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30)
-
[올리버] 죽 조금만 더 주세요..
일요일 저녁에 캐치원에서 앤드류 로이드 웨버 뮤지컬 하이라이트를 보여주었다. 이 프로그램은 원래 작년 웨버의 50회 생일을 맞아 특별기획 공연된 것이다. 웨버는 영국출신의 대중음악가, 뮤지컬 작곡가로 , 등 수많은 걸작을 만들었다. 그의 빛나는 스코어는 물론 우리나라에도 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다. 그리고, 얼마 전 인터넷을 보니 가 아주 오랜 만에 다시 런던 극장가에서 재상영하게 되었다고 한다. 도 원래는 런던 무대극으로 출발하여 영화로 만들어졌고, 그게 어느새 전세계 올빼미 컬트 팬을 잔뜩 거느리게 된 전설이 된 것이다. 이들 뮤지컬/영화는 모두 그 바탕이 영국 런던의 무대극이다. 헐리우드 41번가 브로드웨이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말이다. 영국의 음악적 기반을 이야기해 보려고 했는데 사실 쓸데없는 ..
2008.03.06 -
[타이타닉호의 비극] A Night to Remember
타이타닉이 미국에서 개봉된 것은 1997년 12월 19일이다. 우리나라는 98년 2월 20일이다. 미국에서 비디오로 출시된 것은 98년 9월 1일이고, 우리나라는 98년 9월 20일로 잡혀있다. 제임스 카메론의 을 난 극장세 번 봤었는데, 계속되는 호기심은 이 타이타닉의 전작들에 대한 호기심으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인터넷으로 미국의 비디오 판매 사이트를 찾아보니, 몇 편이 있었는데 가격이 만만찮았다. 그런데 오늘 정말 극적으로 EBS-TV에서 이 영화를 방영하였다. 너무나 기분좋아 며칠 전부터 잠이 안올 정도였다. 그리고, 오늘 달라붙어, 타이타닉이 침몰해 가는 광경을 지켜보았다. (난, EBS에서 방영한 와, 이전에 에서 보여준, 제임스 카메론 특집프로, 그리고, 케이블텔레비전 Q채널에서 방영한 타이타..
2008.03.06 -
[미니버 부인] 2차세계대전 프로파간다의 고전 (윌리엄 와일러 감독 Mrs. Miniver 1942)
(박재환 2004.2.25.) 하늘과 땅만큼의 엄청난 질적 의미 차를 가지는 단어군(群)들이 있다. ‘전향과 배신’, ‘투자와 투기’, 그리고 ‘선전과 선동’이다. '선동'이란 다분히 부정적인 의미로 들리지만 비상시국에선 국가적 아젠다를 형성하고 국민의 컨센서스를 이루어 궁극적으로 국가와 민족, 개별 인민의 영광과 평화를 획득하게 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영국과 미국에서는 이러한 '프로파간다' 성격의 영화가 곧잘 만들어져서 대중의 마음을 움직이기도 했다. [미니버 부인]은 1943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12개 부문 후보에 올라 6개를 차지한 걸작 클래식 무비이다. 흥행 면에서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이어 그 해 두 번째로 많은 돈을 벌어들인 흥행성공작이다. 오늘날 와서 ..
2008.03.06 -
[미드나이트 카우보이] 산산히 부서지는 아메리칸 드림
옛날에 영화에 처음 빠졌던 중학생 시절, 내 어린 시절의 생활범위내에는 극장이 세 개 있었다. 이른바 '2류극장'(재개봉관) 하나와 '3류극장'(재재개봉관) 둘 이었다. 극장이름도 아스라히 남아있다. 부산의 온천극장, 동성극장, 국보극장이다. 물론, 학교만 2류, 3류, 인간만 2류, 3류 있는 것이 아니라 극장도 그런게 있는 모양이다. 참으로 많이, 자주 그 극장들을 들락거렸다. 두편 동시에 하니 영화에 목말라하던 그 시절 이런저런 영화를 만끽할 수 있었다. (한번도 임검단속 나온 지도교사나 경찰아저씨에게 걸리지 않았다. 요즘이야 이런 어린 학생을 입장시켰다가는 청소년보호법 위반으로 고생좀 할것이다.극장주가 말이다) 그때 본 영화 중에 아직도 단편적으로 기억에 남아 있는 영화 중의 하나가 바로 이다. ..
2008.03.05 -
[아라비아의 로렌스] 영웅신화
* (2013.12.17) 1998년에 쓴 글이네요. 무려 15년 전. 다시 보고, 다시 써야할 글 같습니다. 어제 이 영화의 주인공 피터 오툴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명복을 빕니다. [Reviewed by 박재환 1998-12-14] 의 피터 위어 감독이 1981년에 만든 를 보면서 왜 호주의 젊은이들이 그야말로 저 머나먼 남의 땅에서 개죽음을 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그 영화의 배경은 1차세계 대전당시 이집트 북단과 홍해 거너 아라비아반도 일대에서, 수에즈 운하를 사수하기 위해 (당시 아직은 석유문제로 싸움이 붙은 것은 아니었다) 서방세력과 터키가 싸우고 있었던 것이다. 오늘날은 '터키'라 하면 (증기탕으로 공식 改名된) 터키탕이라는 이상야릇한 이미지와 일마즈 귀니 감독의 이라는 영화가..
2008.03.05 -
[내가 마지막 본 파리] 남자는 여자를 사랑했다
[Reviewed by 박재환 1999-1-25] 스크린쿼터제(일명 SQ)가 영화인의 관심을 끌게 되면서 회자되는 것 말 중에 하나가 "영화는 자동차 만들기 같은 산업이 아니라 문화이다"라는 명제이다. 하지만, 말이 문화이지 그것은 어디까지나 유럽 중심의 문화인식이고, 미국중심으로 말하자면 여전히 산업이다. 우리는 미국적인(헐리우드적인) 산업적 스케일이나, 유럽식의 (문화)마인드가 없으니 당연히 어정쩡하게 (그래도 좀 가능하지 않을까해서) 문화라고 자위하고 있을 뿐이다.... 아프리카 진짜 토인들이 부르는 노래나 춤이 서구 디스코텍에서 흔드는 춤보다 후진적이다거나 혹은 구시대적이다 라고 할 수 없는 것은 그것이 바로 문화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개잡아 먹는 식생활을 두고, 변론하는 가장 좋은 예가 바로..
2008.03.05 -
[턴 레프트, 턴 라이트] 왼쪽으로 가는 여자 오른쪽으로 가는 남자
[Reviewed by 박재환 2005-5-23] 우리나라에 소개된 두기봉 감독 작품으로는 [니딩 유], [더 히어로], [암전], [미션] 그리고 예전에 [천장지구3-풍화가인], [우견아랑] 등이 있다. 그렇고 그런 홍콩 영화를 만드는 감독으로 받아들이기 쉽지만 홍콩에서는 드물게 보는 작가주의 경향의 감독이라 평가받고 있다. 이번 깐느 국제영화제에서도 [흑사회]라는 작품으로 경쟁부문에 당당히 진출한 감독이다. 그가 아주 특이하게도 위가휘(韋家輝)와 함께 공동감독한 작품이 꽤 된다. 지난 2000년 [니딩 유]를 필두로 [랄수회춘], [종무염], [풀타임 킬러] 등 10편 내외를 '두기봉+위가휘' 콤비감독 작품으로 내놓았었다. 홍콩 영화계 내막을 잘 아는 사람은 작가주의적 두기봉과 상업주의적 위가휘의..
2008.03.05 -
[십이야] 선수들의 작업 (임애화 (林愛華) 감독 十二夜 Twelve Nights 2000)
(박재환 2003.1.2.) 이전에 신문 연재만화 중에 "love is……."라는 귀여운 한 컷짜리 작품이 있었다. 앙증맞게 생긴 조그만 남녀 애가 (아마 발가벗은 모습이었을 것이다) 귀여운 포즈를 취하고 있고 밑에는 love is.(사랑은 ~~이다)라고 한줄 감동적인 글이 쓰여 있었다. 십이야> 영화를 보면서 그 만화가 떠올랐다. 십이야>는 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는 사람-그것도 여자-의 심리상태를 보여준다. 여자의 시각에서라고? 그렇다. 이 영화는 한 남자에게서 헤어나질 못하는 여자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자는 수동적이라고? 그렇지 않다. 이 여자도 이미 다른 남자를 사귄 적이 있다. 그럼, 일단 거리에 나가보면 오고가는 많은 사람들 중에, 어떤 콩깍지가 씌어, ‘필연’이 되어버린 사랑에 절망하게..
2008.03.05 -
[쌍룡회] 깔깔깔 낄낄낄 우하하하하하 (임영동&서극 감독, Twin Dragons 1992)
(1999년 작성 리뷰) ‘쌍룡회’는 성룡 출연작 중 재미로 따지자면 상위권에 맴도는 그런 영화이다. 줄곧 보면서 미친 듯이 웃어댔으니 말이다. 아, 성룡은 이제 이렇게 방방 뛰고 정신없이 웃긴 영화를 만들기에는 너무 늙어버린 모양이다. 너무너무 아쉽다. 이 영화 다 끝나고 기대했던 NG장면은 없었다. 성룡영화 중에 이런 것도 있었나? 아님 비디오 출시할 때 빼버렸나? 여하튼 영화 끝 자막 오를 때 이름이 한참이나 올라가는데 홍콩영화감독협회모임이라도 있었던지 이 영화제작에 참여한 감독들 이름이 쭈욱 올라가는데, 수십 명의 명단이 올라갔다. 그들이 이름이 왜 올랐을까? 그 답은 쉽게 구했다. 작년에 출간된 성룡의 자서전(성룡은 ‘문맹’으로 알려졌는데 --;) 我是誰 成龍自述 (上海人民出版社발행>)의 후반..
2008.03.05 -
[트윈 이펙트2] 천사몽, 혹은 용가리
[Reviewed by 박재환 2004-9-23] [트윈 이펙트] 영어제목은 아마도 1편에서 주인공으로 출연한 깜찍한 듀엣 '트윈' 출연 효과를 노린 것 같은데 홍콩 제목은 [천기변](千機變)이었다. '천년에 한 번 돌아온다는 엄청난 천지개벽의 기현상'을 의미한다. 2편은 1편의 이야기와는 완전히 다르다. 뱀파이어도 안나오고 홍콩 도심지가 배경도 아니다. 아주 옛날, 여자들이 세계를 지배하던 어느 곳이 배경이다. 남자들은 목에 쇠목걸이를 찬 채 노예로 팔리던 그런 세상이다. 이때 시장통에 이런 격문이 뿌려진다. 两生花开,帝王星现;乾坤倒转,天下大乱……두 놈이 세상이 출몰하면 황제가 나타날 것이다. 하늘과 땅이 뒤바뀌고 천하는 대란을 겪을 것이다. 이런 내용. 여황제는 자신의 지위가 위태로워짐을 직감하고 ..
2008.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