이 바둑 대결을 펼쳤다. 다섯 번의 대결에서 이세돌은 네 번째 대국에서 한차례 승리했다. 1승 4패! 압도적인 알파고의 승리였다. 알파고는 더욱 열심히 ‘혼자 공부’하면서 바둑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넘어서고 있다. 그런 ‘인공지능(AI)’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흥미로운 소설이 한 권 출간되었다. 일본 이쓰키 유라는 작가가 쓴 소설 이다. 이쓰키 유는 법학과를 나온 웹 엔지니어출신이란다. 이 사람의 출신이 흥미롭다. 인공지능이 막 떠오를 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자동차 자동주행의 경우, 만약 브레이커가 고장 났다. 어딘가를 들이박아 강제스.. 2019. 8. 10.
[눈물] 쑤퉁이 새로 쓴 맹강녀 이야기 (쑤퉁/ 김은신 역 碧奴 문학동네 2007) [눈물|碧奴] 쑤퉁(苏童) (김은신 역/문학동네 2007) (박재환 2009.9.14.) 중국현대작가 중에 쑤퉁(蘇童,소동)이라고 있다. 우리에겐 오래 전 장예모 감독의 의 원작소설 작가로 이름이 먼저 알려진 사람이다. 그의 소설은 최근 한국에서도 활발히 번역 소개되고 있다. 그중 이란 작품을 읽었다. 의 중국어 원제는 (碧奴)이다. 극중 여자주인공의 이름이 벽노(중국어로는 비누이다. 소설은 중국 만리장성 축성과 관련이 있는 맹강녀 전설(孟姜女哭長城)에서 모티브를 따온 작품이다. 소설을 읽기 전에 우선 맹강녀 이야기부터 하면. 중국에서 맹강녀 이야기는 우리나라 ‘환인 환웅 단군’ 이야기만큼 역사가 오래되었다 적어도 진시황(BC221)이 만리장성 쌓던 시절부터 약 2천 년은 더 된 옛이야기이다. 원래 이런.. 2019. 8. 9.
[눈보라 체이스]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 (양윤옥 옮김, 소미미디어) 일본 추리소설의 대가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가 돌아왔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내놓은 듯한 겨울시즌 맞춤형 소설 (양윤옥 옭김, 367쪽, 소미미디어)이다. 실제 스노보드를 즐기는 겨울스포츠 마니아로 알려진 히가시노 게이고가 과 에 이어 내놓은 이른바 ‘설산(雪山) 시리즈’의 3번째 작품이다. 취업을 앞둔 평범한 대학생 와키사카 다쓰미는 스노보드 매니아. 이날도 신게스 고원의 설산을 찾아 활주금지구역의 비밀스런 포인트에서 자기만의 스노보딩을 즐긴다. 아무도 밟아보지 않은 파우더 스노우를 활강하는 매력은 아는 사람만 아는 법. 그런데, 아무도 찾지 않을 것 같은 그곳에 한 여자가 있었다. 셀카를 찍으려는 그녀를 위해 사진을 찍어준다. 그녀가 남긴 말은 “내 홈그라운드 사토자와야!”라는 말뿐. 그리고.. 2019. 7. 28.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블레이드 러너 원작소설 (필립 K. 딕/ 박중서 역 폴라북스) [박재환 2017-10-20] 우주괴물 생명체의 놀라운 종족번식의 욕구를 담은 영화 의 리들리 스콧 감독이 1982년 내놓은 는 암울한 묵시록적인 미래를 담은 SF걸작으로 손꼽힌다. 무려 35년 만에 영화의 속편이 만들어졌다. 는 전설적 SF작가 필립 K. 딕이 1968년에 발표한 라는 꽤 기이한 제목의 소설이 원작이다. 필립 K. 딕의 소설이 영화에서는 어떻게 각색되었으면, 2017년 속편에서는 어떤 DNA가 남아있는지 다시 책을 펼쳐보는 것도 흥미로울 듯.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에 민감한 분은 읽지 마시길) 1982년 만들어진 영화의 배경은 2019년이라고 나오지만, 원작소설의 시간설정은 1992년 1월 3일이다. (이날 하루 릭 대커드는 정말 힘든 하루를 보내야한다) 승자도 패자도 없는 핵전쟁이 일.. 2017. 10. 21.
[호모데우스 미래의 역사] "인류 미래는 이럴 것이다!" (유발 하라리 지음) 모차르트의 파란만장한 삶을 연극무대에 이어 스크린에 옮긴 는 모차르트의 미들네임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라틴어 단어로 보면 ‘Amadeus’는 ‘신’(神)을 뜻하는 ‘DEUS’와 관련이 있다. 전작 로 지적 충격을 안겨준 이스라엘의 박학다식한 유발 하라리 교수의 신간 제목은 이다. ‘슬기로운 사람’이란 의미의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에서 더 진화된 미래의 인류는 과연 신에 범접한 ‘호모데우스’일까. 이달 초 발간된 는 600쪽에 달하는 두꺼운 책이다. 역사, 철학, 군사, 종교, 문화, 생물, 심리, 의학 등 다방면에 걸쳐 인류의 진화를 파헤친 하라리 교수는 에라도 출연한 듯 휘황찬란한 인류문화와 과학문명의 발달의 역사를 뛰어난 통찰력으로 일필휘지 써내려간다. 먼저 책의 앞.. 2017. 8. 15.
[국제법학자, 그사람 백충현] 독도와 외규장각 의궤를 지켜낸 법학자 (김영사, 이충렬 지음) 대학에서 ‘진짜’ 전공을 찾을 때는 ‘진짜’ 고심해야한다. 1957년 서울대학교 법대에 입학한 백충현은 ‘국제법’을 선택한다. 국제법이 왜 필요한지는 ‘한일협정’과 ‘독도’ 문제만 보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국제법학자인 백충현 교수의 생을 따라간 책이 나왔다. 김수환, 전형필, 최순우, 김환기 등의 전기를 쓴 이충렬 작가가 내놓은 신간이다. 이충렬 교수는 동료들이 판검사로 입신양명을 꿈꿀 때 홀로 국제법 학자의 길을 선택한다. 20대 후반부터 독도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에 매진해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국제법적 근거를 마련했고, 이 책에서 처음 공개되는 사료인 를 입수,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명백히 밝힌다. 또한 20년 동안 논쟁을 불러일으킨 프랑스 외규장각 의궤 반환 문제에 .. 2017. 8. 15.
[메가트렌드 차이나] 찬양하고, 경배하고, 두려워하라! 중국을!! 이런 책은 꽤 인기가 있다. 여름 휴가철이라도 되면, 대통령이나 기업총수(C.E.O)가 피서지에 이런 책을 갖고 가더라는 뉴스에 꼭 포함되는 그런 류의 책이다. 물론 이런 책은 많이도, 꾸준히도 출판된다. 중국이라는 거대시장을 통찰력 있게 바라보는 책을 만난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미래전망에 대한 혜안이 담겨 있는 책 말이다. 전문가들이 현상을 면밀히 분석하고 1년 뒤, 10년 뒤의 모습을 어렴풋이 그려 보여주는 책 말이다. 그럼 이 책을 한번 보자. 의 작가는 존 나이스비트이다. 저자 소개를 보니 엘빈 토플러와 함께 미래학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세계적인 미래학자로 나와 있다. 정말 기이하게도 난 엘빈 토플러의 책을 단 한권도 읽어보지 못했다. 뭐, 자랑은 아닐 테지만 말이다. ‘미래학’이란 게 당연히.. 2010. 9. 29.
[국가의 죄수] 테이프로 남긴 조자양의 비밀 회고록 천안문사태를 아는가. 천안함 말고. 중국 베이징의 천안문광장에서 민주화 시위를 펼치던 중국 학생들을 중국 인민군 부대가 탱크를 앞세우고 강제유혈진압을 한 사건이다. 당시 수백 명 이상이 죽은 것으로 사료된다. 1989년 6월 4일 새벽에 일어난 일이다. 그래서 육사사건(六四事件)이라고도 한다. 이미 20년이 더 된 일이다. 난 기억한다. 당시 다니던 학교가 학내민주화랍시고 어수선하던 때였다. 친구랑 어디 여행이나 가자고 나서는 길에 친구가 을 보여주며 호들갑을 떨던 기억이 난다. 저 멀리 중국 베이징 천안문광장 앞에서 중국대학생들이 민주화시위를 벌인 것은 4월부터였고 한국 신문에도 매일같이 급박한 현지상황이 전해지던 때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 광주에서 엄청난 비극이 일어났을 때 외부로 그 실체가 .. 2010. 9. 13.
[북조선의 진실] 중국 르포작가 예용례의 책을 읽고 싶다! 얼마 전에 조선일보에서 이런 기사가 실렸다. (▶여기: "김일성 심장발작 후 두 번째 헬기로 평양에 새벽 2시 심장 멈췄다") 중국의 한 작가가 이란 책을 통해 김일성의 사망당시에 대해서 언급한 내용이다. 중국작가가 전한 김일성 사망 당시의 상황은 이렇다. 연일 격무에 시달리던 김일성이 1994년 7월 7일 묘향산 별장에 머물 때, 옛 빨치산 전우(조명선 상장)의 사망 관련소식을 전해 듣고는 진노했단다. 당시 김일성의 옛 전우가 하나둘 숨을 거두는데 적절한 응급처치나 치료를 못하고 죽어갔단다. 그 와중에 김일성을 심장발작으로 쓰러지고 평양까지 이송해야했는데 헬기 사고로 시간이 지체되면서 손 쓸 틈도 없이 죽었다는 것이다. 김일성 사망당시의 상황에 대해서는 미국의 첩보위성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으.. 2010. 9. 10.
[성룡자서전] 成龍自述 성룡=진항생=방사룡=재키 찬 성룡은 그가 출연한 영화만큼 매력적인 인생역정을 갖고 있다. 그것은 단순한 엑스트라 대역배우의 성공기가 아니다. 중국의 현대사를 관통하는 이데올로기가 포함된 드라마틱한 가족사의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성룡이 자신의 일생을 담담하게 구술한 자서전은 영어와 중국어로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성룡은 자신의 출생에 대해서 이렇게 밝혔다. 자신은 말띠 해인 1954년 4월 7일, 아버지 진지평(陳志平)과 어머니 진려려(陳麗麗) 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났다고 한다. 그런데 아주 최근에야 자신에게 배다른 형제 누이가 중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고 밝혔다. 성룡 팬들은 성룡의 본명이 진항생(陳港生)인 것으로 오랫동안 알고 있었는데 최근에야 성룡의 본명은 '진'(陳)씨가 아니라 '방'(房)씨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오.. 2009. 6. 3.
[邵氏影視帝國] 쇼 브라더스 영화 연구 지난 2003년 여름에 열렸던 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는 흥미로운 회고전이 포함되었었다. 바로 쇼브라더스 회고전이다. 1960~70년대 홍콩, 한국, 동남아를 풍미했던 쇼 브라더스의 영화들이 상영된 것이다. 그해 상영된 영화는 호금전 감독의 , 장철 감독의 , 등이었다. 올드 팬들의 열광적이 성원에 힘입어 이듬해 회고전이 한번더 열렸다. , , , , 등이 상영되었다. 쇼 브라더스 영화는 이제 국내에서는 스펙트럼에서 나오는 DVD로 손쉽게 만나볼 수 있다. 하지만 지난 수십 년 동안 쇼브라더스 영화는 우리들 시야에서 완전히 사라졌었다. 쇼 브라더스는 1920년대부터 영화사업을 하던 소(邵)씨 집안의 영화사이다. 원래 1925년 6월 소씨 형제의 '천일영화사'(天一影片公司)가 시발이다. 당시 큰형 소.. 2009. 6. 3.
[赤裸的盛放 張國榮前世今生] 장국영 포켓북 중국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책이나 DVD를 구매하는 것은 일종의 모험이다. 어떤 포장의, 어떤 종류의 상품이 '실제로' 배달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 책도 그러한, 책을 손에 직접 쥐어보기 전까지는 '초기 기대'와는 상관없는 내용의 상품이었다. 제목은 (赤裸的盛放 張國榮前世今生)이라는 책이다. 우울증에 시달리던 장국영이 홍콩의 한 호텔에서 뛰어내려 생을 마감한 것은 2003년 4월 1일. 만우절 날 저녁의 일이었다. 이 책은 그해 초에 중국에서 발행된 '장국영관련 서적'이다. 오늘날 중국 인터넷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장국영 관련 책자는 수십 종에 이른다. 인터넷을 통해 사진과 목차만으로 주문했다가 실망한 그런 책이다. 일단 책 크기가 손바닥만하다. '장국영의 죽음과 그 이후'를 다루지 않았고 인터넷에 나도.. 2009. 6. 3.
中國電影百年] 중국영화 100년의 연대기 작년 2005년 중국영화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였다. 1년내내 다채로운 행사가 중국에서 열렸다. 중국영화에 조예가 깊었던 베니스 영화제의 마르코 뮐러 집행위원장은 작년 베니스영화제에 다양한 중국영화 특집을 마련하기도 했었다. (中國電影百年 上編 1905~1976)은 중국의 신문사인 (新京報)가 중국영화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연재했던 특집기사들을 모은 책이다. 중국의 영화전문가들이 심혈을 기울인 기획기사답게 중국영화 100년을 관통하는 흐름과 지식을 알 수 있게 하는 '꽤 훌륭한 기획서적'이다. 의 연재기사를 중국광파전시출판사(中國廣播電視出版社)가 상/하권 두 권의 책으로 묶어 출판했다. '상권'은 중국 최초의 영화 (1905)부터 문혁이 종료된 직후까지 다루고 있다. 1972년 안토니오니 감독의 .. 2009. 6. 3.
[香港電影史話- 余慕雲] 홍콩영화사 무성영화시기 홍콩에는 꽤 많은 홍콩영화사(史) 책들이 나와있다. 그 중 흥미로운 책 중의 하나가 여모운(余慕雲)선생의 (香港電影史話)이다. 홍콩의 '次文化堂'이라는 출판사에서 4권으로 나온 홍콩영화의 연대기이다. 그렇다고 번듯한 개론서는 아니다. 마치 우리나라의 정종화씨가 열화당에서 펴낸 같은 성질의 책이다. 종이질도 훨씬 나쁘고 올 흑백이다. 여모운 선생의 은 '默片時代 1896年~1929年)'이 부제이다. 홍콩영화사에 있어서 무성영화시대를 집중 조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초기영화사를 다룬 개설서와 마찬가지로 이 책은 홍콩의 옛 신문 잡지의 광고와 기사 등을 통해 홍콩영화의 초창기를 살펴본다. 이 책에 따르면 홍콩에서 '영화'가 첫 상영된 것은 1896년 1월 18일 전후이다. 홍콩에서 나온 (華字日報)라는 신문기사.. 2009. 6. 3.
直面 張藝謨] 장예모 직격 인터뷰 중국은 사람 수만 많은 것이 아니다. 출판사도 굉장히 많다. 해마다 쏟아지는 책의 양도 장난이 아니다. 영화에 관한 책도 산더미같다. 종류도 다양하고 말이다. (直面 張藝謨)는 중국의 '경제일보출판사'(經濟日報出版社)가 내놓은 중국영화인 분석책의 하나이다. 작자 리어웨이(李爾葳)는 영화평론가며 영화잡지 편집자며, 영화기획자로 10여 년을 활동해온 인물이다. 그녀의 '직면계열'(페이스 투 페이스 인터뷰 씨리즈)는 장예모, 진개가, 공리, 갈우가 책으로 출판되었다. 2002년 초에 나온 편은 까지 다루고 있다. 장예모가 북경전영학원에 들어갈 때의 소동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중국에서 문혁의 광풍이 가라앉고 1978년 여름, 청년 장예모는 북경전영학원에 입학할 청운의 꿈을 품는다. 하지만 그의 나이는 이미 .. 2009. 6. 3.
대만전영:정치경제미학 1949~1994] 대만영화사개론서 (책 출판당시) 대만국립정치대에서 방송시각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인 노비역(盧非易) 교수의 대만영화사 개론서이다. 대만이 '대만 섬'에 자리를 잡은 1949년을 기점으로 대만영화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대만 최초의 영화는 장철 감독의 이라고 소개했다. 그 과정이 조금 드라마틱하다. 원래 중국 상하이의 영화사들이 대만으로 건너와서 로케촬영을 종종했다. 1949년 일단의 영화촬영팀이 대만에 도착했다. 그리곤 중국과 대만이 갈라섰다. 이 촬영팀이 바로 이후 쇼브라더스의 거장이 되는 장철감독이 포함되어 있다. 그때 만든 작품 이 대만 최초의 영화이다. 이 책은 대만정부 수립(?)이후의 대만영화사를 다루고 있다. 그 이전 시대는 다른 책을 봐야할 듯. 대만 최초의 영화는 중국과 홍콩, 한국이 그러하듯이 뤼미에르의.. 2009. 6. 3.
[(소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이해하기 쉽지 않은 이야기 작년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원작소설을 지난 달 읽었다. 워낙 글 쓸 시간이 없어 미루다가 이제야 원작소설을 소개한다.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코엔 형제(에단 코엔 & 조엘 코엔)가 감독을 맡은 작품이다. 이들 형제는 부터 시작하여 , , , 등 꽤 재밌는 영화를 만들어왔다. 이들 작품은 모두 그들 형제가 직접 시나리오 작업도 했었다. 그런데 [노인을 위한 나라느 없다]는 이들 형제가 처음으로 다른 사람의 작품을 영화로 옮긴 것이다. 영화 시나리오각색 작업은 형제가 직접했다. 원작소설이 얼마나 재미있었기에 코엔 형제가 선뜻 나섰을까. 사실 난 ‘코맥 매카시’라는 작가 이름을 처음 들어봤다. 1933년 미국 로드 아일랜드 출신의 코맥 매카시는 소설, 극본, 시나리.. 2009. 3. 12.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자] 영화 '더 리더'에 나오는 안톤 체호프 단편소설 어제(2009.2.23) 열린 81회 아카데미영화상 시상식에서 영예의 여우주연상은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에 열연한 케이트 윈슬렛에게 돌아갔다. 케이트 윈슬렛은 [타이타닉]의 바로 그 여배우이다. 이 굉장한 여배우는 이미 아카데미에서 주연상과 조연상 후보에 다섯 차례나 올랐으나 번번이 떨어졌고 이번에 기어이 6번째 만에 골든 오스카를 손에 쥐고 말았다. 사실 케이트 윈슬렛의 연기력은 굉장하다. 그녀는 아카데미 직전에 열린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로 주연상을, 로 조연상을 동시에 거머쥐었다. (주연상이냐 조연상이냐는 각 영화상마다 규정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여하튼, 를 보면 강한 독서 욕구를 얻게 된다. 뭔가를 읽고 싶은 강한 욕망과 열정을 느끼게 된다. 의 내용은 곧 개봉될 영화를 보시.. 2009.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