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경구(7)
-
[자산어보] “정약전은 왜 물고기만 쳐다보고 있었을까”
‘왕의 남자’, ‘사도’, ’동주‘의 이준익 감독이 조선시대 성리학자 정약전의 이야기를 흑백의 필름에 풍요롭게 담아냈다. 정약전은 한국 사상계의 명사인 정약용의 형님이자, 정조로부터 ‘준걸한 풍채가 정약용의 아름다운 자태보다 낫다’라는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다. 유명세로 따지자면 ‘목민심서’의 정약용에게 밀리지만 이번 영화를 통해 그를 알게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이 영화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게다가 이렇게 덕후 기질이 있었다니. 영화 는 정약전, 정약용, 그리고 또 한 명의 형제인 정약종의 몰락으로 시작된다. 출중한 형제였던 이들은 ‘양반’이자 성리학자이며, 실학자이자 천주교 신자였다. 이들은 ‘사학’(邪學, 주자학에 반대되는 간사한 학문), 서학쟁이로 몰려 유배 당한다. 정약용은 강진으로, 정약전은 ..
2021.04.01 -
[단적비연수 - 은행나무침대2] 한국형 대작영화의 전형? (박제현 감독 Gingko Bed 2, 2000)
(박재환 2000.11.12.) 단적비연수>의 극장개봉을 앞둔 지난 2일, 서울 시네코아에서는 지방배급업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첫 시사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이른바 흥행업자들 외에 영화관계자, 기자들도 다수 참석하여 지난 1년 동안 그들이 가장 기대하고 흥분해마지 않았던 강제규필름의 단적비연수>를 관람하였다. 녹음과 편집, 그리고 컴퓨터그래픽 작업 등 후반작업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공개된 이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거의 실망에 가까운 평을 받아야했다. 그런데, 배급업자들은 '감각적으로' 흥행요소를 찾아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이 영화가 서울에서만 60개, 전국에서 140개 스크린에 내걸리는 선택을 하였다. 이른바 비천무2>라는 말은 비천무>의 작품성을 희화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기도 하..
2019.08.31 -
[오아시스] 아름다운 삶 (이창동 감독 Oasis, 2002)
그제(2002.8.28) 사회면에 난 끔찍한 기사내용이다. 80代노인이 정신지체자매 상습성폭행....정신장애 10대 자매를 꾀어 포르노테이프를 보여주고 상습적으로 성폭행을 일삼은 80대 노인이 경찰에 꼬리가 잡혀 철창행. **동부경찰서는 27일 **군 모 지역에 사는 B(80·무직)씨를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구속. 경찰에 따르면 B씨는 같은 마을에 사는 K(14·정신지체 *급)양과 동생(11)을 올해 3월초부터 지난 19일까지 9회에 걸쳐 인근 야산과 다리 밑 등지로 끌고 다니며 번갈아 성폭행을 해 온 혐의다. 이창동 감독의 신작 의 내용은 내일이 없는 전과 3범이 지체장애 여자와 사랑에 빠진다는 내용이었다. 이창동의 문학적 능력으로 미루어보아 는 영화판 조세희의 이..
2019.08.26 -
살인자의 기억법 (원신연 감독,2017)
[리뷰] 살인자의 기억법, "기억해 범인을!" [박재환 2017-09-07] 소설가 김영하의 소설 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과 , 로 스릴러에 재간을 보여준 원신연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설경구가 치매 걸린 왕년의 연쇄살인범을, 김남길이 그와 마주치는 순경을, 김설현이(AOA의 설현)이 살인범의 딸이자 두 위험한 남자의 연결고리가 된다. 물론, 소설을 읽은 사람은 “어? 그랬던가?”하는 의문이 먼저 들 것이다. 그러나 놀라지 마시라. 소설을 읽은 사람도, 읽지 않은 사람도 만족할 만한 영화가 되었다. 원신연 감독은 원작소설의 흥미로운 인물과 사건을 영화적 재미로 완성시켰다. 영화의 첫 장면은 마지막 장면과 연결된다. 가방 하나를 든 설경구는 안개에 싸인 터널 앞에 서 있다. 살인범의 회한, 치매 환자의 ..
2017.09.07 -
[리뷰] 나의 독재자, 나의 아버지
‘김씨 표류기’라는 작품을 내놓았던 이해준 감독의 신작 ‘나의 독재자’가 최근 개봉되었다. ‘나의 독재자’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청와대에서 기발한 준비과정을 했었다는 신문기사에서 모티브를 찾은 영화이다. 1972년 박정희 대통령시절, 당시 이후락 중앙정부부장이 직접 평양를 다녀와서는 중대발표를 했었다. “청산가리를 품고 죽을 각오로 북한에 다녀왔다. 곧 김일성과 정상회담을 할 것이다.”는 것이었다. 이후 중정에서는 김일성 대역을 내세워 정상회담을 준비한다. 그의 말투는 기본, 사고방식까지 수령에 가깝도록 연습 또 연습한다. 물론, 유신과 함께 이 프로젝트는 파기되었다. 그럼, 김일성이 되기 위해 발버둥쳤던 그 대역배우는 이후 어떤 삶을 살았을까.이해준 감독은 평범한, 아니 사실 연극판에선 형편없었던 한..
2014.11.03 -
[해운대] 해운대가 살아있는 영화
윤제균 감독이 [해운대]라는 ‘블록버스터’ 재난영화를 만든다고 했을 때 영화계(저널포함) 일부에서는 반신반의했다. 그도 그럴 것이 윤제균 감독은 , , 그리고 등의 전작이 말해주듯 우선은 스케일에서는 아기자기한 코미디가 장기였으니 말이다. 그런데 윤제균 감독이 영화판에 뛰어들기 전에 광고회사에서 일했었고 영화가 좋아 영화판에 뛰어들었다는 것을 안다면 그의 재능을 너무 한쪽으로 재단하는 것도 옳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쨌든 윤제균 감독은 주위의 시선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한국형 블록버스터, 윤제균 스타일의 재난영화를 만들어낸다. 그것도 놀랍도록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말이다. 작년(2008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던 어느 날. 부산 해운대 백사장 이면도로에서는 아침부터 교통 통제가 시..
2009.07.28 -
[공공의 적] 오락영화의 달인이 만든 사회드라마
[리뷰 by 박재환 2002/3/10] 국민의 지팡이 vs. 펀드매니저 패륜아 영화는 에서 보았던 거칠고 생생한, '국민의 지팡이'라는 거창한 명분하에 악당, 사기꾼, 부정, 비리와 맞서 싸우는 강력계 형사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강철중(설경구)은 마약범과 살인범과 하루도 빠짐없이 부딪히며 살아간다. 어느날 그가 맞닥친 나쁜 놈은 존속살해범인 유망 펀드매니저 조규환(이성재)이다. 관객은 영화시작 이후 곧바로 이들 두 사람의 본색을 파악한다. 에서의 섬뜩한 연기를 그대로 보여주는 설경구에게서는 강력계 형사의 땀냄새가 폴폴 묻어나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리고, 샤워씬에서부터 곧바로 이어지는 이중적 인간상의 이성재에게서는 '사이코'나 '이중인격자'라는 말이 곧장 떠오를 것이다. 그 동안 연기력에서 왠지 부족한 ..
200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