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5)
-
[오아시스] 아름다운 삶 (이창동 감독 Oasis, 2002)
그제(2002.8.28) 사회면에 난 끔찍한 기사내용이다. 80代노인이 정신지체자매 상습성폭행....정신장애 10대 자매를 꾀어 포르노테이프를 보여주고 상습적으로 성폭행을 일삼은 80대 노인이 경찰에 꼬리가 잡혀 철창행. **동부경찰서는 27일 **군 모 지역에 사는 B(80·무직)씨를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구속. 경찰에 따르면 B씨는 같은 마을에 사는 K(14·정신지체 *급)양과 동생(11)을 올해 3월초부터 지난 19일까지 9회에 걸쳐 인근 야산과 다리 밑 등지로 끌고 다니며 번갈아 성폭행을 해 온 혐의다. 이창동 감독의 신작 의 내용은 내일이 없는 전과 3범이 지체장애 여자와 사랑에 빠진다는 내용이었다. 이창동의 문학적 능력으로 미루어보아 는 영화판 조세희의 이..
2019.08.26 -
이창동 감독 “나는 상업영화 감독이다” (버닝 인터뷰)
*2018년 5월, 칸영화제 참석 후 한국에서 가진 라운드 인터뷰입니다 * 박광수 감독의 (1993)의 각본을 거쳐 로 화려하게 감독데뷔를 한 이창동 감독은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등을 내놓으며 한국영화계를 대표하는 작가주의 감독이 되었다. 그의 신작 도 칸 경쟁부문에 직행할 만큼 해외 평단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은 일본의 인기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을 바탕으로 이창동 감독과 오정미 작가가 시나리오를 직조했다. [버닝] 여자, 사라지다 (이창동 감독 2018) *스포일러 주의 * 이창동 감독은 노무현 정부에서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었다. 그 전에는 고등학교 국어선생님이기도 했고, 신춘문예에 당선된 소설가이기도 하다. 그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그것도 단편 &.. www..
2018.07.12 -
전종서 “행운의 배우, 당당한 연기자” (버닝 인터뷰)
[인터뷰] 전종서 “행운의 배우, 당당한 연기자”2018-05-26 10:47:55 최근 막을 내린 제71회 칸국제영화제 공식경쟁부문에 진출한 한국영화는 이창동 감독이 8년 만에 내놓은 신작 한 편 뿐이었다. 이 작품에는 충무로 톱스타 유아인과 할리우드에서 활약 중인 스티븐 연과 함께 신인 전종서가 출연했다. 전종서는 단편영화에조차 출연한 적인 없는 진짜 초짜 여배우이다. 세계적인 거장 이창동 감독은 전종서에게서 어떤 매력을, 어떤 가능성을 보았기에 선뜻 캐스팅했을까. 전종서 배우를 만나 그 미스터리함을 풀어보고 싶었다. 칸에서 돌아온 뒤, 영화가 개봉된 뒤 지난 23일 오후,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이창동 감독의 신작 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를 이야기의 기반으로 삼아 작금의 한국 청춘의 ..
2018.07.12 -
[버닝] 여자, 사라지다 (이창동 감독 2018)
*스포일러 주의 * 이창동 감독은 노무현 정부에서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었다. 그 전에는 고등학교 국어선생님이기도 했고, 신춘문예에 당선된 소설가이기도 하다. 그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그것도 단편 ‘헛간을 태우다’를 영화로 만들었다기에 궁금해졌다. 하루키의 오리무중 같은 작품을 장편으로 만들기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확실히 원작소설은 이야기 구조가 너무 짧고, 맥락이 없는 듯하다. 할리우드에서 필립 K. 딕의 단편 하나를 블록버스터로 옮길 때처럼 ‘인상적인 설정’과 ‘기발한 아이디어’만 가져와야 2시간을 채울 수 있을 것 같았다. (영화는 2시간 27분이란다) 하루키의 는 ‘한’ 남자가 ‘옛’ 여자를 만나게 되고, 그 여자가 ‘새’ 남자를 소개해주면서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옛 여자의 행적은 흐..
2018.07.11 -
[밀양] 사람의 아들
[밀양]은 소설가 출신의 이창동 감독이 소설가 이청준의 단편 [벌레이야기]를 영화로 옮긴 것이다. 소설가 이청준은 문학가로서도 톱클래스 작가일뿐더러 한국 영화판에서도 꽤 대접받는 작가이다. 오래 전 [이어도]가 있었고 최근엔 임권택 감독의 [천년학]이 바로 그가 쓴 소설이 바탕이다. 원작이 따로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보았기 때문인지 영화를 보면서 제일 먼저 든 느낌은 이 영화는 ‘문학적인 영화’임에 분명한데 뭔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마치 빌려 온 남의 옷에 그럴싸한 장식을 단 것 같은 부조화, 비록 화려한 옷의 어떤 비밀을 감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뿌린 흙탕물 자국을 바라다보는 것 같은 불편함들. 도서관에서 이청준 원작 소설을 찾기 시작했다. 원작은 지난 1985년 계간지 >에 처..
2008.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