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엽(3)
-
[미인초] 문혁, 청춘잔혹사 (여락 吕乐 감독 美人草 Years Without Epidemic 2004)
중국 현대문학사를 보면 '상흔문학(傷痕文學)'이란 게 나온다. 이른바 문화대혁명시기 박해를 받았던 사람들이 광란의 세월이 지나간 뒤 자신의 경험담을 문학의 형태로 고발한 내용들이다. 소설 [사람아, 아, 사람아]이나 영화 [부용진], 장국영이 나왔던 [패왕별희] 등을 보면 이 당시의 혼란상을 이해할 수 있다. 최근에 우리나라 정치적 문제와 관련하여 '홍위병'이란 용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실제 중국인들은 이 '홍위병'이란 말 자체를 '나찌'보다 더 치욕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과거의 어두운 유산이다. 근래 들어 이 시절을 다룬 영화가 몇 편 중국에서 제작되었다. [미인초]가 그러하다. 모택동의 공산당이 장개석의 국민당 세력을 대만으로 쫓아낸 후 중국 대륙은 공산주의 땅이 된다. 하지만 10년도 안 되..
2019.08.19 -
[언어없는 생활] 환상의 트리오
중국소설을 시대적으로 분류할 때 당대문학이 있다. 당연히 양귀비가 살던 당(唐:Tang)나라 시대인 당대(唐代)문학을 이야기할 것이다. 그런데 중국에선 당대(當代)문학이라고 하면 작금의 시기를 일컫는다. 처음엔 헷갈리기도 한다. 지난 주말, 중국의 당대(當代) 소설을 한편 읽었다. 이란 중편소설이다. ‘東西’라는 작가의 2006년도 작품이다. 작가의 이름이 특이했다. ‘東西’(중국어로는 ‘뚱시’라고 읽음)라고 하면 동서남북의 방향을 의미하기보다는 ‘물건’을 일컫는다. 그것도 다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한 시절을 풍미했던 “애 뭐야?”라는 의미가 내포된 “이건 웬 짜장?”할 때처럼 “웬 놈?”이라는 그런 ‘물건’을 말한다. 필명을 참 장난스레 지은 셈이다. ‘뚱시’의 본명은 멀쩡하게도 전대림(田代..
2009.01.14 -
[황후화] 산업적 중국영화 ‘만성진대황금갑’ (장예모 감독, 滿城盡帶黃金甲 2006)
(박재환 2007.2.2.) 장예모 감독이 과 이라는 기묘한 무협물에 이어 내놓은 의 제작비는 3억 위엔(우리 돈 360억 원)에 이른다. 물론 중국 영화사상 역대 최고의 제작비가 든 영화이다. 이 영화는 최근 몇 년간 ‘산업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영화계의 허와 실을 여실 없이 보여준다. 영화는 지난 12월 14일 중국에서 개봉되어 최근까지 거의 3억 위엔 가까운 흥행수익을 올렸다. 지금까지 중국내 최고 흥행기록을 세운 영화는 으로 3억 6천만 위엔 이다. 의 원제는 (滿城盡帶黃金甲)이다. 당(唐)나라 말기 있었던 민중봉기 ‘황소(黃巢)의 난’의 반란괴수 황소가 지은 시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당나라가 절정의 시기를 지나 멸망으로 내리꽂을 때 ‘황소’는 반란군을 이끌고 대당 황제가 있는..
200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