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주3 [십개월의 미래] 카오스, 코스모스, 그리고 모계사회 테헤란벨리의 프로그래머 미래(최성은)에겐 꿈이 있다. ‘하바드 나온 저커버그’는 아니지만 자신의 꿈을 위해 게임 개발에 청춘을 쏟아 붓고 있다. 남친(서영주)은 요상한 모바일 액세서리(악어 클립)를 만지작거리면서 스마트업 대박을 꿈꾼다. 다들 대한민국의 젊은 청춘들이다. 그런데, 미래는 속이 메슥거려 간밤의 숙취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임신 10주차란다. 이젠 세상은 미래를 중심으로, 미래의 태아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구심력이 아니라, 원심력으로! [십개월의 미래]는 남궁선 감독의 영상원 졸업작품이다. 박정민 배우의 데뷔작이기도 한 (2007)으로 화려하게 ‘단편’ 데뷔한 남궁선 감독은 김수현과 정소민이 출연한 단편 (2009)로 제8회 미쟝센 단편영화제에서 비정성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었다. 2012년.. 2021. 10. 31. [뮤지컬 닥터 지바고“나의 라라” (2018년 샤롯데씨어터) (박재환 2018.4.3) 최근 러시아 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는가? 러시아 영화는?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를 활자로 접하는 사람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읽어야할 게, 봐야할 게 너무 많다보니 광활한 러시아를 배경으로 방대한 스토리가 담긴, 차갑고도 뜨거운 열정의 정서를 느긋하게 받아들이기엔 한계가 있는 모양이다. 는 옛 소련시절, 보리스 레오니도비치 파스테르나크가 1955년 완성한 소설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을 둘러싼 소동이 있었고, 우리나라에선 오마 샤리프의 눈빛과 ‘라라의 테마’로 길이 기억될 영화로 잘 알려져 있다. ‘닥터 지바고’는 기본적으로 혼란과 격변의 시대에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것도 차르를 무너뜨린 공산혁명의 시대의 불륜드라마인 셈. 이 작품이 뮤지컬로 .. 2019. 8. 10. [뫼비우스] 김기덕식 공유와 소통 (Moebius 2013) *김기덕 영화 중 관람하기 최악인 영화. 2013년 기자시사회 직후, 줄거리 위주로 복기한 '리뷰'는 하단에 첨부함. 웬만하면 보지 마세요. * 먼저, 기자시사회 관련 대한민국 영화감독 중 가장 논쟁적 작품만을 내놓는 김기덕 감독의 19번째 신작 가 ‘마침내’ 공개되었다. ‘극단적 근친상간’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소문이 나돌면서 ‘뫼비우스’는 일찌감치 화제의 중심에 올랐었다.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두 차례 퇴짜(제한상영가)를 받고 ‘표현의 자유’와 ‘등급제도의 효용성’이라는 케케묵은 논쟁이 다시 유발되기도 했다. 제작사측은 지난(2013년) 7월 26일 영화기자, 평론가만을 불러 모아 ‘제한적 시사회’를 가지면서 작품내적 완성도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김기덕 감독 작품이 언제나 그렇듯이 이번 .. 2013. 7.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