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근(2)
-
[우묵배미의 사랑] 멋진 인생 (장선우 감독 1990년)
KBS는 매주 금요일 밤 ‘한국영화 100년 더 클래식’ 연작물을 방송 중이다. 1919년, 서울 단성사에서 선보인 우리영화 ‘의리적 구투’의 개봉 100년에 맞춰 KBS와 한국영상자료원이 함께 기획한 ‘100년의 한국영화 걸작 12편’이다. 지난주에는 일곱 번째 시간으로 장선우 감독의 (1990)이 시청자를 찾았다. 실업자로 놀고 지내던 배일도(박중훈)는 치마공장에 취직되어 처(유혜리)와 어린 자식을 이끌고 서울을 떠나 경기도 외곽의 한적한 시골마을 우묵배미로 오게 된다. 공장에서 함께 일하는 민공례(최명길)에게 끌리게 된다. 평소 남편(이대근)의 폭력에 시달렸던 공례는 능청스럽기까지 한 일도의 저돌적인 접근에 조금씩 마음의 문을 열게 되더니, 끝내 둘은 밤기차로 ‘외도’에 나선다. 1970년대 산업화..
2019.11.29 -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 스물 일곱 정윤희의 문예물 (정진우 감독 Does Cuckoo Cry at Night, 1980)
광주의 아픔은 가둬지고 전두환이 집권한 80년대 초반 서울 극장가는 어떠했을까? 그해 과 등이 극장가에서 관객을 끌어 모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이듬해 열린 19회 대종상에서는 어떤 영화가 상을 받았을까? 기록에 따르면 그해 정진우 감독의 가 우수작품상, 남우주연상(이대근), 여우주연상(정윤희), 촬영상, 여우조연상, 음악상, 미술상, 녹음상, 조명상, 영화상 등을 수상했다. 참고로 그해 ‘최우수영화상’은 유현목 감독의 에게 돌아갔고, 아역 출신의 안성기가 군대 갔다와서 출연한 로 신인상을 수상했다. 별다른 뾰족한 오락수단이 없었던 그 시절, 온 국민의 유일한 오락거리였던 영화는 6~70년대 영화의 황금기를 보낸 후 80년대 들어 이른바 호스티스 영화의 범람으로 대변되는 쇠퇴기에 들어선다. 하지만 ‘유지..
2008.02.18